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아 상호작용 증진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on&offline education program aimed at promoting father-infant intera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세은

Advisor
방경숙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영아아버지부아 상호작용영아발달지식부아애착Father-infantInteractionAttachmentDevelopment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1. 2. 방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영아 아버지를 위한 온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블렌디
드 러닝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가정방문, 구두 및 서면 피드백, 온라인 강의, 가정방문, 구두 및 서면 피드백 단계
에 따라 매주 1회씩 5주간 총 5회기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Kathryn Barnard (1978)의 아동건강가정
상호작용 이론에서 돌봄제공자, 환경, 아동이 교차하는 상호작용 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환경적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자
원을 제공함으로써 돌봄제공자와 아동 영역에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결과지표로써 영아발달의 지식 증가와 부아상호작용, 부아애착의 증진을
확인하고자 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에 의한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자치구 세
곳에 거주하면서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보편방문에 참여했던 가정
의 영아기 자녀(생후 2~6개월)를 둔 아버지들 중에서 편의모집방법에
의해 선정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8명이었고, 사후조사까지 완료한 최
종 연구참여자는 실험군 15명, 대조군 17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본 연구
에서 개발된 5주간의 부아 상호작용 증진 교육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 동질성 확인 후 일반화 추정 방정
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고, 실험군을 대상으로 취합한 만족도
조사결과는 내용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부아 상호작용 증진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군의
아버지와 대조군의 아버지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부아 상호작용 점수 변화량, 특히 돌봄제공자 측면의 점수변화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072). 그러나 영아발달지식, 부아애착은 그룹과 시간에 따른 변화량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영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부아 상호작용
증진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영아 신호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 내 돌봄제공자를 위한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정확한 영아발달지식을 바탕으로
부아 상호작용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교육
과 오프라인 교육을 안배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아버지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스케쥴
을 허용하고, 개별적인 상담과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커
뮤니티와 전화상담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프로그램은
아버지뿐만 아니라 어머니, 조부모, 아이돌보미를 포함한 타인돌봄제공
자, 정상아, 질환 아동 등 각기 다른 상황의 대상에게 적용가능하다는 점
에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추후 아버지들의 직접 참여
의 기회를 확충하고, 토론 등을 통해 비슷한 처지의 아버지들 간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의 보완 및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off-line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of infants to enhance parental interaction and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five
sessions. The sessions were comprised of home visit, oral and written
feedback, online lectures, home visit, and final oral and written feedback
and all of them were done in the mentioned or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nteraction domain where the care provider, environment, and children
interacted within Kathryn Barnard(1978)'s Child Health Family Interaction theory. Especially,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nfrim the educational program provided social
support for fathers of infants by figuring out whether the program
increased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father-infant
interactions and attachment as outcome indica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where each group was
composed of 18 people. They wer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y were fathers with infant children (2-6 months of age)
residing in three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universal visit as part of the Seoul Healthy First Step Project. The
number of the final study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follow-up
investigation composed of 15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people in the control group.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n·off-line
father-infant interaction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hypothes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GEE) after confirmation of preliminary
homogineity, and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ere organ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father-infant interact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in the caregiver aspect
(p=.075). However, the changes between the groups and tim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ame t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and infant-father attachment.
Through this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father-infant interaction
promoting education that targeted fathers of infants enhances the
father's sensitivity to infant signals and fosters the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infants cognitive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d possible strategies improving father-infant interactions by
making sure that they have accurate knowledge regarding infant
development so that the quality of care of the caregivers at home can be
improved.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only t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using both on and off-line
education, but also it tried to encourage working fathers to participate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ir schedules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nd feedback gathering by using the means of online community and
phone counseling. This program can be applied to various caregivers
and infants in diverse situations including mothers, grandparents,
babysitters, and children with disease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program by expanding the fathers direct
participations and by encouraging knowledge-sharing among fathers
who are in similar circumstances althoug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in this regar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0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5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