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入學圖說』의 體用論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Ti-young in Ip-hak-do-so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목언

Advisor
김병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권근(權近)입학도설(入學圖說)체용(體用)천인합일(天人合一)경(敬)도덕교육Kwon GeunI p-hak-do-soelti-youngtian-ren -he-yijingmoral educatio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1. 2. 김병환.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understand the ideas of Yang chon(陽村) Kwon Geun(權近), wh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s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ti-young(體用). I considered the theory of ti-young(體用) revealed in Ip-hak-do-soel(『入學圖說』), where his ideas are concentrated, and examined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it. And the discussion also included the topics related to this thesis in the O-Gyeong Cheongyeon-rok(『五經淺見錄』).
Kwon Geun(權近)'s study of Neo-Confucianism is based on the theory of ti-young(體用).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theory of ti-young of Buddhism and Chinese Neo-Confucianism, which is the ideological origin of the theory of ti-young. Seng Zhao(僧肇)'s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s(卽體卽用), Huyan(華嚴)s li-shi-beop-gye(理事法界), and the relation of ti-young between the Dhyana-Meditation[禪定] and Discriminating-Insight(智慧) of Hye Neung(惠能) affect the formation of ti-young in Chinese Neo-Confucianism. Ho Won(胡瑗), a representative figure who came to accept Buddhist ti-young theory in contact with Dhyana-Meditation in Northern Song dynasty, insisted on studying the name ming-ti-da-young(明體達用), and Son bok(孫復) identified O-gyeong(五經) with the structure of ti-young. In particular, Son Bok's O-gyeong hoe-Tong(五經會通)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won Geun's understanding of O-gyeong.
Cheng Yi(程頤), who used the concept of li-qi(理氣) in earnest, the center of the theory of ti-young, defines the nature and relationship of ti(體) and young(用) with the phrase ti-young-yi-yuan, xian-wei-wu-jian(體用一源, 顯微無間). Highly influenced by Cheng Yi, Chu Hsi(朱熹) organize the theory of ti-young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Thus, the theory of ti-young is incorporated into the whole of the subject's thought, the Theory of Cosmology(宇宙論), Mind-Nature(心性論), Cultivation(修養論), and Governance(經世論). This is also reflected in Kwon Geuns thought of faithfully following the Chu Hsis idea.
The most important diagram of Ip-hak-do-soel, Tian-ren xin-xing-he-yi-zi-tu(「天人心性合一之圖」), has established relationship of ti-young of between tian-tao(天道) and ren-tao(人道). Kwon Geun declares that through this, all humans are likely to reach the level of Tian-ren-he-yi. In addition, in Tian-ren xin-xing fen-xi-zi-tu(「天人心性分析之圖」), the characters of tian(天), ren(人), xin(心), and xing(性) are digested to conduct a Theory of Mind-Nature through the meaning of strokes.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the ti-young structure of Kwon Geun's thought is his study of O-gyeong. He summarizes his understanding of O-gyeong through O-gyeong-ti-young he-yi-zi-tu(「五經體用合一之圖」), O-gyeong ke-fen-ti-young-zi-tu(「五經各分體用之圖」) and a related book, O-gyeong cheon-gyeon-rok. Kwon Geuns Confucian classics(經學) and the theory of governance(經世) appear in ti-young structure of Ju-yeok(周易) and Chun-chu(春秋), ti-young structure of each of the scriptures of O-gyeong, and ti-young structure of the saints and O-gyeong. In addition, in the Chun-wang-jeong-wol-fen-xi-zi-tu(「春王正月分釋之圖」), Hong-bum-gu-Ju-tian-ren-he-yi-tu(「洪範九疇天人合一圖」), and the Wu-yi zi-tu(無逸之圖), he expresses that it is tian(天) that sh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power of the authoritarian ruler.
Kwon Geun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that he should have as a ruler in the Da-xue-zhi-zhuang-zi-tu(「(大學指掌之圖」) and zhong-young shou-zhang-fen-xi-zi-tu(「中庸首章分釋之圖」), which were written based on Da-xue(『大學』) and Zhong-young(『中庸』). And he emphasizes the way to study to form an ideal human being and even an ideal leader though ti-young structure of the context of Cultivation(工夫)-Fruits(功效), Konwledge(知)-Conduct(行), And tian(天)-xing(性), xing(性)-tao(道), tao(道)-jiao(敎).
