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90년 전・후 밀리터리룩의 의미해석 : A Study on Semantic Analysis of Military Look Before ・ After 1990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려화

Advisor
김민자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밀리터리룩군복차이변형혼성부재유사
Abstract
밀리터리룩은 제1・2차 세계대전의 영향 하에 기능성을 목적으로 군복 자체를 입는 것으로 시작하여 시대적 변화 속에서 형태와 의미 변화가 계속되었다. 역사적으로 밀리터리룩은 1960년대부터 다양한 모습으로 출현하여 1980년대에 하나의 고유한 스타일로 여성복의 중요한 아이템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고 1990년 이후부터 현대 패션 트랜드의 다양화 현상과 시대적 이상미에 따라 군복 고유의 특성을 응용하여 그 형태와 착장법이 다양하게 변모하여 새로운 의미가치와 함께 무한한 차이를 생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전․후의 밀리터리룩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밀리터리룩의 사적흐름을 고찰하고 군복의 형태로 착용되었던 밀리터리룩이 시대에 따른 변화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새롭게 창조되고 구체화 되어 표현되는지 살펴봄으로써 1990년 전・후 밀리터리룩의 차별화된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고 밀리터리룩의 변화된 시기를 1960년부터 1980년까지와 새로운 흐름의 시작점인 1990년 이후로 구분하여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밀리터리룩의 보편적 특성들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1990년 이후밀리터리룩은 들뢰즈(Deleuze)의 차이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복식양식의 변화에서 차이를 표현하는 방식을 제시하기 위해서 들뢰즈와 푸코(Foucault)의 베이컨(Bacon), 벨라스케스(Velazquez), 마그리트(Magritte) 회화 해석을 통해 차이 화하는 방법으로 변형(deformation), 혼성(hybrid), 부재(absence), 유사(resemblance)를 도출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90년 이후 밀리터리룩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1990년 전・후 밀리터리룩의 의미 해석을 위해 제1・2차 세계대전 군복과 전시 군복의 목적, 실용성의 수단으로 군복을 재현한 밀리터리룩을 분석하여 보편적 특성과 의미를 도출한 결과 기능성, 동조성, 권위성의 특성을 가지며 이는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형태를 우선시하는 인체우선형, 더블 여밈이나 고정 단추를 이용한 좌우 대칭형의 테일러드 재킷과 코트에 의한 획일적 정형, 기능성을 목적으로 장식적 디테일과 액세서리를 사용한 기능적 장식형의 세 가지 조형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이론적 연구를 근간으로 1990년 전・후 밀리터리룩의 의미를 해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형적 측면에서는 밀리터리룩의 보편적 특성을 바탕으로 1990년 이전 밀리터리룩을 분석한 결과 인체우선형, 획일적정형의 두가지 특성이 그대로 드러났다. 그러나 군복의 기능적 장식형의 특성이 변화되어 기능성은 축소되고 밀리터리룩을 표현하는 수단으로만 장식적인 요소들이 활용되었다. 다음 차이표현 방법에 의해 1990년 이후 밀리터리룩을 살펴본 결과 1990년 이전 인체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활동적인 실루엣의 인체우선형으로 정의되었던 밀리터리룩은 차이표현 방식에 따라 착장에 의한 확대 축소 등의 극단적인 형태의 복식우선형으로 변화했다. 또한, 고정단추를 이용한 앞여밈의 좌우 대칭형의 테일러드 재킷과 코트가 대표적이었던 밀리터리룩의 획일적 정형성은 완전히 해체되어 변형, 혼성, 부재의 방식으로 고정 단추가 없는 자유로운 여밈, 개방적이고 불명료한 가변적 형태, 자유로운 착장방법 등의 탈획일형으로 변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식요소의 활용방법에 있어서 1990년 이전과는 또 다른 의미의 장식형이 나타났다. 부재, 유사에 의한 표현 방식에서 군복의 장식적 요소의 기능성은 축소되고 미적 기준에 따른 장식의 자유로운 조합으로 다양한 장식형의 형태로 등장했다.
1990년 전・후 밀리터리룩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군복의 기능성으로서의 의미는 1990년 이전 밀리터리룩에서 계속 나타나는데 군복에서 전투의 목적으로 부여된 도구적 의미의 기능성이 1990년 이전의 밀리터리룩에서 착장자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표현적 의미의 기능성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1990년 이후의 밀리터리룩은 더는 군복의 활동성 실용성의 목적이 아니라 디자이너의 창조의지에 의해 다양한 소재와 장식의 이색적인 혼합의 표현이나 예기치 못한 구성 요소의 등장으로 유희성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둘째, 획일화된 유니폼의 형식으로 동조성이 우선시 되었던 제1・2차 세계대전 군복과 밀리터리룩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는 군복의 권위성이 유행성에서의 여성적인 특징과 융합되어 절충성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또한 1990년 이후 밀리터리룩은 1990년 이전과는 상이한 절충성의 의미가 나타났다. 소비자의 미적 취향의 차별화와 같은 사회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획일화된、유형화된 형태에서부터 탈획일화된 다양한 스타일로 변화되었고 차이 표현 방법에 의해 에스닉 요소와 결합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시공간에 의한 절충성의 의미로 새롭게 해석되었다. 셋째, 권위성의 주된 의미를 갖고 있던 제1・2차 세계대전의 군복과 밀리터리룩은 1960년부터 1980년 사이에는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적 의미의 수단이나 히피들에 의한 저항 패션으로서 저항성의 의미가 부여 되었다. 1990년 이후 밀리터리룩은 더 이상 저항성의 상징적인 의미가 아닌 개인의 감성과 자신감의 표현의 수단으로서 인체의 은폐와 노출 및 여성성의 강조를 통한 관능성이라는 전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이 1990년 이전의 밀리터리룩은 베트남전쟁과 반전운동, 중동전과 오일쇼크, 동구권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여성운동의 확산, 젊음과 자유를 구하는 개방적 사회분위기 등의 전쟁이나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반영하는 양식과 형태를 가지고 새로운 의미 변화와 함께 지속되어 왔다. 또한 1990년 이후의 밀리터리룩은 변형, 혼성, 부재, 유사의 차이 표현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다원주의, 디자이너의 창조적 의지, 소비자의 미적 취향의 차별화, 신기술의 발달 등의 사회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독특한 형태와 특수성을 가지고 발전해 왔고 예기치 못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시대별 감각과 정신 사조에 맞추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창조된 새로운 스타일로서 패션 양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해 야기되는 차이를 포착할 수 있는 한, 밀리터리룩은 또 다른 밀리터리 룩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리라 판단된다.
