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축차용 비평을 위한 방법론 구축 및 적용 :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Criticism Model for Architectural Appropriation: Based on the Criticism of Appropriation in Art and the Distinctiveness of Architectural Creation
차용작품의 미술비평과 건축의 특수성을 토대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선

Advisor
최재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건축차용건축표절건축비평현대건축Architectural AppropriationArchitectural PlagiarismArchitectural CriticismContemporary Architecture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1. 2. 최재필.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적 유사성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예술작품으로 인정받는 차용작품의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궁극적으로 건축에서도 차용작품과 같은 차용 건축물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축표절 현황을 살펴보고, 표절 의혹 건축물 중에서 건축가가 차용을 주장하는 사례를 차용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건축차용의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차용작품이 되기 위한 미술비평의 기준을 고의성, 목적성, 예술성으로 구분하여 건축 차용비평의 순서도를 도출하고, 차용을 주장하는 건축 사례에 미술비평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건축 차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축 창조과정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표절 의혹 사례에 대한 차용비평의 과학적 접근과 예술적 접근방법을 제안하여, 앞으로 발생 가능한 건축차용의 표절 의혹에 대비하는 건축비평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차용과 표절을 고찰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표절, 차용, 비평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미술의 표절과 차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용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차용작품의 사례를 통해 미술의 차용개념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표절과 차용의 개념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한 사회적 배경과 미술사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미학에서 표절과 차용을 구분하여 비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오늘날 건축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차용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차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추가하여 오늘날 건축에서 차용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저작권침해와 표절을 혼용하고 여전히 시각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표절을 평가하려는 건축표절 논의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2장」에서는 건축표절과 건축차용 비평의 관련성을 입증하고, 건축차용 비평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건축차용 비평을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먼저, 미술비평의 구조를 분석하여 순서도를 통한 비평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건축 차용비평을 위해 차용작품에 대한 미술비평의 최소 기준을 정리하여 차용의 고의성, 목적성, 예술성을 기준으로 건축 차용비평의 순서도를 도출하였다. 이전의 미술비평에서 평론가들은 표절과 차용을 구분하고 있었지만, 어떠한 기준으로 표절과 차용을 구분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의 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차용작품과 표절작에 관한 미술비평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차용작품이 되기 위한 미학의 최소 기준을 정리함으로써 넓은 의미의 차용미학을 이해하고 차용작품이 되기 위한 미학의 최소 기준이 적용된 건축 차용비평의 순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차용작품의 미술비평이 작가가 차용을 주장하거나 이미 널리 알려진 작품을 차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차용을 주장하지 않는 건축의 표절 의혹 사례를 차용미학의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한 순서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차용작품의 미술비평에 건축디자인 과정에 특수성을 추가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축표절 관련 현황을 조사하여 건축표절의 발생원인과 건축표절 논의의 쟁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건축에서 표절 판단이 어려운 특수한 요인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제까지 건축에서의 표절 논의는 기술의 전형, 디지털에 의한 형태생성, 건축의 상품화, 서양식 근대화 과정의 동양 건축물 등 건축 창조과정의 특수성으로 인해 표절과 차용을 구분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용미학의 관점에서 건축 창조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표절이 아닌 창조적 모방으로서의 건축 차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술 창조과정과 건축 창조과정의 차이를 건축표절 논의의 쟁점에서 도출하고, 미술비평의 구조를 해석함으로써 차용을 주장하지 않는 건축표절 의혹 사례에 대한 건축차용을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건축표절 논의의 쟁점에 따라 비평적 관점을 기술적 접근과 미학적 접근으로 달리하는 방향을 정리하고, 상품화된 건축 사례에서 차용미학 비평의 관점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현대 예술 비평에서는 다양성이 존중되어야 한다. 그로 인해 표절 의혹이 있는 동일한 작품에 대해 평론가들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방법론에 충족하지 않는 차용작품은 차용미학을 통한 비평의 대상에서 논외가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다양성을 존중하는 선에서 최소한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차용작품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차용미학을 논하는 절대적인 기준이나 다양성을 지나치게 존중하는 기준을 제안하기보다는 건축 차용이 되기 위한 최소 기준을 통해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건축차용 비평을 위한 방법론을 적용한 비평의 시뮬레이션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우선 「4장 1절」에서는 실제 표절 의혹이 있는 건축 사례 중에서, 차용미학의 관점에서 건축가 또는 건축주가 표절이 아니라며 해명하는 사례에 대해 미학의 차용작품이 되기 위한 미술비평의 최소 기준으로 차용 여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차용을 주장한 건축물의 차용 여부를 비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필립 존슨의 , 하워드 라가트의 , 중국 충칭의 이다. 연구의 대상에 대해 건축차용을 성공한 차용과 실패한 차용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패한 차용 건축물에서 표절 의혹이 있을 시 건축표절 판단 기준으로 표절 여부를 살펴볼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축차용 논의에서 나타나는 고의성, 목적성, 예술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며 미학의 기준만으로 분석할 수 없는 건축차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4장 2절」에서는 차용을 주장하는 않는 표절 의혹 사례에 대해 건축 차용을 분석하였다. 건축에서 차용을 주장하는 않는 이유는 비교적 현대 미학에 속하는 차용 이론에 건축가들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예술 모방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던 건축 사례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표절 의혹 사례에 대해 건축 차용을 분석하는 대상은 1960~80년대 한국 건축표절 의혹 사례이다. 