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수동 준공업지역의 도시조직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Organization Change in Seongsu-dong : Focused on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영혜

Advisor
김승회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휴 산업시설재생건축성수동준공업지역보존Adaptive reuseIdle industrial facilitiesSeongsu-dongpreserv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1. 2. 김승회.
Abstract
Cities change over time, facing a period of power generation, prosperity and decline. In the past, when a single area declined, the city was newly created by means of redevelopment, which eliminated all exiting urban organizations. However, this has caused the loss of the regions unique identity. Recently, it is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a unique identity of the region by introducing new elements while maintaining the past. And Adaptive Reuse is one of the ways to introduce new elements of the declining area.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Adaptive Reuse, especially in the case of regenera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remaining in the city center. However, compared to this intere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xpansion of Adaptive Reuse cases. Also the plann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case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Seongsu-dong as a target area, which is the most active area of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eongsu-dong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ition process, current status of industry, and physical environment of Seongsu-dong.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ase of Adaptive Reuse in the target area, this study will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cases in Seongsu-dong industrial area.

Seongsu-dong began as a factory-concentrated area and was designated as a semi-industrial zone by the government. And this led to form a place identity of Seongsu-industrial zone. Under the Ttukdo Land Compartmentalization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in 1966, the site and street landscape of Seongsu-dong were maintained. At this time, Seongsu-dong was planned to form as the current urban organization, which is the coexistence of various sizes of land, and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mainly used to form the area. The main industries located in Seongsu-dong area are handmade shoe industry and leather industries. Currently, it is designated as a local industry and is the larges integrated area of handmade shoe industry in Seoul.

The number of adaptive reuse of industrial facilities in Seongsu-dong gradually increased starting from the first case in 201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adaptive reuse cases, most of the cases preserved the exterior and space as it is and adapted new usage. And it is providing visitors with a new experience. In addition, there are examples of introducing functions related to local industries such as handmade shoes and leather industries, linking them to the identity of the region.

Currently,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y cases in various regions are proceeding in a similar way without considering the identity of the region. However, adaptive reuse is not limited to simply recycling a building or promoting the economic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Adaptive reuse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locality by introducing functions and at the same time as highlighting the identity of each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based on a close analysis of the region when an adaptive reuse plan is in progres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conduct research on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y cases and regional changes in other regions.
도시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발전기, 번성기 그리고 쇠퇴기를 맞이하며 변해간다. 과거에는 하나의 지역이 쇠퇴하였을 경우 기존의 도시조직을 전부 제거하고 새로운 도시를 형성하는 재개발의 방식으로 도시가 새롭게 생성되었다. 하지만 이는 그 지역만의 고유한 정체성이 상실되는 문제를 야기했다. 최근에는 과거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여 그 지역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재생건축(Adaptive Reus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재생건축(Adaptive Reuse)은 쇠퇴한 지역의 새로운 요소를 도입할 수 있는 방안 중에 하나로 이를 이용하여 도심에 남아 있는 유휴 산업시설을 재생한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 비해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의 확산 현황과 재생건축의 계획 방법과 특성에 관한 탐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 사례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성수동 준공업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성수동의 변천과정과 산업현황 그리고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성수동의 특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대상지에서 진행된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 사례의 현황과 사례 분석을 통해 성수동 준공업지역 내 유휴 산업시설 재생 사례들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성수동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공장 밀집지역으로 시작하여 정책에 의해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되면서 공장지대라는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1966년에 시행된 뚝도지구 토지구획사업으로 성수동의 필지와 가로경관 정비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때 성수동은 다양한 규모의 필지가 공존하고 있는 형태로 계획되어 지금의 도시조직을 형성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산업시설이 주를 이루어 지역을 구성하고 있다. 성수동 준공업지역에 입지하고 있던 주요 산업은 수제화 산업과 피혁 산업으로, 현재에는 지역산업으로 지정되어 서울시 내 수제화 산업 최대 집적지로 자리 잡고 있다.

성수동 준공업지역의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 사례는 2011년에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로 점차 확산되게 된다. 각각의 재생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사례들이 외관과 공간을 그대로 보존하되 새로운 용도로 변경하여 과거의 모습과 새로운 모습이 공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방문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지역산업인 수제화 산업과 피혁산업과 연관된 기능을 도입한 사례들도 등장하여 성수동에서 진행된 재생사례만의 특수성을 형성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휴 산업시설 재생 사례들은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고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재생건축(Adaptive Reuse)은 단순히 물리적으로 하나의 건물을 재활용하는 것 또는 지역의 경제 활성화만 도모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지역의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것과 동시에 기능을 도입하여 새로운 지역성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재생건축(Adaptive Reuse) 계획이 진행될 때에는 지역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기초로 타 지역에서 진행된 유휴 산업시설 재생 사례와 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1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3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