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변화 신념과 반추의 역할 : The Role of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금서현

Advisor
이훈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서변화 신념반추정서 강도우울emotion malleability beliefsruminationaffect intensitydepress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1. 2. 이훈진.
Abstract
정서변화 신념(Emotion malleability beliefs)은 정서 특성 자체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의미하며, 정서조절 과정에 관여하는 변인 중 하나로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변화 신념과 정서조절방략을 중심으로 우울 발생에 기여하는 정서조절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변화 신념을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및 타당화하였으며, 정서 강도, 정서변화 신념, 반추, 우울의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204명을 대상으로 정서변화 신념을 측정하는 정서에 대한 태도 척도(Emotional Mindset Scale; Livingstone, 2012)를 번안한 후,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원 척도와 동일하게 1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척도의 신뢰도와 수렴 타당도, 변별 타당도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상관분석에서 정서변화 신념은 재평가,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 우울, 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9명을 대상으로 부정 정서 강도, 긍정 정서 강도,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brooding), 긍정 반추(positive rumination)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정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를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그러나 긍정 정서 강도, 긍정 반추는 정서변화 신념, 우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서변화 신념을 측정하는 척도의 한국어판을 마련하고, 정서변화 신념을 중심으로 우울 발생에 기여하는 정서조절 과정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which are beliefs about the controllability of emotion itself, are regarded as the variable influencing on emotion regulation process and mental health.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motion regulation process that contributes to depression, focusing on the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study 1, EMS(Emotional Mindset Scale) was translated in Korean and validated in a sample of 204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scale was composed of one factor,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cale were adequate. E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reappraisal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Study 2,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negative affect intensity, positive affect intensity, brooding, positive rumination, and depression was examined in a sample of 139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brood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However, positive affect intensity and positive rumination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depression.
The present study translated and validated the scale measuring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in Korean, and examined the emotion regulation process regarding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that contributes to the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