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 The Effects of Employment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승아

Advisor
강상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임금근로장애인고용의 질삶의 만족도자아존중감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employment qualitylife satisfactionself-esteemtheory of recognitionsymbolic interactionism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1. 2. 강상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ment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lthough the employment rat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compulsory employment system was implemented, employ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till suffer from poor conditions, such as low wages, low-skilled labor,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The reason why this is a problem is not only because of associated economic difficulties but also due to a decrease i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poor employment quality leads to a lack of 'social recognition' tha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worthy members of society equal to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and this may prevent them from feeling positively about themselves and living a satisfying life. However, existing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employment qualit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ve mainly been focused on economic aspects such as income security and the expansion of full-time jobs.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lue of employment for these individuals, such as the improvement in self-esteem through the acquisition of social recognition and a satisfactory life were not reflected in the discourse.
Thus, in this study, employment quality was defined by collectively reflecting the econom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employment. This includes variables such as job security, development potential, income, working hou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and the consideration and convenience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lso,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effect of each element representing employment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This study used the 2018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from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ut of the total 4,104 panels, 825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working at their current workplace for more than a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s an analysis method, Baron and Kenny (1986)'s three-step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as utilized to determine which of the six elements of employment quality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at path.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the six elements that represent employment quality, the element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working hou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and convenience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2) It has been shown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have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is relationship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priority task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Korea is a qualitative leap rather than a leap in the quantity of employment, especia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subjective and non-economic dimensions such as working hou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consideration.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an influence ones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which is why this is the element that best reflects the relational and existential value of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 flexible working system and guarantee of proper treatment for part-time workers are needed, and specific standards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consideration of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promot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everal area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change the paradigm in the field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y recognizing the aspects of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of employment. Second, this study utilized indicators that reflected the specificity of disability at the micro level, and identified which of the qualitative elements of employmen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even after considering other multiple elements. Third, while existing research remained at a level of understand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study expanded the discourse to a 'specific agenda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employment, namely 'improving life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Work is not just a financial means but a great opportunity to affirm oneself and live a satisfying life by gaining social recogn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열악한 고용의 질적 요소 중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장애인 의무고용제도가 시행된 이후 장애인 고용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취업한 장애인들은 주로 저임금, 저숙련 노동, 직장 내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등 질적으로 매우 열악한 고용환경에 처해있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궁극적인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낮은 고용의 질이 초래하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저하에 있다. 다시 말하면, 열악한 고용의 질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사회의 가치 있는 구성원이라는 사회적 인정이 결핍되었음을 뜻하며, 이는 장애인이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의식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데 방해가 된다. 그러나, 기존의 장애인 고용의 질 개선에 관한 논의는 주로 소득 보장 및 정규직 확대 등 경제적 측면에만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의 향상, 만족스러운 삶 등 장애인에게 있어 일이 가진 심리·정서적인 가치들이 고용의 질 담론에 반영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의 경제적 측면과 비경제적이고 심리·정서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고용의 질을 정의하였다. 여기에는 고용 안정성, 발전 가능성, 보상, 근무시간,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배려와 편의 변수가 포함된다. 또한,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각 요소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2018)을 활용하였고, 전체 패널 4,104명 중 현 직장에서 1년 이상 근속하고 있는 임금근로장애인 8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 효과 검증 3단계 분석을 시행하여 6가지 고용의 질적 요소 중 요소 간 영향력을 통제하고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그 경로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6가지 요소 중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근무시간,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배려와 편의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내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고용의 우선적 과제가 고용의 양이 아닌 질적 도약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시간, 대인관계, 장애 배려 등 주관적이고 비경제적 차원의 질을 앞서 개선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장애인의 관점에서 일이 가진 관계적이고 존재적인 가치를 가장 잘 반영하는 요소임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서 탄력적 근무제도와 시간제 근로자를 위한 처우 보장이 필요하며, 직장 내 장애 배려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과 시행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비장애인과 장애인 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의의가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고용의 양'이 아닌 질'을 다룸으로써 장애인 고용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시적 차원에서 장애 특수성을 반영한 지표들을 활용하였으며, 다중 요소 간 영향력을 고려하고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의 질 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 연구는 고용의 질 현황 파악에 머물러 있었으나,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만족도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담론을 확장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의 관점에서 일이란 단순한 경제적 수단이 아닌 사회적 인정을 획득함으로써 자기를 긍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한 기회라는 전제하에, 고용의 질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연구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