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국정운한자음 중성 교정에 대한 고찰 : ㆁ 종성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ction Rules of Sino-Korean of Donggukjeongun : Mainly on the Medial of Rhyme 「揯觥肱公江弓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다영

Issue Date
2018-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규장각, Vol.53 No., pp. 35-63
Keywords
동국정운한자음현실한자음교정유형중성26운부91韻16攝206韻四聲開合음절제약韻部구별洪細구별Sino-Korean of DonggukjeongunSino-Korean in 15th CenturyMedialRhyme Group 「揯觥肱公江弓京」syllable constraintKaihe(開合)four tones(四聲)grade(等)
Abstract
이 연구는 동국정운한자음 중성의 교정에 관한 연구이다. 동국정운한자음과 현실한자음을 비교하면 한눈에도 초성․중성․종성이 모두 교정의 대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東國正韻』(1448)의 「序」에서는 정운음의 초성과 종성의 교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면 초성․종성이 淸濁 四聲 七音 등을 근거로 하여 교정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序」에서 중성의 교정에 관한 언급은 찾기 어렵다. 따라서 중성 교정의 전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운음을 특정 비교 대상과 대비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운음의 중성이 무엇을 근거로 하여 교정되었는지 밝혀야 한다. 그런데 정운음의 중성을 中古音을 포함한 중국음과 비교하면 예외가 너무 많아 교정 유형을 밝히기가 쉽지 않은데 비해 이를 현실음의 중성과 비교하면 오히려 예외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정운음의 중성이 현실음의 중성을 따르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東國正韻』의 26운부 가운데 ㆁ 종성류에 해당하는 「揯觥肱公江弓京」운부에 속하는 글자들의 정운음과 현실음의 중성을 대비하였는데, 정운음의 중성이 기본적으로 현실음의 경향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경우에 한하여 현실음의 중성을 받아들이지 않고 교정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를 네 개의 교정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즉, ㉠음절제약, ㉡韻部구별, ㉢開合구별, ㉣洪細구별이 그것인데 이 중에서 ㉠음절제약을 통해 四聲과 開合이 갖추어지지 않은 운을 독립된 운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편찬자들의 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洪細구별은 현실음의 중성이 洪細를 구별하는 경향을 띠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는 규칙이었는데, 이를 통해 정운음의 중성 교정에 있어 우선적인 고려 대상이 된 것은 현실음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74495
DOI
https://doi.org/10.22943/kyujg.2018..53.0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