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Collaborative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and On-offline Blended Environments : Focusing on group collaboration and individual change
그룹 내 협력 과정과 개인의 변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미설

Advisor
이민정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음악창작협력학습블렌디드 학습디지털 매체활동이론Music CompositionCollaborative LearningBlended LearningDigital MediaActivity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2021. 2. 이민정.
Abstract
음악창작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필수적 요소로 여겨져 왔으며, 최근 에는 교육과정의 창의적 역량 함양 강조와 더불어 초등 음악교과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음악적 표현에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들은 음악창작 활동 참여에 어려움을 겪는다. 선행 연구들은 이러한 학생들의 창작수업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 협력학습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을 설계 및 실행하여 그룹 내의 협력적 창작 과정과 그 속에서 개인의 사고 및 태도 변화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때 디지털 매체와 온- 오프라인 블렌디드 학습을 수업설계에 적용하고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체계화하였다. 50명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실행을 통해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일곱 그룹과 16명의 면담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곱 그룹 내의 협력적 창작과정은 크게 1)통합, 2)선택 두 가지형태로 분류되었다. 통합의 경우 발산·수렴 양상의 여부에 따라 나눠졌다. 학생 개인이 경험하는 사고 측면의 변화에는 평가·분석이, 태도의 측면에서는 자신감의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함께, 연구 초기의 수업설계를 수정·제시하였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을 실행함에 있어 블렌디드 학습의 적용 가치도 논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초등 공교육 현장에서 음악창작 협력학습이 어떤 의의가 있는지 보이고, 실제 학교 교사들이 참고할 수 있는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Music composition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music and curriculum, and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music is increasing in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ith the emphasis on cultivating creative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However, students who lack confidence in their musical expressions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music creation activities. Prior studies are focusing on collaborative learning as a way to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reative classes.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collaborative process within the group and changes in individual thinking and attitudes within the group by designing and executing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activities. At this time, digital media and on-off line blended learning were applied to class design and systemized based on Engeströms Activity theory. Variou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lasses for 50 peopl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seven groups and nine individual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the collaborative creation process within the seven groups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1) 'integration' and 2) 'choice'. In case of integration, i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divergence and convergence. There was a change i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in terms of thinking experienced by individual students, and a change in the confidence aspect in terms of attitude. Along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arly class design was revised and presented, and the application value of blended learning could be discussed in implementing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activities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show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of music creation at Korean elementary public education sites and propose a design that teachers can refer to in the context of actual school education sit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7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