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 연구 : A Study of North Korean Society's Conceptualisation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 In the Discourses of Rodong Sinmun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수진

Advisor
박명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한사회주체타자집단주의로동신문(노동신문)담론North Korean societythe subject and the otherself and othersJucheRodong Sinmundiscoursecollectivism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1. 2. 박명규.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사회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창출되는 우리와 타자(또는 적)에 대한 담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북한사회에서 논하는 집단적 차원의 우리와 타자에 대한 인식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북한이 세계사회로부터 고립주의 기조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향후 세계사회에 대한 개방 노선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는 현 시점에서, 북한사회의 집단 결속과 경계에 대한 인식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주요한 분석의 자원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의 대표적인 공적담론의 공간인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생산, 유통, 내용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1)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이 유통되는 (공적)담론 공간의 양상과 구현, 2)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을 구성하는 주요한 개념들, 3) 이들 개념을 통한 담론의 내용 구현과 구조, 4)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역사적 사건, 5) 역사적 사건을 통한 이들 담론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공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상교양의 담론체계를 살펴보았다. 북한의 사상교양과 이를 유통하는 사회 내 언론, 교육체계, 조직생활은 모두 북한 정치 엘리트들의 주요한 관심 속에서 구축되었다. 이에 따라 초기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내용 역시 북한 정치 엘리트들에 의해 구축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담론의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을 추출하였다. 북한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논하는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주요한 개념들은 1970년대 주체사상의 공포와 함께 안정적 체계를 갖춘 사상교양의 내용에 따라 구축되었다. 집단적 자기화 담론의 경우 최고지도자, 인민, 사회주의, 주체 등을, 집단적 타자화 담론의 경우 미제, 남조선괴뢰, 제국주의, 자본주의 등을 주요한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들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은 외형적으로 이원론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담론의 주요 개념과 내용이 구축된 과정을 살펴보면, 주체사상과 함께 집단적 자기화 담론의 내용이 성숙되는 과정 속에서 집단적 타자화 담론의 주요한 내용 역시 체계적으로 구축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1980년대부터 현재(2019년)까지의 기간 동안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내용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1970년대 안정적으로 구축된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은 1980년대 중반 이후 북한사회 내외부의 환경적 불안정성과 함께 경제상황이 악화되며 축소·와해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담론 전반의 관심이 정치사상 중심에서 경제 중심으로 많은 부분 전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적담론의 유통체계가 와해되며, 북한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공적담론의 공간과는 구분되는 사적담론의 공간이 확장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와해된 공적담론 체계는 1998년 이후 김정일의 사회재건 노력과 함께 다시 복구되어, 과거 김일성정권과는 구분되는 새로운 지도자 김정일과 김정일의 새로운 지도사상인 선군의 개념이 강화되며 특히 집단적 자기화 담론이 다시 새롭게 구축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은 2012년 김정은정권의 등장과 함께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김정은 집권 초기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은 과거 정권에서 사용된 주요한 개념들을 계승하면서도, 담론의 구체적 내용 구현에서는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특히 집단적 자기화 담론은 북한사회가 주체 또는 최고지도자에 의해 영도되고 운영되는 존재라는 전통적인 지배담론을 계승하면서도, 인민을 하늘처럼 떠받들고, 인민에 의거하는 풀뿌리적 차원에서의 사회담론을 함께 강조하며, 최고지도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강조로부터 점차 최고지도자와 인민 모두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변화는 집단적 타자화 담론에서도 나타났다. 그동안 주로 미제, 또는 차선적 차원에서 남조선괴뢰에 대한 비난으로 구현되던 타자화 담론의 내용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이후 보다 완화된 태도로서 구체적 대상에 대한 비난을 축소하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중립적인 태도로 담론을 구현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시대별 주요 개념 분석을 통해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집단적 자기화 담론은 주요한 개념들을 계속적으로 계승하면서도 담론의 구체적 내용은 변화·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난 반면, 집단적 타자화 담론은 주요 개념의 사용 뿐 아니라 담론의 내용 역시 점차 소극적으로 변화·축소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집단적 타자화 담론에서 나타나는 대외적 적대성의 축소·완화는 집단적 자기화 담론 내부로 들어와 사회 내부 구성원 사이의 경계를 강화하는 새로운 차원의 경계짓기 담론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표적으로 김정은시대 자력갱생 담론의 부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의 변화를 통해 북한사회의 집단주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1990년대 이후 경제침체가 악화되면서 북한 주민들에게 개별적 또는 사적 행위에 대한 허용이 늘어나며 집단적 자기화 담론 역시 집단주의에 대한 무조건적인 강조에서 점차 개별 경쟁체제 및 개별 차이를 인정하는 내용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김정은시대 사회주의경쟁 또는 사회주의문명국 등의 담론을 통해 보다 강화되었다.
셋째, 북한의 공적담론이 많은 부분 일반 주민들에게 영향을 받으며 구축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나타난 사적담론 공간의 확장과 이에서 발생하는 담화 내용이 공적담론 내부에 진입하고, 김정은정권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의 모습에 따라 과거와 달리 최고지도자에 비한 인민의 위상이 담론 내부에서 높아지는 모습 등은 북한의 공적담론이 담론의 생산주체, 즉 정치 엘리트 뿐 아니라, 담론의 수용주체, 즉 북한주민들로부터 지속적인 영향을 받으며 구축되고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증명해주었다.
