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항만보안과 항만회복탄력성이 항만의 지속가능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Port Security and Port Resilience on Port Sustainability Performa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찬호

Advisor
박상욱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보안회복탄력성보안운영성과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성과환경적 지속가능성성과항만securityresiliencesecurity operational performancesustainability performanceportsupply chai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1. 2. 박상욱.
Abstract
Because of COVID-19, 2020 is a year we will remember. According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estimates and predictions, world merchandise trade for 2020 declined by 9.2% as of October, and this may be followed a 7.2% drop in 2021, or a 21.3% drop in the worst-case scenario. In other words, in the context of increased complexity, uncertainty, and contingency caused by globalization, unexpected threats such as COVID-19 caused an increase in social vulnerability. Therefore, the world is discussing a new normal after COVID-19, and there is resilience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Social issues such as the need to secure resilience due to COVID-19 have always existed. Environmental issues in the 1960s and oil shocks in 1970 sparked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due to resource depletion, and the September 11, 2001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sparked global discussions on security issues. In terms of unforeseen threats, security,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are terms that have preparedness and responsiveness in common. In particular, they have a common purpose of promot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ability of the country as well as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by preparing for and responding to unforeseen threats. Therefore, security and resilience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curity can be realized when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omains all operate within acceptable boundaries.

However, in terms of port security,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ces of opinion on the performance between port service providers and users. In addition, at the port site, port security, port resilience, and port sustainability are carried out separately, resulting in redundancy of implementation and inefficient appli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field application of port security, port resilience, and port sustainability in response to unexpected threats.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 survey of port security operators and shipping companies in Korea an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port security level, port resilience, port security operation performance, socioeconomic sustainability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erformance, thereby finding justification for port security, integrated port security management, port resilience, and port sustainability. In addition, the research model was subdivided into 4 detailed research models to identify the impact of port security implementation on port operation efficiency and to present specific directions for port security, port resilience and port sustainability integrated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direc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rt security and port sustainability or between port recovery elasticity and por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owever, there was a relationship among port security, port resilience, port security operational performance, and port sustainability. There is a mediating effect, suggesting that port security and port resilience need to be managed in a systemic way to promote port sustainability. In addition, the port security leve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ort resilience, such as absorption, adaptability, and recovery. However, the recovery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perator, which is a port service provider, but not on the shipping company. In other words, port operators and shipping companies had different views on recovery as one of the subfactors of port resilience.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port operators,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goals of port security and port resilience with the shipping company, which is a business partner, and jointly promote mutual benefit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security level and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port security operational performance, both the operator and the shipping compan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rt security lev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Comprehensively,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threat that could cause social disasters has diversified due to the nature of society, which has become more complex due to globaliz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cessity of securing security and resilience of ports is high. As such, port security does not simply mean controlled access to port facilities. Rather, mutual understanding among and efforts made by all stakeholders, including port operators as port service providers and shipping companies as service users, are required if they intend to achieve port security operation performance through controlled access and resilience for mutual existence and survival of ports, businesses, regions, and countries both in the present and futur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careful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port security, port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compromise among all stakeholders on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reas.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가 봉쇄된 해로 기억될 것이다. 그동안 세계화로 인해 복잡성, 불확실성 및 우발성이 증가된 상황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예상하지 못한 위협은 사회적 취약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질서에 대한 논의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회복탄력성이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회복탄력성 확보문제와 같은 사회적 이슈는 예전에도 있었다. 1960년대 환경문제 및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자원고갈에 따른 지속가능성, 2001년 미국의 9.11테러에 따른 보안문제가 그러한 사례가 될 수 있다. 보안, 회복탄력성 및 지속가능성의 공통점은 예측하지 못하는 위협에 대비・대응하는 방안이라는 점이다. 특히 이들은 예측하지 못하는 위협에 대비・대응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은 물론 국가의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는 공통적인 목적을 가진다. 따라서 보안과 회복탄력성은 사회적 안보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이러한 사회적 안보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역이 모두 허용 가능한 경계 내에서 작동할 때만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항만보안과 관련하여 그동안 항만서비스의 공급자와 이용자 간에는 그 성과에 대해 많은 의견차가 있었다. 또한 항만 현장에서 항만보안, 항만회복탄력성, 항만의 지속가능성 등이 분리・적용되고 있어, 예상하지 못하는 위협에 대응한 항만보안, 항만회복탄력성 및 항만의 지속가능성의 통합적인 현장 적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보안수준-항만회복탄력성-항만보안운영성과-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성과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성과 간의 관계를 우리나라의 항만보안을 담당하고 있는 운영사 및 이용자인 선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하여, 항만보안 이행이 항만보안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항만보안-항만회복탄력성-지속가능성 등의 통합・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항만보안과 항만의 지속가능성 간에, 그리고 항만회복탄력성과 항만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항만보안-항만회복탄력성-항만보안운영성과-항만의 지속가능성성과 간에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여 항만보안이나 항만회복탄력성은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항만보안수준은 항만회복탄력성의 하위요소인 흡수력, 적응력, 복구력 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복구력에 대해서는 항만서비스 공급자인 운영사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사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만회복탄력성 복구력의 대상에 대한 운영사와 선사의 입장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 운영사 입장에서는 항만보안과 항만회복탄력성의 목표를 비즈니스 파트너인 선사와 공유하고 공동으로 상호 이익을 위한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운영사와 선사 모두에서 항만보안수준과 항만보안운영성과 중 운영효율성 간 관계에 있어 항만보안수준은 운영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세계화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된 사회의 특성상 사회적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위협은 다양화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공급사슬의 한 노드이자 국가 중요시설인 항만에 있어 항만보안과 항만의 회복탄력성 확보의 필요성도 높다. 특히 항만보안이 단순히 항만시설에 대한 접근제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접근제어와 회복탄력성을 통한 항만보안운영성과의 달성은 항만과 기업, 지역, 국가가 현재와 미래 모두 공존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로 항만서비스의 공급자인 항만 운영사와 이용자인 선사 등을 포함하는 이해관계자 간 이해와 더불어 확보를 위한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이해관계자 간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역의 지속가능발전 목표에 대한 타협과 더불어 항만보안, 항만회복탄력성 및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신중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0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9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