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재생스타트업의 활동 경향과 자생력 확보 과정 : A study of trend and self perpetuating process of Startups in urban regeneration busines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이가영-
dc.date.accessioned2020-10-13T04:22:14Z-
dc.date.available2020-10-13T04:22:1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49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49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0. 8.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한국 도시재생 정책이 정의하는 도시재생의 개념은 노후 공간의 물리적 환
경개선은 물론, 도시쇠퇴가 불러일으킨 다양한 문제들을 경제, 사회, 환경적으
로 재활성화하는 포괄적 의미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의 흐름
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실행전략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003년 제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
법) 이후 벌어진 도시재생사업은 국가 주도의 재정지원 사업이 시행되는 과정
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냈다. 첫째, 도시쇠퇴의 양상은 다양해짐에도
불구하고, 과거 도시 정비 방식의 물리적 환경 조성 사업을 답습했다는 점이
다. 둘째, 많은 도시재생 주체들이 마중물 사업의 재정에 의지함으로써 사업
종료 후 자생력과 지속성을 갖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음의 역량을 가진 새로운 도시재생 민간주체의 등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첫째, 다변화된 도시쇠퇴의 문제에 대응이 가능한 해결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창의성과 융합적 역량, 둘째, 공공의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생적인
이익을 창출하면서도 공공의 이익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비즈니스 역량이다.
이를 반영해 2017년 제정된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주요 정책과제로 도시
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민간참여 모델 마련, 뉴딜사업의 일자리 창출 등 도
시재생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내세웠다. 민간부문에서
등장한 도시재생 스타트업들은, 이러한 공공의 니즈에 한발 앞서 유휴공
간 문제, 구도심 상권 쇠락, 소외계층 주거문제, 커뮤니티 와해 등 도시의 다
양한 문제를 포착하여, 이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로 삼고 있다. 이들은 도
시, 건축 분야를 넘어 디자인, 금융, 부동산, 마케팅 등 다양한 보유 역량을 기
반으로 도시문제를 창의적인 콘텐츠와 공간으로 해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주도 또는 재정지원에 의존적인 기존 도시재생 주체의 대안
으로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성격과 활동지형을 밝히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
들의 활동 지형을 연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공공이 미처 대응하지 못했던 도시문제의
빈틈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떠한 전략을 통해 해결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둘
째, 이를 통해 도시재생에 있어 공공의 역할과 민간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나
눌 수 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민간 도시재생 주체의 활동유
형 데이터를 통해 다변화된 도시쇠퇴 문제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행
주체의 매칭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51개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트
업의 활동 경향과 이들의 주요 비즈니스의 유형을 6개 부문 15개 유형으로 구
분하였다. 이를 통해 정리한 중요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활동 경향은 다음과
같다.
1)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주요 활동은 도시재생 정책과제 중 도
시공간 혁신전략과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해당 분야 도시재생 사
업의 대안적 실행주체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2)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
트업의 주요 비즈니스 유형은 공유주거와 같은 대안적 주거 관련 비즈니
스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외 지역문화 및 커뮤니티공간, 코
워킹스페이스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 유형은 도시재생 스타트업
이 인식한 도시문제의 공간적 주효한 해결전략이자, 어느 정도 검증된 지속가
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안착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2016년 이후 지방을 기
반으로 한 도시재생 스타트업 창업 문화가 확산되며, 지방 소도시의 구도심을
거점으로 융합적인 공간 전략을 통해 도시쇠퇴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들의 활
동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 중 지역기반 융합서비스를 진행하는 기업 세 곳의 비즈니스모델 구축과
정을 심층 사례로 분석하여, 도시재생 스타트업이 기업활동의 지속성을 확보
하는 과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심층 사례 연구 대상은 군산을 거점으로 활
동하는 ㈜지방의 지역 매니지먼트모델, 공주 ㈜퍼즐랩의 마을호텔모
델, 인천 개항로프로젝트의 거점 기반 컨텐츠타운모델이다. 각 기업의 자
생력 확보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①프론티어적 초기 창업가의 등장과 비전형성, ②커뮤니티형 거점 상업 공
간의 운영, ③지역과의 네트워크 형성, ④신규 인적자원 확보 및 창업자 네트
워크 확보, ⑤언론, 학계 등의 주목, ⑥공간 매입을 통한 자산화 등의 과정을
거쳐, 지역 내 선순환적인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도시재생 스타트업은 도시재생 정책이 추구하는 공공적 가치와 공동의 문제
인식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기업의 지속성을 추구하는 주체로서, 공공서비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유력한 대안적 주체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이들 기
업의 활동 양상과, 이들의 활동이 도시재생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 등을 지속
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민간주도의 도시재생 체계를 확립해 나가는 중요한 기
틀이 될 것이다. 따라서 1) 초기 발굴 차원을 넘어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성장
사이클을 이해하는 맞춤형 지원정책 2) 도시재생의 민간 이행 시대에 맞춘 공
공의 파트너십 역할 재정립 3) 민간 도시재생 체계에 대한 연구 축적과 같은
정책적 활동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defined by the Korean Urban
Regeneration Policy adopts a comprehensive meaning. It is not only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old spaces, but also to revitalize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urban decline econo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Accordingly, the flow of related policies is moving toward
the direction of concrete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the
「Special Act on the Activ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enacted in 2003, caus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ourse of the
government-led financial support project. First, despite the diversification of
the pattern of urban decline, it followed the past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Second, many urban regeneration actors were unable to
secure self-sustainability and continuit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by resorting to national finances.
