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하는 목회자들 : Working Pastors: Korean protestant pastors side or dual job experiences and their differentiation in identities
개신교 목회자들의 부업 경험과 그에 따른 정체성의 분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완

Advisor
황익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개신교이중직 목회자기독교인류학직업정체성진정성korean christianitybi-vocational pastoranthropology of christianityworkvocational identityauthenticit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1. 2. 황익주.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spects of work practice and identity differentiation of bi-vocational pastors. The ratio of bi-vocational pastors has grown rapidly in Korean Protestant. Even though Korean Christianity experienced unprecedented steep growth, its growth has been stagnant and decreased since 2000. This has threatened the livelihood of the pastors. As a consequence, more and more pastors have become bi-vocational pastors who have side-jobs. Meanwhile, each of the major denominations in Korea Protestant stipulates a prohibition or a restriction on such side or dual-job in their denominational constitution. Therefore, the bi-vocational pastor group which consists of more than half of the Protestant pastors is experiencing confusion and differentiation of identities. At the same time, bi-vocational pastors are considered as half-bred pastors or faithless pastors because of the denominations negative perception of them. As a result, bi-vocational pastors encounter the reality of dual survival. They have to secure the pastor authenticity to survive as pastors and provide their own financial need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bi-vocational pastor group and the aspects of their work practices: how they experience the confusion of identities and how they attempt to survive as pastors, securing their authenticity.
In the post-growth era,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h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re are very few mega-churches and most of the others are dependent churches. In each denomination, more than half of the churches are dependent churches that rely on outside support for they cannot financially support themselves. This situa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imbalance in the supply and demand of pastors. In the mid-to-late 20th century, when Korean Protestants grew rapidly, many people flocked to seminaries to become pastors and the seminaries became bloated. Still, thousands of pastors are graduating from seminaries every year.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Protestant churches and Christians is decreasing. Therefore, the number of pastors who could not find their job increased and most of them started their own ministries which became dependent churches inevitably. Dependent church pastors, mass-produced in an environment which denomination cannot financially support them, live in extreme economic pain, hopelessness, and despair about the future. Indeed, pastors have no choice but to keep side jobs or dual jobs. However, denominations not only stipulate a prohibition or a restriction on that kind of pastoring, but church culture is also not favorable to bi-vocational pastors. In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a symbolic system is working among Korean church, which defines what is pure and polluted of the pastoral identity. In this symbolic system, full-time pastors are recognized as pure and bi-vocational pastors as polluted.
Not every job is worth the same for pastors who are looking for sub or dual-jobs. There are more or less desirable jobs according to conditions and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astoral nature. Moreover, pastors job-hunting experiences accompany a sense of frustration. As pastors fail to find jobs repeatedly, they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no experience in secular life and the jobs available to them as pastors are extremely limited. On the other hand, pastors who find their jobs successfully suffer from identity crises. For them, living as a working pastor is like walking a tightrope. Even though they suffer from this kind of dual pain, they redefine their labor as altruistic labor or pastoral labor because living as a pastor is the most important identity for them. Meanwhile, a bi-vocational pastors identity goes through a course of identity differentiation. One is the identity reinforces the boundary between sacred and profane. The other is the identity that deconstructs the boundary. Each identity develops different relationships among work, labor, and calling. The different relationships lead each identity to differently perceive relationship between Gods work and secular work which inter-penetrate each other. Furthermore, the pastors with different identities experience the affective effect of post-growth differently.
Religious survival as a pastor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i-vocational pastors. Being considered as half-bred, faithless, and illegal pastors, they attempt to secure their pastor authenticity. For instance, they try to subvert the existing moral symbol system of purity and pollution to relieve their pollution. They point out the preposterousness of the institutional pastors and denominations who defined them as illegal, negative, and polluted beings. Then, they present bi-vocational pastors as more desirable and purer pastors. According to this subversive discourse, the ministry of the bi-vocational pastor does not have to rely on money from the church because theyre able to support themselves financially. As a consequence, the bi-vocational pastor could treat people selflessly which is much more authentic. However, the fact that bi-vocational pastors successfully construct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does not mean their pain would disappear. The newly established pastor authenticity and dual pain that still lingering compose their compound identity. This identity is largely expressed in two paradoxical yet ambivalent senses, remembered and forgotten. There is a sense of calling from God, and a sense of forgetfulness that (s)he is forgotten by God at the same time. In the end, the affective effect of the painful situations experienced by bi-vocational pastors is being represented in their lives as ambivalent senses of hope/despair, remembered/forgotten, chosen/forsaken, construction of dream/destruction of dream, and honor/shame.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 내에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이중직 목회자 집단의 직업실천과 정체성의 분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전 세계에서 유래 없는 급격한 성장을 경험한 한국 개신교의 교세는 21세기에 접어들어 정체 및 하락하는 중이다. 이에 따라 개신교 지도자들인 목회자들의 생계가 위협받게 되었는데, 이런 상황에서 점점 더 많은 개신교 목회자들은 목회 외에 다른 부업을 병행하는 이중직 목회자로 살아가고 있다. 한편, 한국 개신교 주요교단들은 저마다 이런 이중직 목회에 대한 금지 혹은 제한 조항을 교회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개신교 목회자 중 과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지금도 늘어나고 있는 이중직 목회자들은 겸업으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 및 분화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을 향한 교계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반쪽짜리 목회자, 믿음이 부족한 목회자로 여겨지고 있다. 그렇기에 이중직 목회자들은 경제적으로 생존해야 하는 동시에 목회자로 생존하기 위해 목회자 진정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이중적 생존의 현실을 살아간다. 본 연구는 이중직 목회자 집단의 형성 배경과 이들의 직업 실천의 양상 즉,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는지와 어떤 방식으로 목회자 진정성을 확보하며 목회자로 생존하기를 시도하는지 살핀다.
