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에서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ett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삼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통합교육특수교육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개별화교육교사인식개념도 연구inclusive educationspecial education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individualized educationteacher’s perceptionConcept Mapping method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21. 2. 김동일.
Abstract
Today, students in school classrooms are getting diverse, including disabilities, learning difficultie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multiculturalism, and economic poverty. General education alone is not enough to fully respond to their special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Article 1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etc, special education is aimed at providing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hose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provid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so as to contributing to their self-re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However, special education services are provided only for disabled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appropriate to their need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who do not qualify as special education subjects, but have special educational needs.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ctually co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students suffering from academic, emotional and behavior difficulties for a variety of reasons. Many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re in the situ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so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them will be a common task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and their roles and cooperation are important. Individualized education is considered a valuable education approach or method, but it is confounded with other terms such as level-specific classes, one-on-one tutor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personalized education, so its meaning is unclear. The uncertainty of this word can make it difficult for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to communicate and prevent them from achieving common goal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o far on what individualized education mean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how teachers perceive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recognized by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by utiliz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which can be used if prior research is insufficient or theory is not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ncept Mapping method. In the preparation phase, focus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reviewed by interview question developing members. Since then, preliminary interviews with two special teachers and one general teacher were conducted to clarify the focus questions and organize facilitating questions to help draw the awareness of general teachers. Focus questions were confirmed and th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the idea generation phase,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individuall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focus question. A total of 21 teachers(12 special teachers and 9 gener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including preliminary interviews, and all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 interviews. A total of 67 statem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In the statement structuring phase, 20 special teachers and 20 general teachers were asked to perform a sorting and rating task on the 67 statements. For the sorting task, the teachers were asked to place the 67 statement cards in piles according to their similarity. And then, the teachers rated each statement as to its importance in individualized education. The rating scale used a 5-point Likert scale. In the concept mapping analysis phase,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imilarity classification data to draw up concept mapping. Through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importanc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statement, and the importance mean of each cluster were presented. In the concept mapping interpretation phase, the meaning of individualization education recogniz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dimension and cluster of concept mapping. And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and cluster related to the meaning of individualization education were expl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the meaning properti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showed that 2 dimension is well fitted. The first dimension of the X-axis was interpreted as individuality-based support' - 'cooperation-based support' and the second dimension of the Y-axis was interpreted as a macro objective-micro method'.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ive clusters have been drawn. Each was named from one quadrant to counterclockwise as cluster 1 'growth support considering student differences', cluster 2 'support for multifaceted growth', cluster 3 'multiple support system', cluster 4 'support based on teacher's education philosophy and passion' and cluster 5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rating of the meaning properti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recognized by teachers, it showed relatively high importance with an average score of 4.26. The statement, which teacher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proper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was 58. It should be continued even if the school year changes(4.68)", followed by 26. Not compared to other students, but monitored their own changes over time(4.60), 21. Find and apply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students(4.60)", and 18. Provide students with the most appropriate tasks and materials.(4.58) and 51. It is an attention and approach to each student.(4.58).
Fourth, when it comes to compare importance rating by cluster, followed by cluster 3 'multiple support system', cluster 5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 cluster 4 support based on teacher's education philosophy and passion', cluster 2 'support for multifaceted growth' and cluster 1 'growth support considering student differences'.
Fifth, pattern matching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ce on cluster 5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 cluster 3 'multiple support system', followed by cluster 1 'growth support considering student differences', cluster 2 'support for multifaceted growth', cluster 4 support based on teacher's education philosophy and pass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teachers evaluated cluster 3 multiple support system', cluster 5 practical guidelines for support', cluster 4 'support based on teacher's education philosophy and passion', cluster 2 'support for multifaceted growth', cluster 1 'growth support considering student differenc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ignification in that it derived meaning properti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revealed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ha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orientation, principles, goals, content, and methods,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individualized educ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is an individuality-based support built on cooperation-based support and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solving problems by applying specific goals and practical methods for students. These results are based on teacher perceptions, not theory-derived, so it can be useful as basic data when trying to identify and plan what individualized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real school setting.
