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래시장의 변화에 따른 장소성에 관한 연구: 제기동 경동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20-10-13T04:21:58Z-
dc.date.available2020-10-13T04:21:5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84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84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시장은 예나 지금이나 지역의 정서와 문화, 생활 수준을 그대로 대변하는 곳으로 지역의 중심 상업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1970년대까지의 시장은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지역의 도소매 유통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19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국내외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 진출과 기업형 슈퍼마켓(SSM: Super Supermarket), 백화점,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새로운 유통업이 출현하였고,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줄 수 있는 유통 및 판매 업체로 인해 영업환경은 악화하기 시작되었다. 또한 전통시장의 노후화된 건축물과 열악한 주차장 및 휴게 시설, 가격표시제, 원산지 표시, 불친절 등의 경영적 측면이 경쟁에서 불리한 점으로 작용하여 전통시장은 점점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통시장으로 불리는 곳은 대부분 과거 전국구 초대형 유통 및 도〮소매업 상권 중 하나였다. 대표적인 예로 제기동 내 약령시는 조선 시대부터 형성된 시장으로 시대의 요구에 맞게 시장의 물리적 형태와 주요 판매 상품이 바뀌어 왔다. 그러나 도시 내 산업이 쇠퇴하고 대형 마트가 등장하면서 예전보다 시장의 기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현재는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현재는 제기동 내의 시장을 노후화된 시장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경우가 많지만, 이 연구에서는 경동시장의 역사와 동인에 의한 시장의 변화를 알아보며, 상인을 중심으로 내부적 관점에서 시장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는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첫 번째 조건으로 오랫동안 상업시설의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재래시장으로 남아있는 곳, 두 번째로는 정부와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아 최근까지도 시장 내 변화가 활발한 곳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사이의 경동시장을 연구 대상지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제기동내 경동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된 전통시장과 시대적 흐름과 여러 사건의 중심에 있었던 시장 내부자들을 함께 알아보는 미시적인 연구로써 지금껏 상인들의 삶의 장소로서의 시장 공간의 의미를 다룬 문헌들이 적었으나 시장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조명할 수 있으며 추후에 시장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기동 내 경동시장의 역사, 변화와 더불어 상인들의 관점에서 본 경동시장의 장소적 의미와 생활을 파악하여 시장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흐름은 이론적 고찰, 분석 틀 작성, 경동시장의 역사 및 특성 조사, 내부 상인 인터뷰를 통한 장소성 고찰 순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통해 경동시장의 역사와 형성 배경을 알아보았으며 경동시장 내부자들의 증언을 통해 시장과 더불어 개인 점포의 역사적인 변동과정도 살펴보았다. 현재 경동시장의 특성은 기존의 연구 자료와 현장 관찰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장 내부자들의 증언을 듣기 위해서 경동시장 상인회와 오래된 상인, 청년몰 내에 입점한 상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개인 차원의 시장 변화에 대한 시각과 입장, 일상생활을 심층 인터뷰와 참여 관찰 함으로써 시장의 장소성과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상업 중심지로서 기능했던 경동시장이 어떻게 발전해왔으며, 동인에 따라 시장에 나타난 변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상생하는 기존 상인과 청년몰 상인을 중심으로 경동시장의 의미와 장소성을 파악하여 경동시장의 의미를 새로이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장 활성화 사업이나 시장이 맞이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면밀히 파악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raditional markets are more than the central commercial place of the region, which represents the local sentiment, culture, and standard of living. Until the 1970s, the market has served as a wholesale retail distribution place in the region selling a variety of products. However, the opening of the retail market in 1996, the expansion of supermarkets, department stores, convenience stores, and online shopping malls emerged. The sales in traditional market began to shrink due to lack of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In addition, the management aspects such as aging buildings, poor parking, price indicators, and country of origin indication worked as severe disadvantages. Starting with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of 1997,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gency has committed a lot of money to modernize facilities and management from 2002 to 2013. Currently, the market in Jegi-dong is often view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an aging market, but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Gyeongdong market and changes in the market by drivers, and tries to grasp the meaning of the market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centering on traders.
