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 Subjective Social Class, 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s: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우

Issue Date
2019-12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57 No.4, pp. 97-127
Keywords
주관적 사회계층삶의 만족도기회공정성 인식매개효과조절효과Subjective social classLife satisfaction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Mediating effectModerating effec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사회계층과 기회공정성 인식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효과가 성별 및 연령집단별로 어떻게 다르게 결합되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2016년 동그라미재단과 한국리서치가 진행한 한국사회 기회불평등에 대한 조사 자료의 전체 표본과 층화집단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지각된 기회공정성의 매개효 과와 사회계층의식의 조절작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주관적 사회계층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객관적 지표들과는 독립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대한 근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우리 사회에서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진다고 인식할수록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감은 증가하며, 상층에 속한다고 생각할 수록 기회공정성을 높게 지각한다. 이러한 기회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는 연령집단보다 성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남성 집단과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하다. 셋째, 기회공정성 인식과 삶의 만족도 간의 정적 관계는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게 평가할수록 약화되며, 이와 같은 조절효과 역시 상기한 두 집단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들에게는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기회공정성 인식에 더 민감해지며, 한국사회에 기회불평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주관적 계층 위치의 영향력은 더 커진다. 결론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한 상대적 평가는 성과 연령에 관계없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를 크게 좌우하지만, 주관적 안녕감의 비물질적 측면과 관련된 기회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개입과 함께 인구 하위집단별 삶의 경험과 정체성에 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해 보인다.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74308
DOI
https://doi.org/10.24145/KJPA.57.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