오늘날 학교 교실의 학생들은 장애, 학습곤란, 정서행동문제, 다문화, 경제적 빈곤 등으로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교육만으로는 이들이 가진 특별한 교육적 요구에 충분히 대응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조에 따르면 특수교육은 장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에게 통합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장애유형·장애정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여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현실은 장애학생에 한하여 특수교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수교육대상자로서의 적격성을 갖추지 못하였지만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학생들에게도 그들의 요구에 적절한 개별화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이란 사실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학업적,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포괄한다. 다수의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들은 통합교육 상황에 있기에 이들을 위한 개별화교육은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공통 과업이 되며 각자의 역할과 협력이 중요하다. 개별화교육은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에게 가치 있는 교육 접근 혹은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수준별 수업, 일대일교육, 차별화교육, 개인화교육 등 다른 용어들과 혼용되고 있으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의미의 불명확성은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을 실행하는 주체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에 대해서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부족하거나 이론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개념도 연구방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개념도 준비하기 단계에서 인터뷰 질문 개발팀 구성원들과 함께 초점 질문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2명의 특수교사와 1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인터뷰를 실시하여 초점질문을 명확히 하고 일반교사들의 인식을 끌어낼 수 있는 촉진 질문을 구성하였다. 이후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아이디어 생성하기 단계에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개별 인터뷰하여 개별화교육의 의미에 대한 아이디어를 수집하였다. 예비인터뷰를 포함하여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들은 특수교사 12명, 일반교사 9명으로 총 21명이었으며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취되어 전사되었다. 이후 Kane과 Trochim(2007)이 제시한 진술문 추출 과정에 따라 아이디어를 통합, 분류, 편집하여 총 67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진술문 구조화 단계에서는 일반교사 20명과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진술문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유사성 분류에서 교사들은 진술문 카드를 의미의 유사성에 따라 묶고 그룹의 이름을 명명하였으며 중요도 평정에서 교사들은 각 진술문이 개별화교육에서 중요한 정도를 5점 리커트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개념도 분석 단계에서는 우선 유사성 분류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 차원을 결정하였다. 이에서 도출된 좌표값을 바탕으로 위계적/비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유사한 의미에 따른 군집의 수를 결정하여 최종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각 진술문 중요도 평균과 표준편차, 군집별 중요도 평균을 도출하였다. 개념도 해석하기 단계에서는 개념도의 차원, 군집에 따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개별화교육의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개별화교육의 의미 관련 각 진술문, 군집별 중요도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교육 의미 속성에 대한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차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X축인 1차원은 개별성 기반 지원-협력 기반 지원으로 해석되었으며 Y축인 2차원은 거시적 목표-구체적 방법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개별화교육 의미 속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개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은 1사분면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군집 1 학생의 차이를 고려한 성장 지원, 군집 2 다면적인 성장을 위한 지원, 군집 3 다각적인 지원체계, 군집 4 교사의 교육철학과 열정을 바탕으로 하는 지원, 군집 5 지원을 위한 실제적인 지침으로 명명되었다.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개별화교육의 의미 속성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평균 4.26점으로 비교적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교사들이 개별화교육의 의미 요소로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진술문은 58. 학년이 올라가도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4.68) 였으며 그 뒤를 이어 26. 다른 학생과 비교하는 교육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학생의 변화를 살펴본다.(4.60), 21. 학생의 특성에 맞는 교수방법을 찾아서 적용한다.(4.60), 18. 학생에게 가장 적절한 과제와 자료를 제공한다.(4.58), 51. 학생 개개인에 대한 관심과 접근이다.(4.58)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개별화교육의 의미 군집별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 군집 3 다각적인 지원체계와 군집 5 실행을 위한 지침, 군집 4 교사의 교육철학과 열정이 필요한 교육, 군집 2 다면적인 성장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군집 1 학생의 차이를 고려한 성장 지원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군집별 중요도 인식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패턴 매칭을 실시한 결과, 특수교사는 군집 5 실행을 위한 지침, 군집 3 다각적인 지원체계, 군집 1 학생의 차이를 고려하는 성장 지원, 군집 2 다면적인 성장을 위한 지원, 군집 4 교사의 교육철학과 열정이 필요한 교육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일반교사는 군집 3 다각적인 지원체계, 군집 5 실행을 위한 지침, 군집 4 교사의 교육철학과 열정이 필요한 교육, 군집 2 다면적인 성장을 위한 지원, 군집 1 학생의 차이를 고려하는 성장 지원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의 의미 속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의 구조를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개별화교육의 의미와 관련하여 지향성, 원리, 목표, 내용, 방법 등 교육활동 전반에 대해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교육은 협력 기반 지원을 토대로 한 개별성 기반 지원이며 학생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설정과 실제적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론에 의해 도출된 것이 아닌 교사의 인식에 근거한 것이므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를 계획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5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