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768년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의 확산과 정착 : Growth and settlement of the Eupji type developed in 1768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두

Issue Date
2018-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규장각, Vol.53 No., pp. 255-310
Keywords
『경상도읍지』 유형『대구읍지』『경상도읍지』『여지도서』1768년(영조 44)eupji Types(邑誌類型)Yeojidoseo(『輿地圖書』)1768(Yeongjo 44)Daegu-eupji(『大丘邑誌』)Gyeongsangdo-eupji(『慶尙道邑誌』)
Abstract
1768년(영조 44) 경상도에서는 『대구읍지』․『의흥읍지』․『기천지』가 편찬되었다. 『여지도서』와는 다른 새로운 읍지 수록규정이 개발되어 적용된 것이다. 당시 개발한 규정은 전국의 각 고을에 하달되었다. 그러나 『여지도서』처럼 모든 고을 읍지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지는 못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1768년 목차의 개발, 1775년(영조 51) 적용의 위기, 1786년(정조 10) 확산 단계를 거쳐 1832년(순조 32)에 모든 고을에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1831년 경상도에서는 도지를 편찬하면서 모든 고을이 수록규정(규식)을 따르도록 하였다. 규정을 어긴 읍지는 수정․보완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경상감영에서는 수정․보완․정서하여 각 고을별로 대개 40개 항목으로 구성된 도지를 완성하였다. 1768년 개발한 읍지 수록규정이 경상도내 모든 고을 읍지에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1768년의 규정이 적용된 읍지를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겠다. 『경상도읍지』 유형은 『여지도서』에 비하여, 독립항목으로 장시․환적․과거․비판․임수, 부속항목으로 화세․요역을 신설하였으며, 호구․도서․군기․전부는 분리하거나 통합한 항목이다. 해읍에는 장시 다음에 어염을 두었다. 다만, 1831년에는 인공림인 임수를 신설하였고, 이때 창고의 부속항목인 군기를 독립항목으로 분리하였고, 관방은 관애로 바로잡았다. 1768년 개발한 읍지양식은 『여지도서』 경상도편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였으며, 선현의 행적과 시문을 중요하게 여긴 영조와 정조의 읍지 편찬의 이상이 반영된 것이다. 성리학의 수용과 그 실천에 모범적인 선현이 많았던 경상도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이 유형의 수용에 적극적이었다. 그 결과 경상도 고유의 읍지양식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74502
DOI
https://doi.org/10.22943/kyujg.2018..53.0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