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노동공급 및 의료이용 행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Essays on the Heterogeneous Effe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Labor Suppl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수지

Advisor
이철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의료이용시간의 기회비용의료비 경감 정책 효과자녀의 건강충격부모의 노동공급사회경제적 특성Health care utilizationOpportunity cost of time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effectChildren’s health shocksParents’ labor supplySocioeconomic characteristic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1. 2. 이철희.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eterogeneous effe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labor suppl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economic perspectives, and is composed of three individual essays, (1)the difference in health care utilization between self-employed and wage-and-salary workers, (2)the chang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by population groups, and (3)the effect of childrens health shocks on their parents labor outcomes.
The first chapter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opportunity costs between self-employed and permanent wage-and-salary workers is one of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The positive income effect on health care utilization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smaller for self-employed than for wage-and-salary workers. Since working hou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income for self-employed workers, it is more costly for them to use health care services at the expense of working hours than for wage-and-salary workers. For similar reasons, even among wage-and-salary workers, those who lack access to paid leave tend to reduce their health care utilization as self-employed workers do. Furthermore, I investigate the changes in patterns of health care utilization for self-employed workers whose spouses are also self-employed so that the loss of working hours can be possibly mitigated, and fi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between those and wage-and-salary workers.
In the second chapter, I investigate the policy effect of the reduction in health care cost sharing, through the elderlys dental implant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It studies whether the access to health care has improved due to the cost reduction, as well as the existence of treatment delays prior to the policy due to the expected indirect income in the future. Using Korea Health Panel(KHP, 2012-2016) survey data, treatment group(71-74yrs., policy targeted group) and control group(61-64yrs., who were never in policy targeted ages) were defined. As a result,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analyses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the reduction in healthcare cost sharing increases the healthcare usage. The policy effects were heterogeneou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group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st sharing reduction policy were greater for the groups with smaller opportunity cost of time, greater ability to pay, greater reduction in health care cost after the policy, higher information accessibility, while the treatment delays appeared more in groups with less inconvenience costs, and higher information accessibility.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 effect of elderlys dental implant policy was greater in the groups with higher health care accessibility in general,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olicy targeted groups, depending on the policy goal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childrens unexpected health shocks on parents labor supply and income. Hospitalization of more than 3 days in a general hospital or higher was defined as a health shock, and the effects on parents labor outcomes were estimated by panel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metho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ed data. When a child experienced a health shock, the mothers labor supply and incom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greater for mothers with non-regular jobs, accompanied with decreased working months(intensity of labor) and company sizes(quality of workplaces). The fact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health shocks were greater for women was not because the opportunity cost of labor-force exit was smaller (due to the average of women's jobs or income were low), but it seems that the effects have appeared due to the difference i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As a result of the robustness check, the greater the intensity or exogeneity of the health shocks, the higher the negative effects on the parents were, and the effect was still larger in women than in me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many other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the negative effect was greater for women than men for child care labor in general.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의료이용 행태 및 노동 공급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경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며,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의료이용 차이, 의료비 감면 정책에 따른 인구집단별 의료이용의 변화, 자녀의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 세 가지의 독립된 실증 분석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장은 자영업자와 정규직 및 상용직 임금근로자 간의 의료 이용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를 의료이용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실증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의료이용이 증가하는 양의 소득효과가, 정규직 및 상용직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업자에게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영업자의 경우 근로 시간이 소득과 직결되는 특성으로 인해 의료이용에 따른 기회비용이 임금근로자에 비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와 유사하게, 임금근로자라 하더라도 유급휴가가 적은, 즉 의료이용에 따른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로 한정하면 자영업자와 비슷한 의료이용 패턴을 보였으며, 자영업자 중에서도 배우자가 함께 자영업에 종사하여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임금근로자와 다르지 않은 의료이용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기회비용의 차이가 의료이용 격차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본인부담 의료비 감면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의료 접근성 향상 정책효과와, 정책 시행과 더불어 얻게 될 간접 소득에 대한 기대로 인해 일시적으로 치료를 미루는 치료 지연효과가 나타났는지를 노인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 경감정책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의료패널 자료(2012-2016)를 이용, 정책 집단인 실험군(71-74세)과 정책 적용을 받지 않은 대조군(61-64세)을 정의하고 이중차이(DID)를 이용한 분석결과, 본인부담 의료비 경감은 의료이용을 높인다는 일반적인 가설을 지지하였고, 정책효과 및 치료 지연효과는 인구 집단의 특성에 따라 그 크기와 유의성이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진료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작을수록, 지불능력이 클수록, 정책 전후 본인부담 의료비의 변화가 클수록, 정보 접근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정책효과가 컸으며, 치료 지연으로 인한 불편비용이 작을수록,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치료 지연효과가 크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경제학적 가설에 부합함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접근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는 집단에게서 정책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일관되게 보여주어, 정책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세분화된 타겟 그룹 설정 및 본인부담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예상치 못한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합병원 이상에서의 입원을 자녀의 건강충격으로 정의하고 성향점수 매칭 후 패널 이중차이분석을 이용하여 부모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건강충격을 경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의 노동참여 및 소득이 유의하게 줄었고 특히 비정규직 모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근로 개월 수 및 사업체 규모의 감소 효과가 나타난 것을 볼 때 노동 강도 및 일자리 질의 하락이 수반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여성에게서 자녀 건강충격 효과가 컸던 것은 여성의 일자리나 소득이 평균적으로 낮음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노동 탈락(감소)의 기회비용이 작기 때문에 발생한 효과는 아니었으며, 성별 분업에 의한 시간 분배 차이의 효과가 나타났던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충격의 강도 및 외생성을 고려한 강건성 검증 결과, 건강충격 강도 및 외생성이 클수록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도 증가하며, 그 효과는 여전히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돌봄 노동에 대해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부정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던 많은 선행연구들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