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치유 장치와 수행하는 몸 : The Therapeutic Dispositif and Performing Bodies
연극치료의 메커니즘과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민수

Advisor
김홍중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치유문화체험생명정치수행성게스투스박탈치료적 신체heeling cultureErlebnisbio-politicsperformativitybodyGestusdispossessiontherapeutic bod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1. 2. 김홍중.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행해진 연극치료의 과정과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몸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의 양상을 분석한다. 연극치료는 예술기반 사회적 처방 정책의 부상과 함께 해외의 연구 및 임상 실험을 통해 도입된 치료 기법으로, 연극을 매개로 정신적 문제를 스스로 돕고 사회적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획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치유 담론 및 그 이미지들이 실제 치료 행위자들의 실천과 체험의 양상을 누락시킨다는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이들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들의 역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처음부터 본 연구는 널리 퍼져 있는 치유(혹은 힐링) 문화에 관한 갖가지 이원론적 모델들을 통해서는 이 문제를 적절하게 다룰 수 없다고 제시했다. 순응과 저항, 국가와 개인,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따위의 이분법은 몸을 관통하는 고통의 문제와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일련의 실천들이 지닌 복잡한 의미와 가치, 갈등과 균열 등을 간과한다. 이에 따라 관련한 문헌 및 언론 자료를 비롯해 연극치료 참여자들의 심층면접과 치료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작업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질문들에 묻고 답하고자 한다. 첫째, 치료과정에 관여하는 행위자들의 관계망은 어떻게 구성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권력역학은 무엇인가? 둘째, 치료 과정을 위한 무대장치와 치료적 배치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셋째, 연극치료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인식과 체험의 양상은 어떠한 과정으로 전개되는가?
먼저, II장에서는 연극치료가 등장한 시기, 문화적 지평을 구성하는 일상생활 전반에 각종 정신요법 및 임상적 치료 방식들이 유행하게 된 치료적 담론을 검토함으로써 이를 통해 작동하는 규율 장치의 역학을 파악한다.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사회질서를 회복하고 통합을 꾀하는 연극치료는 민주화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한 1990년대 초반 이후 등장하였다. 1992년 한국 최초의 문민정부로 대변되는 김영삼 정부의 「한국병 치유」 개혁 시행을 계기로 국정운영 전반에 치유에 관한 담론이 공식화되면서, 질병은 긴급히 청산되어야 할 고질적인 문화현상의 은유이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 구상에서 개인의 노력으로 예방되어야 할 중요한 지표로서 상정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 전체를 치유해야 한다는 당위적 사고의 확산과 함께 각종 예방의학 및 통합의학 발전을 위한 지원사업이 실시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1997년 IMF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사회전반에 시장과의 관계축이 추가되면서, 통합예술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시장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살펴본 연극치료의 무대는 치료가 성립되는 경위 속에서 개인들이 취하는 실천적 전략을 포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III장에서는 연극치료에서 조성되는 치유의 무대를 분석했다. 치료를 위해 마련되는 무대장치의 요소는 외계로부터 차단된 의례 공간 및 상징화 작업의 대상이 되는 오브제로 구성된다. 이를 바탕으로 공연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내담자의 문제를 발견하고 치료하는 양상으로 이루어진다. 내담자와 치료사 간의 공적인 내기물로 기능하게 되는 이 문제는 극적 투사를 통해 치료 행위자 관계망의 중심에서 배우(actor)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독적인 행위능력을 갖추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행위자들이 문제를 전유하기 위해 실천하는 일련의 과정을 네 개의 단계(발견하기-명명하기-파괴하기-재배치하기)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절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IV장에서는 치료 행위자들의 몸이 각각의 국면을 통해 상이한 차원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요컨대 이들의 몸은 무대라는 의례화된 공간을 통해 투쟁의 상태에 놓이는 생존하는 몸(surviving body), 문제 설정을 통해 고통을 바깥으로 드러내는 발화하는 몸(uttering body), 그리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전략적인 행위양식을 수행하는 협상하는 몸(negotiating body)이라는 세 차원으로 실행된다.
먼저, 무대라는 독립적인 공간 설정을 경유하는 생존하는 몸(surviving body)은 미래의 위기를 현재의 시간대로 미리 끌고 들어오는 신자유주의적 생존주의와는 달리, 이미 도래한 재난 속에서 자신에게 닥친 박탈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실존적 투쟁 상태에 해당한다. 연극치료의 무대적 요소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라는 관리자에 의해 통제되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은폐되었던 신체에 새겨진 망각된 기억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행위력을 지닌 문제의 설정을 통해 실행되는 발화하는 몸(uttering body)은 단순히 의미 기호를 전달하는 진술적 차원이 아닌, 행위를 통해 의미가 사후적으로 구성되는 수행적 차원에서 존재한다. 치료 행위자들의 배치에서 문제의 위치가 관계망의 경계(문제-내담자-치료사)에서 행위자들의 힘의 흐름을 연결하는 사이(내담자-문제-치료사)로 이동하게 되면서, 문제는 무대의 중앙에서 의미기호를 생산하는 행위자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숨겨진 대본의 개념을 통해 현실공간 및 치료공간에서 솔직하고 진실된 신체 언어가 문제로 표상됨에 따라, 사회적 규범에 비순응적인 행위양식이 치료장 속에서 드러나게 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문제 해소를 위해 설정되는 목표를 통해 발현되는 협상하는 몸(negotiating body)은 외부의 힘을 모방하는 행위가 이미 주어진 질서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행위의 반복을 통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새로운 의미기호를 생산해낸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임상 사례에서 이루어진 치료 작업 및 참여 관찰을 통해, 내담자의 몸이 교정을 위한 외부의 개입에 대해 초기에는 관성적 거부를 일으키나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모방의 대상을 접하게 되면서 반복 작업을 통해 새로운 행위양식을 창발하게 되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치료 과정을 통해 조형되는 치료적 신체는 표면적으로는 일상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 규범에 순응적인 모습을 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회적인 권력관계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개별적인 특이성을 구축하고 체제의 빈틈을 찾아나가는 양상으로 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언어 형식을 기반으로 하는 텍스트의 직조 과정과 치료적 신체 간의 만남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야기하는 수행적 효과에도 주목하여, 연구 작업이 갖는 물질적 실체성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들의 구체적인 치료 체험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독립된 시공간에서 사회적 기표들이 유동하는 방식 및 변화하는 양상, 나아가 이로부터 새로운 의미기호가 생산되고 있음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무대 위에서 발현된 상이한 차원의 몸들은 그것들의 종합을 통해 통합된 주체를 초과하는 물질적인 생존의 상태를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치료장 속에서 공유되는 치료 행위자들의 박탈 상태는 규범의 폭력을 보여주는 흔적이자 그러한 규범에 균열을 일으킨다는 역설적 가치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s aspects of experience (Erlebnis) at the bodily level, focusing on the process and clinical cases of Drama Therapy conducted in Korean society. Drama therapy is one of the methods of psychotherapy introduced through overseas research and clinical trials with the rise of the "art-based social prescription" policy, which is designed to help individuals with mental problems and solve social pain through the medium of theater. Specifically, regarding the healing discourse reproduced through mass media and the fact that its images omit aspects of patients' practice and experiences, the main focus will be on the dynamics of the forces exerted on their bodies.