Ip-hak-do-soel is a book written by Kwon Geun for beginners entering Neo-Confucianism, and is an introductory book that outlines the cor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through diagram. Therefor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book itself is significant an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it through the theory of ti-young, which is the framework of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ti-young structure, the idea of Kwon Geun has the theme of tian-ren-he-yi that penetrates the entire thought. We need constant moral cultivation to achieve this, and the cultivation is done through jing(敬). The major discipline methods of Neo-Confucianism, such as xiu-lian(收斂), zheng-qi-yan-su(整齊嚴肅), zhu-yi-wu-ji(主一無適), and chang-xing-xing(常惺惺) are notable in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drawing attention in moral education. The emphasis of quan-tao(權道) and reciprocal advance of knowledge-conduct(知行竝進) also ha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that values the application of the reality of knowledge.
본 논문은 여말선초 성리학의 기틀을 확립하는데 이바지한 양촌 권근의 사상을 체용론의 구조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사상이 집약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입학도설』에 드러난 체용론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도출되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경천견록』 중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부분도 논의에 포함시켰다.
권근의 성리학 연구는 체용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권근 체용론의 사상적 기원이 되는 불교와 중국 성리학의 체용론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승조(僧肇)의 즉체즉용(卽體卽用)과 화엄종의 이사법계관(理事法界觀), 그리고 혜능(惠能)의 선정(禪定)과 지혜(智慧)의 체용관계 등은 성리학의 체용론 형성에 영향을 준다. 북송대에 선종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불교의 체용론을 수용하게 된 대표적 인물인 호원(胡瑗)은 명체달용(明體達用)의 학문에 힘쓸 것을 주장하고, 손복(孫復)은 체용의 구조로 오경(五經)을 파악하였다. 특히 손복의 오경회통(五經會通)은 훗날 권근의 오경 이해에 심후한 영향을 주었다.
체용론의 중심인 이기(理氣) 개념을 본격적으로 사용한 정이(程頤)는 체용일원, 현미무간(體用一源, 顯微無間)이라는 구절로 체와 용의 성격과 관계를 규정한다. 정이의 영향을 크게 받은 주자는 체용론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그리하여 체용론은 우주론, 심성론, 수양론, 그리고 경세론에 이르기까지 주자 사상 전반에 녹아들게 된다. 이는 주자의 사상을 충실히 따른 권근의 사상에서도 드러난다.
『입학도설』의 가장 핵심도(圖)인 「천인심성합일지도」에는 천(天)과 인(人),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체용적 관계가 정립되어 있다. 권근은 이를 통해 인간은 누구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에 이를 가능성이 있음을 천명한다. 또 「천인심성분석지도」에서 천·인·심·성 각 글자를 파자(破子)하여 획(劃)이 가진 의미를 통해 심성론을 펼친다.
권근 사상의 체용적 구조가 가장 확연히 드러나는 부분은 그의 『오경(五經)』 연구이다. 그는 『입학도설』의 「오경체용합일지도」, 「오경각분체용지도」, 그리고 관련 저서인 『오경천견록』을 통해 『오경』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정리한다. 『주역(周易)』과 『춘추(春秋)』의 체용구조, 『오경』의 경전들 각각이 가진 체용구조, 그리고 성인(聖人)과 『오경』의 체용구조에 권근의 경학(經學)과 경세(經世) 사상이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그는 「춘왕정월분석지도(春王正月分釋之圖)」, 「홍범구주천인합일도(洪範九疇天人合一圖)」, 그리고 「무일지도(無逸之圖)」에서는 위정자(爲政者)가 경세할 때 근거로 삼아야할 것이 천(天)임을 피력한다.
권근은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바탕으로 저술한 「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와 「중용수장분석지도(中庸首章分釋之圖)」에서 위정자로서 갖추어야할 품성과 자질을 설명한다. 그리고 공부(工夫)와 공효(功效), 앎[知]과 행함[行]의 체용구조와 천(天)-성(性), 성(性)-도(道), 그리고 도(道)-교(敎)의 체용구조를 통해 이상적인 인간, 나아가 이상적 지도자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공부 방법을 강조한다.
『입학도설』은 권근이 성리학에 입문하는 초학자들을 위해 저술한 책으로 그림을 통해 성리학의 핵심 원리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개론서이다. 따라서 이 책 자체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는 상당하며 성리학 이해의 뼈대가 되는 체용론을 통해 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체용론적 구조를 바탕으로 살펴본 권근 사상은 전체를 관통하는 천인합일이라는 주제를 가진다. 우리에게는 이를 이루기 위한 끊임없는 도덕적 수양이 요구되고 그 수양은 경(敬)을 통해 이루어진다. 성리학의 주요 수양방법인 수렴(收斂)과 정제엄숙(整齊嚴肅), 주일무적(主一無適)과 상성성(常惺惺) 등의 경(敬) 공부는 현재 도덕교육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성교육(character education)에서 주목할 만하다. 시의적절한 권도(權道)와 지행병진(知行竝進)의 강조 역시 앎의 현실 적용을 중시하는 도덕 교육에 있어 함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1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