오늘날 포스트-성장(post-growth) 상황의 한국 개신교는 극소수의 대형교회와 대다수의 미자립교회로 양분화되었다. 교단마다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없어 외부의 지원에 의존해야하는 미자립교회들의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이런 상황은 목회자 수요 공급의 불균형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신교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20세기 중후반의 상황에서 목회자가 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신학교에 몰려들었고 신학교가 비대해진 것이다. 그 결과 매년 수 천 명의 목회자들이 여전히 배출되고 있지만, 반대로 개신교 교회와 교인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임지를 찾지 못한 목회자들이 늘어났고 이들이 내몰리듯 개척하는 교회의 거의 대다수가 미자립교회가 된 것이다. 교단이 목회자들의 생계를 책임져줄 수 없는 상황에서 양산되는 미자립교회 목회자들은 극심한 경제적 고통과 미래에 대한 막막함과 절망을 안고 살아간다. 결국 목회자들은 부업을 통해 생계를 해결할 수밖에 없는데, 교단들마다 이중직을 제한하거나 금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회문화 역시 이중직 목회자들에게 호의적이지 않다. 이 현상의 배경에는 한국 교회 내에서 통용되는 상징 체계가 작용되고 있는데, 이 상징 체계란 전업 목회자를 순수한 목회자로, 이중직 목회자를 오염된 목회자로 인식하게 하며 목회자 정체성의 순수와 오염을 규정한다.
일과 목회를 병행하기 위해 구직활동을 하는 목회자들에게 모든 일이 같은 정도의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목회자들은 목회자성에 부합하는 조건들에 따라 더 바람직한 부업과 덜 바람직한 부업을 나눈다. 또한 이중직 목회자의 구직 과정은 좌절감을 동반한다. 번번이 구직에 실패하면서 목회자들은 목회자로서 자신이 구할 수 있는 직업이 극히 한정적이라는 사실과 스스로 세속적 삶에 대한 경험이 없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다. 구직에 성공하여 일을 시작한 목회자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목회와 일을 병행한다는 것은 곧 매 순간이 생존과 소명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들은 목회자가 가장 주요한 정체성인 탓에 자신의 노동을 이타적인 노동, 즉 목회적 노동으로 재의미화한다. 일과 목회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이중직 목회자의 정체성은 성/속의 경계를 더욱 강화하는 목회자 정체성과 성/속의 경계를 해체하는 방식의 목회자 정체성으로 분화된다. 이 둘은 각각 일과 노동, 소명의 관계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상호침투하는 하나님의 일과 세속적 일의 관계를 전혀 다르게 인식하며, 포스트-성장의 정동적 효과를 다르게 경험한다.
이중직 목회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목회자로서 생존하는 것이다. 반쪽짜리 목회자, 불성실한 목회자, 불법적인 목회자로 여겨지는 가운데서 이들은 자신의 목회자 진정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다. 이중직 목회자들은 기존의 오염과 순수의 도덕적 상징체계를 전복하는 방식으로 직업정체성의 오염을 해소하고 목회자 진정성을 확보한다. 즉, 자신을 불법적인 존재로 규정했던 제도권의 목회자들과 교단들의 구태의연하고 비상식적인 모습들을 지적하면서 그들을 오염된, 부정적인 목회자로 규정하고, 반대로 이중직 목회를 더욱 바람직하고 순수한 목회로서 제시하는 것이다. 이런 전복적 담론의 형성에 따르면 교인과의 관계에서 돈으로부터 자유롭고, 그렇기에 사람 자체를 사심 없이 소중하게 대할 수 있는 이중직 목회의 목회 방식이야 말로 진정한 목회다. 그러나 이렇게 이중직 목회자들이 자신들만의 진정성 담론을 구성했다고 해서 그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고통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새롭게 확립된 목회자 진정성과 여전히 잔존하는 이중적 고통은 일하는 목회자만의 정체성을 입체적으로 구성하게 한다. 그리고 그 정체성은 크게 두 가지 역설적이고도 양가적인 감정, '기억됨'과 '잊혀짐'으로 표현된다. 즉, 신으로부터 자신이 부름 받은 존재라는 소명감과, 동시에 자신이 신으로부터 잊혀진 존재라는 잊혀짐의 감각이 공존하는 것이다. 이중직 목회자들이 경험하는 고통스러운 상황이 자아내는 정동적 효과는 희망/절망, 기억됨/잊혀짐, 선택됨/버려짐, 몽상/파상, 명예/수치라는 양가적 감정들이 교차하고 또 공명하면서 그들의 삶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3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