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시간선호율과 지속가능미래 인식의 관계 : Elementary students' Rate of Time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sustainable fu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다혜

Advisor
홍종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간 선호시간선호율지속가능발전지속가능미래 인식미래세대초등학생time preferencerate of time preferenceSD(Sustainable Development)perception on SDfuture generationelementary stude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21. 2. 홍종호.
Abstract
Many people wish to receive the utility at present rather than in the future. This tendency can be quantified to a numeric value which is called the rate of time preference. A low rate of time preference would indicate that someone is future-oriented. However, scholars have various points of view on which rate should be socially appropriate. Because people who have a high rate can underestimate future benefits, some scholars consider it as a concept that discriminates against future genera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stimate time preference directly from peop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time preference or percep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SD), for elementary students who can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future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rate of time prefer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s to find environmental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ploring which attitudes, perceptions and practical intentions on SD are related to the rate of time preference.
A discrete choice model was constructed to estimate the rate of time preference for saving liv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Logit model. The choices are to save lives either at present or in the future from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 survey was targeted towards student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d 301 samples were used for the model 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model estimation, it was estimated that students consider saving 100 people at present equivalent to saving approximately 464 peopl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the students' rate of time preference for saving live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6% (0.0626). This is lower than the adults' rate of time preference.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students make more future-oriented choices than adults.
In terms of attitudes on SD, it was estimated that a future generation-oriented attitude is correlated to the rate. Students with a future generation-oriented attitude were estimated to have a lower rate of time preference. In terms of perception on SD, it was estimated that perception 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is correlated to the rate. Finally, in terms of the practical intention of personal change for a sustainable life style,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s correlated to the rat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exploratory research into elementary students for providing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children have a future-oriented tendency and many factors regarding SD are related to the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children so that they have a balanced view of technology and environment, giv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technology and environment' and 'the rate of time preference'. Furthermore,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study gain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economics, which provides the base theories for the time preference concept.
사람들은 미래보다는 현재에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수치화한 것을 시간선호율이라고 한다. 시간선호율이 낮을수록 미래지향적인 것이며 시간선호율이 높을수록 현재지향적인 것이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적합한 시간선호율이 몇이 되어야 할지에 대하여 학자마다 시각이 다양하다. 시간선호율을 높게 적용하면 미래의 편익을 낮추어 평가할 수 있기에 이는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미래세대를 차별하는 개념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로부터 직접 시간 선호를 추정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세대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시간 선호나 미래 인식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시간선호율을 가지고 있는지 추정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미래 인식 중 어떠한 요인이 시간선호율과 관련이 있는지 탐색하여 환경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환경오염으로부터 현재와 미래 중 언제 생명을 구하는 선택을 하는지를 통하여 시간선호율을 추정하고자 이산선택모형을 구축하였고 로짓 모형을 통해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301개의 표본이 모형 구축에 활용되었다. 모형 추정 결과, 초등학생들은 현재 100명을 구하는 것과 25년 뒤의 미래에 약 464명을 구하는 것을 동일하게 느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시간선호율은 약 6%로 추정되었다. 이는 성인을 대상으로 생명에 대한 시간선호율을 추정한 것보다 낮다. 즉 초등학생들이 성인들보다 더 미래지향적 선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는 미래세대를 중시하는 태도가 시간 선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세대를 중시하는 태도를 가진 학생일수록 시간선호율이 낮게 추정되었다. 지속가능미래 인식 측면에서는 기술 발전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시간선호율이 낮게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실천의지 측면에서는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가 높을수록 시간선호율이 낮게 추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야 하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기술과 환경에 대한 인식과 시간선호율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초등학생들이 기술과 환경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시간선호율 개념의 바탕이 되는 경제학과 융합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환경교육 연구의 분야를 확장하였음에 의의를 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1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