In this study, the region that satisfies two conditions wa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As a first condition, it has been a commercial facility for a long time and now remains a traditional market, and secondly,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it has been set as a place where the market has been active until recently. As a result, the Gyeongdong market between Jegi-dong and Cheongryang-ri, which satisfies both conditions, was designated as the study site.
This study is a microscopic study that examines the insiders of the market,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times and events and traditional markets formed around the Gyeongdong market in Jegi-dong, and contains literature that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market space as 'place for a living' by merchants. Although there are few, research on the subjects who spend the most time in the market can illuminate a new perspective on the market, and it will be useful for multilateral studies on the marke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arket by grasping the place and life of the Gyeongdong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merchants as well as the history and changes of the Gyeongdong market in Jegi-dong. The flow of this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preparation of an analysis framework,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dong market, and analyzing placeness through interviews. First, the history and formation background of the Gyeongdong market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studies.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insiders of the Gyeongdong market, the historical changes of individual stores along with the market were also examined. Curr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dong market are based on existing research data and field observations. In addition, in order to listen to the testimony of various market insiders, Gyeongdong Mayor Merchants Association, old merchants, and merchants who entered the Youth Mall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e market.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place and meaning.
In this study, Gyeongdong market, which has long functioned as a commercial center, has been developed, and the meaning and placeness of the Gyeongdong market are identifi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market according to the drivers and the existing merchants and youth mall merchants that coexist in these changes. I would like to uncover the meaning of the Gyeongdong market. Through this, we try to grasp the market activation business or the problems facing the market close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0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1
1. 연구의 배경 01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06
2절. 연구의 범위 07
1. 공간적 범위 07
2. 내용적 범위 10
3절. 연구 진행 과정 11
1. 연구 방법 11
2. 연구 진행 과정 12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3
1절. 전통시장의 공간에 관한 연구 13
1. 전통시장 정의 13
2. 전통시장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14
2절. 전통시장 활성화에 관한 연구 19
1.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19
3절. 제기동에 관한 연구 27
1. 제기동의 역사에 관한 연구 27
제3장 제기동 내 시장의 도시 공간 특성 분석 32
1절. 제기동 내 전통시장의 이해 32
1. 경동시장의 역사 32
2. 경동시장의 특성 35
2절. 경동시장 공간 및 기능적 변화 요인 50
1. 교통 및 유통의 발달로 인한 공간의 변화 50
2. 지역 산업의 영향으로 인한 판매 품목 및 공실률의 변화 53
3. 관의 지원으로 인한 구성 및 시설의 변화 54
4. 대형 유통업체의 지원으로 인한 시설의 변화 56
5. 다양한 주체의 참여로 인한 기능적 변화 58
3절. 소결 66

제4장 경동시장의 장소적 의미 68
1절. 장소성 형성 요소 68
1. 인터뷰를 위한 장소성 요소 도출 과정 68
2. 장소성 도출을 위한 심층 인터뷰 개요 70
2절. 장소성 형성 요소를 이용한 분석 71
1. 물리적 요소 측면의 장소성 71
2. 행동적 요소 측면의 장소성 79
3. 의미적 요소 측면의 장소성 85
3절. 소결 93
제5장 결론 96
1절. 결론 96
2절. 활용 가능성 및 한계점 9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래시장-
dc.subject전통시장 활성화-
dc.subject청년몰-
dc.subject장소성-
dc.subject장소적 의미-
dc.subjectTraditional market-
dc.subject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dc.subjectCheongnyon mall-
dc.subjectPlaceness-
dc.subjectMeaning of the place-
dc.subject.ddc712.3-
dc.title재래시장의 변화에 따른 장소성에 관한 연구: 제기동 경동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도시설계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84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184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