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의 암수검 관련 요인 : A Multilevel Analysi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of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은경

Advisor
권순만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Keywords
암 수검다수준 분석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지역개인
Abstract
연구목적: 한국인의 암 수검률을 국가, 시․도, 시․군․구 수준에서 산출하고, 한국인의 암 수검과 관련 있는 개인 및 지역수준 요인을 파악한다. 암 수검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지역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 개인 및 지역요인이 한국인의 암 수검률 지역 간 차이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2008년에 시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확보한 만 30세 이상 전국 대표 표본 152,5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암 수검률은 최근 2년간 암 검진 경험으로 하였고, 독립변수 중 개인수준 변수는 앤더슨의 의료이용 모형에 따라 변수를 선정하였다. 독립변수 중 시․도의 지역수준 변수는 사회박탈지수, 인구 1인당 지역내 총생산, 내국인 100명당 외국인 수, 인구 대비 자원봉사자 비율,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인구 10만 명당 보건기관 수의 6개를 선정하였고, 독립변수 중 시․군․구의 지역수준 변수는 사회박탈지수, 주민등록인구 1인당 지방세부담액, 내국인 100명당 외국인 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인구 10만 명당 보건기관수의 5개를 선정하였다.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층화 카이제곱 검정, 직접법에 의한 연령표준화, 다중회귀분석,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한국인의 암 수검률을 산출하고 암 수검률의 지역 간 차이와 관련 있는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 한국인의 최근 2년간 암 수검률은 43%이었고 암 수검률의 지역 간 차이는 존재했다. 시․도 수준에서 최고 및 최저 암 수검률을 보이는 전라남도(49.58%)와 울산광역시(38.8%) 간의 차이는 10.78%p였고, 시․군․구 수준에서 최고 및 최저 암 수검률을 보이는 경북 청송군(68.33%)와 경북 울진군(20.87%) 간의 차이는 47.46%p였다. 연령표준화 인구 10만 명당 암수검자 수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과 다수준 분석 결과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변수들은 모두 암 수검과 관련이 있었는데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수는 건강검진 경험이었다.
남성의 암 수검률과 관련 있는 지역 수준 변수는 3개(사회박탈지수, 인구 대비 자원봉사자 비율, 내국인 100명당 외국인 수), 여성 및 연구대상자 전체의 암 수검률과 관련 있는 지역수준 변수는 1개(사회박탈지수)로 상이했고, 변수들이 남성과 여성의 암 수검률에 주는 영향의 강도도 상이했다. 시·도 구성원의 지역사회 참여도를 대리하는인구 대비 자원봉사자 비율은 남성의 암 수검률과 관련이 있었다. 인구 대비 자원봉사자 비율이 1% 증가하는 경우 해당 시·도 남성의 암 수검률은 32.1% 증가했고 인구 대비 자원봉사자 비율은 시․도 간 남성의 암 수검률 차이를 33.8%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시․군․구와 관련된 지역변수 중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대리하는 사회박탈지수는 남성과 여성의 암 수검과 관련이 있었고 지역사회의 안정성을 대리하는 내국인 100명당 외국인 수는 남성의 암 수검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다. 사회박탈지수가 한 단위 증가하는 경우, 즉 사회박탈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해당 시․군․구 남성의 암 수검은 33.9% 증가했고, 내국인 100명당 외국인 수가 1명 증가하는 경우 해당 시․군․구 남성의 암 수검은 8.4% 감소했다. 집단 간 분산비율분석에 따르면 두 변수는 남성의 시·군·구 간 암 수검률의 차이를 10.19% 만큼 설명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암 수검과 관련된 시·도 수준 지역변수는 없었으며, 시·군·구 수준에서 사회박탈지수만 관련이 있었다. 사회박탈지수가 한 단위 증가하는 경우 여성의 암 수검은 17.8% 증가했고 사회박탈지수는 여성의 시·군·구 간 암 수검률의 차이를 3.29%만큼 설명하고 있었다. 종합하면 지역변수는 남성과 여성에게 다른 강도로 영향을 주었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지역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결론: 한국인의 암 수검에는 개인 및 지역요인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었고 개인의 암 검진 이행과 관련된 변수들의 설명력은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정책담당자들은 암 검진에 관한 새로운 정책의 도입을 검토하는 경우 개인 및 지역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접근을 해야 한다.
Objectives: To calculate regular, two-ye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rate of Korean in the level of nation, city/province, and county level.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of Korean. To identify the community 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ap in regular, two-ye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among counties in the same city/province.

Methods: The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152 558 adults thirty years of age and older with derived from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of Korea. The dependent variable of cancer screening was defined as cancer screening experience in recent two years. Explanatory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 are selected by Anderson Model. Six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Social deprivation index, the number of foreigners per 100, gl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the number of physician per 1 000, the number of public clinic per 100 000, and the rate of volunteers among citizen were selected in city/province level. Five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variables such as Social deprivation index, the number of foreigners per 100, the number of physician per 1 000, the number of public clinic per 100 000, and local tax per citizen were selected in the county level.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rate of Korean was calculat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Cochran-Mantel-Haenzse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gul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of Korean was 43%. The gap in regul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existed among cities, provinces, and counties in the same city/province. Jeolla southern province (49.58%) has the highest regul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among 15 cities and provinces while Woolsan City (38.8%) the lowest. Chungsonggun (68.36%) has the highest regular cancer screening-attendance rate among 230 counties while Wooljingun (20.8%) the lowest.
All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done by three group of all, male, and female. All of the individual factors dealt with this paper were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in those three groups. To be specific, the highly educated social position and high family inc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The strongest explanatory variable was whether regular checkup-attendance was taken or not.
Some of the community factors dealt with this paper were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However, the significance of each variable was quit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For male, the rate of volunteers among citizen was the only community factor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in city/province level and explains 33.8% of disparity of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rate between city and province. Social deprivation index and the number of foreigners per 100 were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of male in county level and explain 10.19% of disparity of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rate among counties. For female, there was no community factor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in city/province level. Social deprivation index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of female in county level and explains 3.29% of disparity of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rate among counti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is associated with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Although every individual factor is significantly associated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the way they act is quite different among male/female and the young/the ol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ate regular cancer screening attendance of male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mmunity factors than that of female.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ynthetically when the policy-makers try to introduce new policy on cancer screening.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439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8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