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흄의 공감 기반 도덕이론 연구 : A Study of David Hume's Sympathy-based Moral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근

Advisor
김형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덕적 구별도덕적 동기공감공감적 염려일반적 관점moral distinctionmoral motivationsympathyempathic concerngeneral point of view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1. 2. 김형렬.
Abstract
본 연구는 흄의 공감 기반 도덕이론의 주요 특징과 의의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그의 도덕이론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세기 영국의 도덕 철학자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도덕의 원천이 이성이 아니라 정서라고 주장한 바 있다. 흄이 이 같은 주장을 한 이유는 이성만으로는 도덕적 선악의 구별과 도덕적 동기부여가 가능하지 않으며 정서를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흄은 이러한 도덕적 구별과 도덕적 동기부여라는 두 가지 작용이 정서로부터 비롯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정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작용과 관련된 도덕적 정서가 모두 공감으로부터 비롯한다는 흄의 설명은 그의 공감 기반 도덕이론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흄의 공감을 타인의 정서와 인과관계에 놓인 관념들을 추론하는 인지적 요소와 더불어 공감적 염려라는 정서적 요소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심리적 기제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공감적 염려를 통해 도덕적 구별과 도덕적 동기부여라는 두 가지 작용이 모두 설명된다는 점에서, 이를 도덕적 정서로 이해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러나 공감적 염려는 편파적으로 발생한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는 이 일반적 관점의 성립이 반성을 통한 교정에 기초한다고 해석하며, 이를 통해 흄의 공감 기반 도덕이론에서 도덕이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라기보다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다양한 관계 속에서 마주하고 함양해나가는 경험적 대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이해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흄의 공감 기반 도덕이론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공감적 염려와 일반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특징과 관련하여 제시한다. 먼저 흄의 공감적 염려는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구성하는 준비단계를 구체화할 조건을 보여준다는 의의를 갖는다. 다음으로 흄의 일반적 관점은 대인관계적 역량에 관한 현행 도덕교육적 시각이 학습자의 반성을 통한 교정 가능성을 포괄하지 못함을 보여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avid Humes moral theory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a review of his sympathy-based moral theory. In the 18th century, British moral philosopher David Hume argued that the source of morality is sentiment, not reason. Hume proposed this argument because reason alone cannot distinguish between moral good and evil and motivate morality, but such moral distinction and motiva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sentiment. As such, Hum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ral sentiment in that the two functions of moral distinction and moral motivation originate from sentiment. However, Hume's explanation that the moral sentiments related to those two functions are all derived from sympathy requires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is sympathy-based moral theory. Therefore, in this study, Hume's sympathy is understood as an integrated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encompasses the sentimental element of empathic concern as well as the cognitive element that infers the ideas placed in causal relations with the sentiments of 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the empathic concern, through which both moral distinction and moral motivation are explained, can be understood as a moral sentiment. However, empathic concern shows its limit of being partial, and the general point of view is required for the compensation.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establishment of this general point of view to be based on correction through reflection, and conceive morality not as an absolute and universal truth, but as an empirical object which human as social being encounters and cultivates in various relationships in Humes sympathy-based moral theor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Hume's sympathy-based moral theory for mo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Hume's empathic concern shows the conditions for specifying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role-playing class model. Second, Hume's general point of view shows that the current moral educational perspective on interpersonal competency does not encompass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through the learner's reflec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