연구의 대상이 1960~80년대의 표절 의혹 사례인 이유는 우리나라 건축에서 서양식 근대화를 적용하며 발생한 시행착오 과정의 건축물을 미학의 관점으로 재평가함으로써 각각의 사례들이 가진 건축적 의의를 되짚어보고자 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부터 현재까지 표절과 차용 논의의 중심에 있는 김중업의 , 김수근의 및 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학계의 카르텔과 건축사의 신비화 과정을 해체하고 현대적인 차용미학의 관점에서 해당 사례들을 논의하며 표절 의혹 건축물의 예술적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저작권법에 의지하고 있는 건축표절 논의의 현황과 문제 제기에 그치는 것이 아닌, 미학의 관점에서 현대건축계의 표절 문제를 표절과 차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건축 차용이라는 새로운 범주를 건축계에 제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건축 창조의 범주를 넓히고 이를 통해 건축에서도 올바른 차용을 통한 적극적이고 발전적인 창조 행위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사법권에 의한 표절 판단이 아닌 건축계의 자치적인 비평을 통한 표절 논의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기존 학계에서 건축의 특수한 창조과정과 복합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건축표절 연구를 기피하였다면, 본 연구는 미학의 차용 이론을 건축에 접목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건전한 건축 창작의 범주를 넓히고 예술로서의 건축표절 연구를 시작하고자 하였다.
건축표절과 차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일 뿐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명확한 건축표절과 차용의 경계를 논하기 위해 건축표절 비평을 위한 방법론을 구축해야 한다. 더불어 건축표절 의혹 사례들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정의하여야 하고, 건축가의 창작에 대한 권리를 어느 선까지 인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리적인 기준을 명확히 하는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go beyond the limit of visual similarity and examine the aesthetic meaning of appropriation in the art that are recognized as works of art, and ultimately propos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appropriation in architecture.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appropri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architectural plagiarism and analyzing cases in which architects claim approp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appropriation. Also, by categorizing the minimal criteria of art criticism to be criticized as an aesthetic appropriation into intention, purpose, and artistry, a flow chart of architectural appropriation criticism was derived, and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appropriatio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riteria of art criticism to architectural cases claiming to confirm the architectural appropriation. Finally, the study proposed a scientific and an artistic approach to the architectural appropriation criticism model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architectural creation process. Therefore the field of architecture possibly prepares the new style of architectural creation.
In Chapter 2, the study defined the meaning of appropriation, plagiarism, and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in art, the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in art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ropriation based on the artworks as examples. Also, the study examined the causes of why the concepts of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inevitably conflict based on the art criticism of plagiarism issues in appropriation in art. Also,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appropriation was examined by gathering examples of appropriation that are occurring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pointed out two problems of the current discussion of architectural plagiarism. First, the field of architecture attempts to evaluate plagiarism only based on visual similarity. Second, the field of architecture depends on copyright infringement to judge architectural plagiarism. Altogether, the study v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to criticize with the same criticism model.
In Chapter 3, the study established the architectural appropriation criticism model. In the previous art criticism, critics distinguished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but there was no framework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what criteria to distinguish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So, the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art criticism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rough flowcharts. Next, to reason the minimal criteria of appropriation in art, the study analyzed recent criticisms on appropriation in art. The drawn minimal criteria of appropriation in the art are intention, purpose, artistry.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an architectural appropriation criticism model by understanding the examples of appropriation in art. Also, the study added specificity to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the art criticism of appropriation artworks. Also, the study added specificity to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the art criticism of appropriation artworks. The specificities to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were seven followings: commodification in architecture, architectural archetype, computer-generated architecture, westernized-modernization in eastern architecture, making technique, the motif from nature, and architectural prototype.
In Chapter 4, the study tried to show the simulation of criticism by applying the criticism model to the six different architectural examples: , , , , , and .
The study on architectural plagiarism and appropriation has just begun. Our generation of architects needs to do a lot of research to evaluate architectural plagiarism through criticism. Also, more criticism on architectural appropriation should accumulate. The architectural field where proper appropriation in architecture is possible will establish a virtuous cycle of architectural cre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1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