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술실 간호사의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경험 : Experience with Bloodborne Pathogens Exposure among Operation Room Nurses in Korea: A Qualitative Stud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숙

Advisor
강자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혈액매개 감염수술실 간호사경험주제분석Bloodborne Pathogens ExposureOperation Room NursesClinical ExperienceThematically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1. 2. 강자현.
Abstract
Operation room (OR) nurses are at a high risk for bloodborne pathogens (BBP) exposures since they are constantly in contact with blood and body fluid (BBF) through surgical sites and frequently use sharp surgical instruments and sutures during surgery. Despite the high risk of BBP exposures among OR nurses, data on the details of which situation are at risk and reasons for noncompliance with post-exposure reporting are almost nonexistent. In addition, it is unclear about the behaviors of OR nurses right after exposure to BBP during surgery and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xperience with exposure to BBP among OR nurses in South Korea.
With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pproval,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with 12 OR nurs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and experienced any BBP exposures. Based on the main research question How is the experience of BBP exposure among OR nurses?, the semi-structured questions for in-depth interview were prepared. Narr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hour individual interviews from June to September 2020 and were analyzed using a thematical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4.4 years with on average 9.7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main theme was extracted as The nurses are alerted to their safety after experiencing the aftereffects and emotional trauma from BBP exposures with 4 sub-themes and 14 concepts. The first sub-theme, OR nurses risking exposure to BBF, included: 1) Hurried doctors and hasty nurses; 2) Sharp surgical instruments everywhere; 3) De-prioritized self-protection due to ongoing surgery; 4) Inattentive to BBF risk; and 5) Uncomfortable, foggy goggles and receded safety devices. The second sub-theme, BBP exposures occurred in a flash, included: 1) Sharp injury occurred in a split-second; 2) Temporarily treat sharp wounds while hiding frightened feelings; and 3) OR nurses concentrated on surgery by suppressing anxiety and sharp wounds. The third sub-theme, Burdened time that could be overwhelmed alone, included: 1) BBP exposures moments that I wish to reverse; 2) Anger over dangerous environments and the turmoil of anxiety; 3) Exhausted body and facial discoloration due to taking post-exposure prophylaxis; and 4) Exposure to BBP that I want to hide from family and friends. The fourth sub-theme, Voice for everyones safety, included: 1)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which requires everyones efforts; 2) Necessity of practical resources for decreasing BBP exposures.
In conclusion, the participating OR nurses felt that they were working with a high risk to BBF exposures and called for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o reduce the risks, including surgeons attentive collaboration. Korean hospital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establish safety culture in OR, provide repeated, tailored education to prevent BBF exposures, and supply high-quality protective equipment and safety-engineered devices for OR nurses.
수술실 간호사는 환자의 개방된 수술부위를 통해 혈액 및 체액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수술 중 수술칼, 봉합바늘 같은 예리한 수술도구의 조작과 사용이 빈번하여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위험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에 따른 찔림 노출 실태, 수술실 상황에 맞는 노출 후 보고 또는 미보고 요인을 자세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된 수술실 간호사의 다양한 심리적 변화와 그 심리가 어떻게 대처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된 간호사의 경험을 총제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어,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경험을 질적방법으로 탐구하였다.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된 수술실 간호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준비하였으며 감염관리 전공 교수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였다. 자료조사 시행 전 S병원의 IRB승인을 받았으며, 본 연구는 2020년 7월부터 2020년 9월까지 목적적 표본추출방법으로 근무경험 3개월 이상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총 12 명의 수술실 간호사와 심층면담을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녹음 자료를 필사하여 Braun and Clark(2016)의 6단계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총 임상경력은 평균 9년 9개월이였으며, 수술실 간호사의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경험의 중심주제는 순간적인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로 후유증과 마음의 상처를 경험한 후, 간호사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짐 으로 도출 되었으며, 4가지 하위주제와 14개의 세부 개념을 포함한다.
제 1 하위 주제인 위해 근무 환경에 그대로 노출됨 이며, 혈액 및 체액 노출 위험이 높은 수술실 환경 및 문화에 대하여 서술한 주제로 서두르는 의사와 바삐 준비하는 간호사, 곳곳에 있는 뾰족한 기구들, 급변하는 수술실 상황에 뒤로 밀려난 간호사 안전,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위험을 간과함, 안개처럼 답답한 보호안경, 존재조차 희미한 안전기구 다섯 가지 세부 개념으로 나타났다.
제 2 하위 주제인 아차 하는 순간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됨 은 참여자가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순간 상황과 심리 그리고 대처 경험을 엮은 주제로, 아차 하는 순간 일어난 주사바늘 찔림사고, 놀란 마음을 애써 감추며 상처를 임시로 치료함, 내 상처와 두려움은 뒤로하고 환자의 수술이 진행되도록 업무에 집중함 세 가지 세부 개념으로 나타났다.
제 3 하위 주제인 홀로 견뎌 내기에는 버거운 시간들 은 참여자가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후에 느껴야 했던 매우 불안전한 감정과 예방적 약제 복용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작용 경험 그리고 가족 갈등을 견뎌야 했던 경험 주제로, 되돌리고 싶은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순간, 치미는 분노와 불안으로 요동치는 감정, 예방약제 복용으로 지친 몸과 검게 변해 버린 얼굴, 가족과 친구에게 숨기고 싶은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사실 네 가지 세부 개념으로 나타났다.
제 4 하위 주제인 모두의 안전을 위해 목소리를 냄 은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된 수술실 간호사들이 제시한 감염원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여기는 요인들을 포괄한 세부주제로,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하는 직원 안전문화 실천 과 개선을 위해 실제적 자원 마련이 필요함 두 가지 세부 개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술실 간호사는 혈액 및 체액 노출 위험이 높은 문화 환경에 근무하고 있으며,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족한 직원안전문화의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처음으로 수술실 간호사 대상으로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을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에 대한 실제적 경험을 깊이 있게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혈액매개 감염원 노출 예방을 하기 위해 간호사 개인의 노력만으로 예방할 수 없는 부족한 직원안전문화 요인에 대하여 본 자료를 기초로 하여 기관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과 수술실 간호사들에게 필요한 혈액 및 체액 노출 예방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교육 자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국내 수술실 간호사의 혈액 및 체액 노출 예방에 관련한 후속 연구들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0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9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