Starting with wearing of a military uniform with a view to functionality under influence of the First․Second World War, military look has had continual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with the age. Historically, military look appeared in a variety of forms in 1960s and settled as the important item of women's clothing with a unique style in 1980s. Since 1990,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uniform's own fitting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modern fashion trends and ideal beauty of the age, its form and wearing method have changed in various ways, creating new meaningful values and infinite differences.
As for the military look around 1990,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 military look and analyzing differentiated meaning of the military look in those periods through inspecting how military look worn as the form of the military uniform was created and expressed newly with the change of the age. For these research purposes, bot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Dividing periods of the change into 'from 1960 to 1980' and 'since 1990 as a starting point of the new flow', military look research was done in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s.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from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look, military look since 1990 was analyzed based on the difference theory of Deleuze. To suggest how to express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dress style, through the method to differentiate by the Deleuze and Foucault's analysis on the paintings of Bacon, Velázquez and Magritte, an analyzing frame for the military look since 1990 was presented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which derived transformation, hybrid, absence and similarity.
For the semantic analysis of the military look around 1990, it analyzed military uniforms in the First․Second World War, uniforms in the wartime, and military look reproducing a uniform as the means of practicality and derived their univers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s the resul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ity, conformity and authority. In terms of the form, it shows 3 kinds of formativeness including a body priority type to prioritize a natural form of the body, a fixed standardization type by a symmetrical tailored jacket and coat using double breasted or fixed buttons, and a functional decoration type using the decorative details and accessories with the aim of functionality.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bove, the followings are findings of analyzing meaning of the military look before․after 1990.
In the formative aspec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ilitary look before 1990 based on its universal characteristics, it shows 2 characteristics of a body priority and a fixed standardization types. However, with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 in the functional decoration type of the military uniform, functionality was reduced and decorative elements were used only as the means of expressing the military look. Next,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ilitary look since 1990 by the method to express difference, military look defined as the body priority type of the active silhouette showing the body naturally before 1990, changed to the dress priority type having the extreme form of expansion and reduction by wearing in terms of the method to express difference. Furthermore, standardization of the military look representative of a symmetrical tailored jacket and coat with front breasted using fixed buttons, was completely deconstructed and changed into the de-standardization type with free breasted, opened and indistinct variable form and free wearing without fixed buttons in the way of transformation, hybrid and absence. Finally, in the utility of the decorative elements, a new decorative form appeared having a differentiated meaning from that of before 1990. As for the expressive method by absence and similarity, in the decorative elements of the military uniform, functionality was reduced and various decorative forms appeared through the free decorative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aesthetic standa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military look around 1990, firstly, the significance of the functionality of the uniform continued to be in the military look before 1990. And in the military look in those days, functionality of the instrumental meaning for combating was expanded to the functionality of the expressive meaning for satisfying creators' self-expression needs. However, a new meaning of playfulness was given to the military look after 1990, through the unusual combination of the various materials and decorations or unexpected appearance of the components by the creative intention of a designer rather than activity and practicability of the military uniform. Secondly, military look and uniforms during the First・Second World War prioritizing conformity as the standardized form, revealed a fashionable aspect of women's clothes from 1960s to 1980s, having a meaning of eclecticism to combine authority of the uniform with the feminine fash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ilitary look since 1990 revealed a meaning of eclecticism differentiated from that of before 1990. Resulted from the social․cultural factors including differentiation of consumers' aesthetic taste, it changed from the standardized and stereotyped to de-standardized and various styles, combining with the ethnic style as the method to express difference. And it was newly interpreted as a meaning of eclecticism by space-time. Thirdly, a meaning of resistance was given to the military look and uniforms during the First・Second World War having the primary meaning of authority from 1960 to 1980 as the resistant means to the older generation or as the resistant fashion of hippies. After 1990, military look came to have a completely new meaning of sensuality through hiding and exposure of a body and emphasis of the femininity as the expression of personal sensibility and confidence rather than as the symbolic meaning of resistance.
As such, military look before 1990 continued to exist experiencing the new semantic change with the style and form to reflect wars and social ․cultural influences including the Vietnam War and anti-war movements, Middle-East War and the oil crisis, political ideology of the Wast European bloc, expansion of feminism and the open atmosphere of a society seeking for youth and freedom. Also, as the result of analyzing by the method of express difference like transformation, hybrid, absence and similarity, it shows that military look since 1990 has developed with a unique form and specificity by the social ․cultural factors like pluralism, creative intention of a designer, differentiation of consumers' aesthetic taste and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y, changing into the unexpected diverse forms. In other words, as far as it can capture 'difference' caused by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the fashion style, as a new style created to take a new role differed from that of the past fitting for sensibility and the sprit of the times, it's regarded that military look will reappear continually as another military loo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475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0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