From the outset, the study suggests that various dualistic models of the widespread healing culture do not adequately address this problem. The dichotomy of conformity and resistance, state and individual, public and private overlooks the problems of pain through the body, the complex meanings, values, conflicts and cracks in a series of practices to overcome ones pain. Accordingly,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media, as well as the in-depth interviews and clinical processes of participants in Drama Therapy, this study investigates in which the actual patients attribute themselves to and how they experience the medical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ir problems. This question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is the network of actors involved in the healing process and what power dynamics does this result from? Second, how are the stage settings and therapeutic arrangements formed for the treatment process? Third, how do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Drama Therapy develop?

First of all, Chapter II identifies the dynamics of disciplinary devices that work through the emergence of Drama Therapy and therapeutic discourse that have become popular throughout the daily life. Drama Therapy has emerged since the early 1990s when public interest in "health" began to spread along with democratiz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s "Korean Disease Healing" reform in 1992, the word "disease" was introduced as a metaphor for the chronic cultural phenomenon that needed to be resolved urgently and an important indicator to be prevented by individual efforts. As a result, support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eventive healthcare as well as integrative healthcare were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as the IMF financial crisis began in 1997, the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increased throughout society, and policy and institutional changes were made to generate profits and revitalize the market economy through integrated art therapy.

The stage of Drama Therapy, which is highlighted in this study, provides clues to capture the practical strategies that individuals take in the context of the treatment process. Accordingly, Chapter III analyzes the stage of healing created in Drama Therapy. The elements of the stage setting for treatment consist of ritual spaces that are blocked from outer space and objets that are subject to symbolization. Based on this, the performative process basically involves discovering and treating the "problems" of the patients. This "problem," which functions as a public interes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therapist, has the ability to act as an actor at the center of the treatment actor's network through dramatic projections. In this study, a series of processes that treatment actors practice to monopolize "problems" are divided into four stages (discovering, naming, destroying, redeploying) and the aspects of competition in each segment are looked at in turn.

Chapter IV then identifies how the bodies of the treatment actors are implemented in different dimensions through each phase. In short, their bodies are executed in three dimensions: survival bodies, which are placed in a state of struggle through a ritualized space of "stage," uttering bodies, which speak out pain through a "problem" setting, and negotiating bodies that carry out strategic forms of action through a specific "goal" setting.
First of all, the surviving body is an existential state of struggle to overcome the deprivation that has already arrived, unlike neoliberal survivalism that brings future crises into the present time. Second, the uttering body exists at the performative level in which the meaning is constructed hence the action, rather than simply as a statement that conveys the semantic symbol. As the position of the "problem" in the deployment of treatment actors shifts from the boundary (problem-patient-therapist) to the heart of the network (patient-problem-therapist), the "problem" can function as an actor who produces meaning symbols in the center of the stage. Finally, the negotiating body, expressed through the setting of 'goals' to resolve the problem, reveals that the act of imitating an external force does not unilaterally accept an already given order, but produces new semantic symbols through repetition of such actions. The discoverie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have shown that the patient's body initially encountered inertial rejection to adhere to the conventional somatic behavior pattern in external interventions for calibration, but has created new behavior patterns through repetitive tasks.

Thus, the 'therapeutic body', which is shap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appears to be compliant with social norms to adapt to daily life, but develops to build individual specificity and find gaps in the system by securing objectivity to social power rel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lluminates the performative effects of the text weaving process to identify the findings, highlighting the materiality of the research work.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fic treatment experience of visitors,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identifies the way social signs flow in independent time and space, the changing aspects, and even the production of new semantic symbols from them. Different dimensions of the bodies expressed on stage reveal, through their aggregation, a state of substantial survival that exceeds the integrated subject. In this regard, the deprivation of treatment actors shared in the treatment center is a sign of violence of norms and has paradoxical value that causes rupture in such norm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