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자살적 자해의 정서홍수모형에서 신체투자의 역할 : The Role of Body Investment on the Emotional Cascade Model of Nonsuicidal Self-Inju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목정후

Advisor
권석만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자살적 자해정서홍수모형반추파국화사고억제신체투자nonsuicidal self-injuryemotional cascade modelruminationcatastrophizingthought suppressionbody investme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1. 2. 권석만.
Abstract
Nonsuicidal self-injury(NSSI) refers to the behavior that deliberately and repeatedly harms ones body surface for the purpose of causing bleeding, injury, and pain. Recently, NSSI has been emerging as one of the most serious public health issues especially among young adults. Myriad of previous studies tested and suggested pernicious impact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on NSSI mediated by emotional cascade triggers such as rumination, catastrophizing, and thought suppression. Nonetheless, it is still unclear why one does not choose to self-injure under the vicious cycle of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al cascade triggers. It has been suggested that body investment, which refers to ones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investment on the body, could be one of the potential factors that could further explain the mechanism of NSSI.
In Study Ⅰ, the Body Investment Scale(BIS)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CFA), conducted using responses from 353 undergraduate students, yielded four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similar to original BIS. Yet replication study is needed since factor loading of comfort in touch was relatively low in higher-order factor analysis. Secondl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BIS was acceptable. In addition, all four of sub-factors of BIS were moderate to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reasons for living scale, whereas depressive sympto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IS. Third, individuals engaged in suicide-related behaviors within one year showed significant lower body investment level compared to individuals who engaged in suicide-related behaviors at least one year before.
Study Ⅱ focused on the moderation effect of body inve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emotional cascade triggers, NSSI, and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First, responses from 609 young ad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body investment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emotional cascade triggers on NSSI. In other words, people who scored lower on BIS engaged NSSI more frequently than people who scored higher on BIS. Secondly,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cascade triggers on NSSI and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was moderated by body investment.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ascade trigg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NSSI was buffered by body investment. In contrast,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via emotional cascade triggers was boosted by body investment.
The result suggested that body investment, largely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NSSI research, could play a role as a protective factor of NSSI. Namely, more psychological investment on ones body could lead to less engagement of NSSI under the emotionally stressed circumstances.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evel of body investment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SSI would benefit. Finally, implic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비자살적 자해란 출혈, 상처, 고통을 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신의 신체 표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상해를 가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부정정서에 압도되는 경험이 반복될수록 비자살적 자해를 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부정정서에 압도되는 경험을 하더라도 반드시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비자살적 자해의 기제와 보호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신체투자는 신체상을 포함하여 신체에 대한 심리적 투자 행동과 태도 전반을 일컫는 개념으로, 비자살적 자해의 기제를 설명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 중 하나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자살적 자해의 주요한 원인론 중 하나인 정서홍수모형에서 신체투자가 비자살적 자해의 잠재적 보호요인으로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신체투자를 측정하는 척도(Body Investment Scale; BI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8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상값 등을 제외한 353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와 마찬가지로 신체기분/태도, 신체접촉, 신체돌봄, 신체보호로 이뤄진 4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다만 신체접촉의 경우 고차 요인분석 결과 신체투자의 하위요인으로서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한편, 네 가지 요인은 외모 수용 척도, 생존/대처 신념과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 감소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또한 자살관련행동을 1년 내 경험한 집단의 신체투자 수준은 1년 전 경험 집단이나 건강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Ⅱ에서는 부정정서와 정서홍수 유발요인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신체투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비자살적 자해의 정서홍수모형에서 신체투자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이러한 조절효과가 다른 조절곤란 행동인 과도한 재확인 추구에서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 신체투자가 비자살적 자해를 특정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즉, 신체투자의 수준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홍수 유발요인의 매개효과가 감소하는지 확인하고, 신체투자의 수준이 높을수록 과도한 재확인 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홍수 유발요인의 매개효과가 증가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62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상값 등을 제외한 6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투자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홍수 유발요인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부정정서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도 유의하였다. 또한 부정정서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정서홍수 유발요인의 매개효과는 신체투자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과도한 재확인 추구에 대한 정서홍수 유발요인의 매개효과는 신체투자의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신체투자의 차별적인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신체 관련 변인이 비자살적 자해의 잠재적 보호요인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신체투자의 수준이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과 치료에서 신체투자 수준을 고려한 개입은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 및 치료 방법 개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한 뒤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5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