다음과 같이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은 초기 북한 정치 엘리트들의 사회건설 전략에 따라 공적담론의 강력한 장악과 강제를 통해 구축되었으나, 이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균열과 와해를 경험하고, 점차적으로는 수용주체인 인민이 담론 내부에서 이를 구성하는 주요한 주체로서 자연스럽게 부상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적 자기화 담론의 주요 자원들이 확보되고 담론내용이 성숙하게 되면서, 집단적 타자화 담론은 많은 부분 적대적 태도를 완화하고 보다 중립적인 태도로 내용을 구현하고자 하는 변화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화-타자화 담론에서 나타나는 다음과 같은 변화는 이들 담론이 북한 정치 엘리트들의 의도만을 반영하는 단순한 통치적 수단이라기보다는, 변화하는 국제적 환경, 국내적 환경, 그리고 수용주체인 북한주민들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사회적 총체의 한 일부로서 고려할 수 있음을 설명해준다. 담론을 통해 나타나는 북한사회의 집단적 자기인식 및 타자인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많은 부분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는 북한사회가 그동안 강력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던 북한주민에 대한 외부세계와의 완전한 단절, 고립주의 기조가 공적담론장 안에서 점차적으로 무너지고 있음을 주장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담론 내부 변화의 지점을 목도하고 변화지향의 의지를 확인함으로써, 북한과 소통하며 내부 변화를 지지하고 유도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공감 가능한 담론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논할 수 있다.
This thesis analyses North Koreas awarenes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in its public discourses. There are questions on North Korea, if it will maintain isolationism or open the door toward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future. This thesis argues that these can be answered by analysing North Korean society's discourses regarding collective self and others. Therefore, it focuses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tents of the discourses. Particularly, it looks at 1) the space of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in regard to thei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2) keywords and main concepts, 3)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discourses concerning the keywords and main concepts, 4) historic events that affected the discourses, and 5) changes to the discourses following certain historic events.
First, it studies the discourse spaces by looking at the system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n North Korea(Sa-sang-gyo-yang). Si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by political elites, the distribution of the discourses, through methods such as the press, educational program, and organizational life, were also under their control. Therefore, content of the discourses of the collective self and others were planned and organised by the political elites. Thus, this research extracts the main concepts of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by looking at keywords in the contents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The basic contents of the discourses can be understood by looking at Juche ideology, which strongly influenced th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n the 1970s. Therefore, the main concepts identified in th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of the 1970s include: 'the leaders (Kim Il-sung, Kim Jong-il, Kim Jong-un)', 'the people (In-min)', 'Juche', 'Socialism'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and 'Imperialist America (Mi-jae)',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Imperialism', 'Capitalism'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others'. These two discourses can be shown a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dualistic, but they were closely connected, because by having a discourse of 'self' more systematising, it makes the discourse of 'others' much stronger, through Juche ideology in the 1970s.
This thesis finds changes in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from 1980 to 2019, focusing on their main concepts. The discourses were well settled in the 1970s, but lessened and collapsed becaus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80s and 1990s. At that time, not only did society's interests shift from one political ideology to one more focused on economic progress, but also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public discourses collapsed. This led to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discourse space, separate from the public discourse space. The public discourse space was restored after 1998 when Kim Jong-il (Supreme Leader 1994-2011) tried to restore social systems in North Korea. In this period, new concepts were emphasised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especially, such as the new leader, 'Kim Jong-il' and his new idea, 'military-first (Sun-goon)'.
More dynamics in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were observed in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Kim Jong-un government (2012-present). The main concepts were maintained in the discourses but the embodi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s changed. Especially,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maintained its traditional contents that society was operated and led by the leaders and the idea of 'Juche', however it started to highlight the 'people(In-min)' and claimed that society had to 'respect the people as God' or to 'stand upon the authority of the people'. The discourse regarding collective others also changed under the Kim Jong-un government. The discourse regarding collective others had been mainly about blaming 'Imperialist America', and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However, the discourse of collective others lessened its hostility toward 'Imperialist America' and 'the South Korean puppet government' and adopted a more objective and tender manner, especially after the inter-Korea summit and North Korea-U.S. summit in 2018.
Consider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main concepts and contents in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it can be concluded in a broader aspect as belows.
First, the concepts and contents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showed dynamic changes and expansion in history, while those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others showed passive alteration and reduction. Especially reduction of hostility and its uses in the discourse of others was matched at the time by new concepts in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including 'self-rehabilitation (Ja-ryok- gang- sang)', during the Kim Jong-un era.
Second, it is found that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 of collectivism in North Korean society. There were increasing permissions for individual and private activities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90s. This led the discourse of collective self to highlight not only collectivism but approval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even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This change can be shown more obviously in the Kim Jong-un era, by looking at the discourses of 'socialist competition' and 'socialist civilised country'.
Third, it is found that public discourses in North Korea have been much affected by the North Korean 'people'. This can be shown in the public discourses regarding the government's criticism of its people who showed their distrust and skepticism in and after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in the 1990s. This influence can also be found in the Kim Jong-un era by looking at the enhanced position of the 'people' in the public discourses. The changes in the public discourses explains the influence of not only political elites in the society as producers in the conventional sense, but also the people who are recipients in the socie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ignificant historic events led to the 'people' becoming more than passive recipients. They became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public discours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in North Korean society is not just a governing method of the political elites, but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social totality which explains inside and outside the society's backgrounds and its people. Also, the changes in the discourses of collective self and others throughout this period (1980-2019) demonstrates that North Korea has started to ease its isolationism in its public discourses. Studying its changes and its will to change, sources of the discourses can be foun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n society and establish ties with North Korean peopl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