First, it is a subject with creativity and convergenc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diversified urban decline problem. Second, it is a business capability
that can pursue both corporate and public interests without relying on public
financial suppor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enacted in 2017, reflecting
these demands, included the activ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economic
organization,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participation model,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the new deal projects. This means creating a 'urban
regeneration economic ecosystem'. Urban regeneration startups that
emerged from the private sector are acting one step ahead of these public
demands. They have captured various problems in the city, such as idle
space problems, the decline of old downtown areas, residential problems in
the underprivileged, and community disruption, making them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ey have various capabilities beyond design, finance, real
estate, and marketing beyond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Based on this,
they solve urban problems with creative content and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urban regeneration
actors that depended on financial support, and was conducted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topography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tudying their active terrain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it is possible to find out what
gaps in urban problems the public has not been able to cope with and what
strategies are being solved. Seco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standards that can divide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role of the
private in urban regeneration. Third, it will be possible to match the actors
who can personally respond to diversified urban decline problems through the
data of activity types of private urban regeneration entities.
To this end, the activity trends of 51 spatially-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s currently active and their main business types were divided into 15
types in 6 sectors. The trend of activities of important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ummariz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1) The main activity of the space-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urban space innovation strategytask of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task, thus playing the role of an alternative execution
ag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field. 2) The main business
type of space-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s was the alternative
housing related businesses such as shared housing. Others appeared in the
order of local culture and community space' andco-working space'. It can
be seen that this type of space is a spatial effective solution strategy of
urban problems recognized by urban regeneration startups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 somewhat proven sustainable business model. 3) Since 2016,
the culture of startups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based on the provinces
has spread, and companies that solve urban decline problems through more
convergent spatial strategies based on the old towns of local small cities
have been active.
Among them, the business model construction process of three companies
that conduct regional-based convergence services was analyzed as an
in-depth c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by which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ecured their own self-sufficiency were summarized.
The in-depth case study targets are the Local managementmodel of
based in Gunsan, and the Town hotelmodel of Gongju Lab>, and the Content townmodel of the Incheon .
The common points of each company's self-sufficiency process were
extracted and summarized as follows.
① Emergence and vision formation of a frontier entrepreneur, ②
Operation of a community-based commercial space, ③ Formation of a
network with a region, ④ Securing of human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local startups, ⑤ Attention of the media and
academics, ⑥ Operation of multiple spaces,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are processes such as asset expansion through service expansion and
space purchase. Case companies have secured business continuity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virtuous business ecosystem within the region.
The urban regeneration startup is a leading alternative that can fill the
gap in public services, while having the public values and common problem
awareness pursued by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at the same time,
pursuing corporate sustainability. Continually studying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se rapidly changing companies and the actual impact of these activities
on urban regeneration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a
privately-led urban regeneration system. Therefore, 1) Support policies to
understand the growth cycle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beyond the initial
excavation level 2)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in the
era of private sector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3) Policy
activities such as accumulation of research on private urban regeneration
systems This should be suppor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3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3. 논문의 구성 7
제2장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개념과 등장 배경
1절. 관련 개념 검토 9
1.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정의 9
2. 유사개념 검토 17
2절. 선행연구 검토 20
1. 도시재생 스타트업에 관한 연구 20
2. 도시재생 정책의 흐름에 관한 연구 24
3. 도시재생의 민간주체에 관한 연구 27
4. 본 연구의 차별점 30
3절. 이론적 고찰 32
1. 도시재생 내 민간주체 참여의 요구 증대 33
2. 탈물질 시대 공간 소비 패러다임 변화 41
3. 지역 기반 창업 문화의 형성 42
제3장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활동 경향
1절. 도시재생 스타트업 활동 현황 분석 46
1. 조사개요 46
2.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핵심 사업내용 및 현황 48
2절. 도시재생 정책과제와 스타트업 활동의 관계 52
1.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주요 도시문제 인식 52
2. 도시재생 정책 과제와의 비교 60
3절. 도시재생 스타트업 공간 비즈니스의 유형 및 발전 양상 65
1. 도시재생 스타트업 공간 비즈니스의 유형 65
2. 도시재생 스타트업 공간 비즈니스의 발전 양상 67
제4장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자생력 확보 과정
1절. 사례 분석 개요 77
2절. 각 기업별 공간 비즈니스 모델 분석 79
1. 군산 지방: 지역 매니지먼트 79
2. 인천 개항로 프로젝트: 거점 기반 컨텐츠타운 93
3. 공주 퍼즐랩: 마을호텔 103
3절. 도시재생 스타트업 자생력 확보과정의 특징 114
제5장 시사점 및 결론
1절. 연구요약 및 시사점 121
1. 연구요약 121
2. 연구의 시사점 123
2절. 연구의 한계점 12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재생-
dc.subject민간주도 도시재생-
dc.subject창의도시-
dc.subject도시경영-
dc.subject스타트업-
dc.subject지역혁신-
dc.subjectUrban regeneration-
dc.subjectPrivate-led urban regeneration-
dc.subjectCreative city-
dc.subjectUrban management-
dc.subjectStartup-
dc.subjectRegional innovation-
dc.subject.ddc712.3-
dc.title도시재생스타트업의 활동 경향과 자생력 확보 과정-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rend and self perpetuating process of Startups in urban regeneration busines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도시환경설계-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49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49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