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and Its Determina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중호

Advisor
조영달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경제교육사회과 교육시장경제체제시장경제에 대한 태도학교·가정·경험 변인
Abstract
학교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의 하위영역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서 사회과 교육의 전반적인 목표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시민교육의 목표와 경제교육을 함께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경제과목의 목표를 체계적인 경제 지식과 사고력 및 가치관을 토대로 하여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경제적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을 추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경제적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 가운데에서도 가치 및 태도의 측면, 그 중에서도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토대를 두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제는 경제생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시장경제체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제대로 이해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인지적 측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치 및 태도의 측면에서 시장경제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의 형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 역시 경제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기본가정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그리고 이러한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가 학생 개개인이 처한 여러 개인적, 사회·경제적, 경제 교육적 환경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초·중·고등학생 1,8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시장경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갖고 있는 개인적, 사회경제적, 경험적 배경들이 이러한 태도 형성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거의 모든 집단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시장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긍정적인 태도보다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들에 비해 남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시장경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년이 높아질수록 시장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성적이나 경제 성적이 비교적 좋은 학생일수록 오히려 시장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 경제 형편이 좋을수록 시장경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 관련 뉴스와의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시장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가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돈 기입장 기입정도는 특목고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특성화고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들의 경제 관련 체험활동은 시장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학교 경제교육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하고 있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학교 경제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본 연구는 경제교육에 있어 인지적인 측면과 마찬가지로 정의적인 측면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앞선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이 시장경제에 대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담지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듯이, 시장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고 부정적인 태도를 순화시키기 위한 교육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본 연구는 교육적인 시사점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및 경제 전반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시장경제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교사의 교육적인 노력만으로는 큰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 전체가 불평등이나 양극화와 같은 경제정의의 문제를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동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규모에서 다층적인 표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만으로는 타 지역 청소년 특히 읍면지역의 청소년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지니고 있는 시장경제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소외계층의 청소년들이 우리사회와 경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니고 있느냐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을 것이다.
둘째, 태도나 가치와 같이 정의적인 측면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해하는 것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이 실제 경제생활에 있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에 대해서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가 다양한 청소년집단을 대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교육현장에서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은 앞으로 우리 사회를 이끌어나갈 경제주체들이다. 이들이 오늘날 경제활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시장경제에 대해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지 않고서는, 보다 더 성숙한 시장경제 질서를 확립하고 운영하는 일은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Economic education at schools is deeply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s it is one of social studies educations sub-catego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economic education when considering the goal of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to develop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 As such,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sets the goal of economic education as, Cultivating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necessary to carry out ones individual and social economic role by means of structured economic knowledge, intellectual capacity, and values. Among these qualitie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conomic role of a democratic citizen, this study focuses on the value and attitude aspect, in particular, the attitude towards market economy.
In order to properly carry out ones economic role in our current society, which is based on a capitalist market economy,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understand what the market economy system is and how it operates. In addition to this cognitive aspect, this study assumes that creating a desirable attitude towards market economy is also an essential part of economic educa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positively clarify what the attitudes of Koreas adolescents toward market economy are, and how these attitudes are related to the different individual, socio-economic, and economic-educational environments the individual students are placed i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Koreas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Second, what are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Koreas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performed on 1,86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irst, the students were inquired about the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they had toward market econom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individual, socio-economic, and experiential backgrounds of studen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ose attitudes. The following briefly sums up the research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abovementioned survey and analysis.
First, a negative attitude towards market economy was more prevalent than a positive attitude in almost every group of students. Second, more male students held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than did female students, and als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escalated with age. Third, the higher the school grade or the grade in Economics were, the more negative attitude the student had toward market economy. Fourth, the wealthier the family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 student had toward market economy. Fifth, the more exposure the student had to economy-related news, the more negative attitude the student had toward market economy. Also, enforcing the students to keep an account book for their allowances decreased negative attitude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while it intensified negative attitud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Lastly, economy-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decreased negative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schools economic education and follow-up study.
Firs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schools economic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points to the importance of focusing not only on the cognitive aspects of economic education, but also on the affective aspects of it. As the aforementioned research analysis has demonstrated, adolescents generally hold a negative attitude toward market economy. Thus, an educational effort must be put forth in order to intensify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and reduce the negative attitude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important food for thought not only for education but for our society and economy as a whole. Educational effort put forth by schools and teachers to intensify positive attitude toward market economy can be, at large, limited. Therefore, a larger effort must be made by the entire society to face economic problems such as inequality and polarization and to solve these problem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dvices are given for follow-up study.
First, in order to gathe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a more diverse sampling is required on a national scale. This study is limited in the fact that it cannot assert conclusions about the attitudes students not included in the sampling have toward market economy; especially, those of the students in more rural areas, lower classmen of elementary school, and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Thus, it is imperative for the follow-up study to find out the attitudes the adolescents from geographic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neglected backgrounds have toward our society and economy.
Second, surveys have their limits in understanding affective aspects such as attitudes and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qualitative research on diverse adolescent groups in order to find out the attitudes of adolescents toward real-life economic activitie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perceptions of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The students that we teach in schools today will be the economic entities that lead our future society. It will be extremely difficult, if not impossible, for these adolescents to formulate and manage a more mature market economy until they embody the proper attitudes toward market economy that dictate todays economic activ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459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3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