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 Differences in novice and experienced group counselors' self-talk: Problematic situation of a monopolizing group memb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창대-
dc.contributor.author김현령-
dc.date.accessioned2020-12-28T11:55:27Z-
dc.date.available2020-12-28T11:55:2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00000000497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72ko_KR
dc.description.abstract상담자는 다양한 문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실천적 지식을 획득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경험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획득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담자의 자기성찰은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상담자의 요인이자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요소로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발달에 따라 자기성찰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담자가 성찰을 할 때 내적으로 사용하는 인지적 도구인 자기대화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상담자의 자기대화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상담자의 자기대화가 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전문성이 발달할수록 상담자가 효과적인 자기대화를 활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상담자의 자기대화를 개인상담 상황에 국한시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상담과 구별되는 독특성을 지닌 집단상담 맥락에서의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성찰은 문제상황에서 더욱 활성화될 뿐 아니라 문제상황에서 어떻게 성찰하느냐가 전문성 발달을 결정하므로, 집단상담자가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상황에서의 자기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원의 대화독점이라는 문제상황에서 초심 집단상담자와 숙련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의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초심 집단상담자는 숙련 집단상담자보다 관찰에 대한 자기대화의 빈도와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가설 2. 숙련 집단상담자는 초심 집단상담자보다 해석에 대한 자기대화의 빈도와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가설 3. 숙련 집단상담자는 초심 집단상담자보다 개입에 대한 자기대화의 빈도와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가설 4. 숙련 집단상담자는 초심 집단상담자보다 집단과정에 대한 자기대화의 빈도와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원의 대화독점 장면이 담긴 동영상을 연구자극으로 제작하였고, 서울 및 경기지역의 초심 집단상담자 15명, 숙련 집단상담자 13명, 총 28명을 대상으로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에 대한 자기대화를 수집하였다. 총 839개의 자기대화를 Hines(1993)의 집단상담자 자기대화 범주를 근거로 평정한 뒤, 상위범주 및 하위범주별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초심 집단상담자와 숙련 집단상담자에 따라 각 상위범주 및 하위범주의 빈도와 비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관찰의 빈도는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관찰의 비율에 있어서는 초심 집단상담자가 숙련 집단상담자보다 2배 높은 비율을 보였다(가설 1). 집단상담자의 경력이 낮을수록 집단원의 대화독점 상황에서 관찰 자체를 더 많이 한다기보다는, 성찰을 할 때 관찰하는 데에 숙련 집단상담자보다 더 많은 시간과 인지적 자원을 할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집단상담자의 경력이 높을수록 집단원의 대화독점 상황에서 집단원 및 집단과정에 대해 해석하고, 어떤 개입이 필요한지에 관해 스스로 방향을 지시하는 성찰을 많이 할 뿐만 아니라, 전체 자기대화 중에서 그러한 성찰에 더 큰 인지적 자원을 할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가설 2, 3). 한편, 집단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집단상담자 경력이 높을수록 집단과정에 대해 더 많이 성찰하며, 집단과정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가설 4).
본 연구는 자기대화라는 인지적 도구를 통하여 집단상담자의 자기성찰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를 제공하였고, 특히 구체적인 문제상황에 대한 성찰을 확인하여 집단상담자의 자기성찰의 양상을 더욱 풍부하게 드러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집단상담자의 경력에 따라 자기대화가 어떻게 다른 패턴과 특징을 보이는지 그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집단상담자의 인지적 발달과 변화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축적하였고, 집단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시사점을 주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동영상 자극을 활용한 모의상담 연구로서 집단상담자들이 실제로 이끄는 집단에서의 자기대화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자기대화 범주를 사용한 평정 작업의 특성상 한 범주 내에서의 자기대화의 섬세한 질적 차이를 변별하기가 어려웠는데, 후속연구에서는 자기대화의 질도 함께 평정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통해 다양한 각 문제상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축적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8
1. 상담자 발달 8
1) 상담자 발달 모형 8
2) 집단상담자 발달 모형 11
2. 상담자의 자기성찰 12
1) 자기성찰의 개념 12
2) 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 15
3) 집단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 18
3. 상담자의 자기대화 19
1) 자기대화의 개념 19
2) 상담자의 자기대화와 전문성 발달 21
3)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와 전문성 발달 23
4. 집단원의 대화독점 25

Ⅲ. 연구 방법 30
1. 연구 참여자 30
1) 비구조화 집단상담 참여자 30
2) 집단상담 동영상 평정 참여자 30
3) 자기대화 수집 참여자 31
4) 자기대화 평정 참여자 36
2. 연구 도구 36
1) 연구자극 (집단상담 동영상) 36
2) 동영상에 대한 질문지 38
3) 집단상담자 일반사항에 대한 질문지 39
4)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평정 목록 40
3. 연구 절차 41
1) 비구조화 집단상담 동영상 촬영 42
2) 집단원의 대화독점 상황에 대한 연구자극 선정 43
3) 자기대화 수집 방법 결정을 위한 예비조사 실시 45
4)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수집 47
5)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평정 49
6) 집단상담자 경력별 자기대화 차이 분석 50

Ⅳ. 연구 결과 52
1. 동영상 자극에 대한 조작 확인 결과 52
1) 집단 지도자로 이입한 정도 52
2) 집단원의 대화독점 상황이라고 느낀 정도 52
2.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평정 결과 53
3.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결과 60
1)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빈도 차이 60
2)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비율 차이 66

Ⅴ. 논의 72
1.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 72
1)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의 전반적인 경향성 72
2)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74
2. 집단상담자의 자기대화 범주 목록에 대한 논의 81
3. 연구의 의의 83
4.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85

참고문헌 89
부 록 103
ABSTRACT 121
-
dc.format.extentx, 12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집단상담-
dc.subject집단상담자 발달-
dc.subject자기성찰-
dc.subject자기대화-
dc.subject집단원의 대화독점-
dc.subjectgroup counseling-
dc.subjectdevelopment of group counselor-
dc.subjectself-reflection-
dc.subjectself-talk-
dc.subjecta monopolizing group member-
dc.title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Differences in novice and experienced group counselors' self-talk: Problematic situation of a monopolizing group member-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2-0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12▲000000000014▲00000000497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