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냉전 전략 핵무기 감축을 둘러싼 미·러 협력의 동인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Drivers of U.S.-Russian Cooperation on Nuclear Disarmament in the post-Cold War period: Focusing on examples of START I, START II, SORT, and NEW START Treaties
START I, START II, SORT, NEW START의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Ekaterina Alexandrova

Advisor
신범식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략무기감축협정전략공격무기감축협정핵군축전략적 안정성미사일 방어체계협력의 동인Strategic Arms Reduction TreatyStrategic Offensive Reductions TreatyNuclear DisarmamentStrategic StabilityMissile DefenseMotives for Cooper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21. 2. 신범식.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U.S.-Russian cooperation on nuclear disarmament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by mainly focusing on four cases of treaties (START I, START II, SORT, and New START). The purpose of these treaties was to secure the nuclear-strategic p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o create conditions for strategic stability. However, out of the four treaties mentioned above, only START II did not enter into force. The dispute over the missile defense system and the unilateral U.S. withdrawal from the Anti-Ballistic Missile Treaty (ABM Treaty) on 13th December 2001 are generally considered as the main reasons. The fact that the U.S. and Russia signed a new agreement on strategic offensive reductions (SORT) three weeks before the official abrogation of ABM treaty on 13th June 2002, however, makes this issue highly controversial. Therefore, this studys goal is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what factors contributed to the fact that START II treaty did not enter into force and second, why, despite the continuing disagreement over the missile defense system, SORT and New START treaties were eventually sign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were involv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By compar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nuclear weapons policies and the negotiation process itself it reveals the reason why at one point (START II) two parties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while at another point (SORT, New START) succeeded in doing 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motive for cooperation during the START I and START II negotiations was to achieve relative nuclear arms parity to further secure bilateral strategic stability. Both parties also affirmed their commitment to the ABM treaty as a cornerstone of strategic stability.
Meanwhile, during the SORT and New START negotiations, both countries stil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uclear parity as before, but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motives. With the progress by rogue states towards a nuclear weapons capability, the main interests for cooperation for the United States have chang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tricter non-proliferation regime and the maintenance of global strategic stability through the deployment of their own missile defense system. At the same time, Russian major motivations were to reduce defense spending, assure its status as a nuclear power, and secure strategic stability that excluded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missile defense system.
An analysis reveals that the reason why the START II treaty did not come into force was that the period of its ratification coincided with the turn of events, when both sides were unable to reach any consensus on missile defense. Further signing of the SORT and New START became possible due to the fact it no longer depended on the ABM treaty and, therefore, served U.S. interests. And in this regard, Russia had no alternative other than making concessions, since it was the sole means of reducing defense spending and maintaining its status as a nuclear power.
This paper analyzes bilateral agreements, military doctrines, and statements made by the heads of two countries to clarify how the perception of strategic stability and the drivers for cooperation on nuclear disarmament have changed over time. The study provides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e different ratification outcomes by giving attention to the specific context where cooperation took plac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context gives a perspective on what kind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wo countries may face during further nuclear disarmament talks.
본 연구는 냉전 종식 후 미국과 러시아의 핵군축 협력을 네 가지 협정 사례(START I, START II, SORT, New START)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협정들의 목표는 양국간 전략 핵무기 동등성의 확보 및 전략적 안정성을 위한 조건의 형성에 있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네 개의 협정 가운데 START II는 결국 발효되지 못했다.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한 양국의 의견차와 미국의 일방적인 탄도탄 요격유도탄조약(ABM Treaty) 탈퇴가 주된 원인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ABM 파기 3주 전에 미국과 러시아는 새로운 핵감축 조약인 SORT를 체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START II 발효 실패라는 결과를 빚은 요인이 무엇이었는가 하는 물음에 답하고, 이어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한 시각차가 여전히 좁혀지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SORT와 New START의 체결이 가능했는지 그 원인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START II의 발효 실패와 SORT 및 New START의 체결 당시 각각의 상황이 어떠하였는지를 내부 관점과 외부 관점에 입각하여 각각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국제적 환경, 군사적 독트린, 양자 협상의 과정 등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협력에 얽혀 있는 이해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그러한 이해가 어떻게 한 시점(START II)에는 타협으로 수렴되는 데 실패하고 다른 시점(SORT, New START)에는 이에 성공했는지 밝히고자 한다.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START I과 START II 협상 당시의 주요한 동인은 미국과 러시아 양측의 전략적 안정성의 확립 및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핵 동등성의 달성에 있었다. 그리고 국가 미사일 방어체계 형성을 금지하는 ABM 조약은 그러한 전략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장치로 간주되고 있었다. 한편 SORT와 New START의 협상 기간 동안 양국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외형적 핵 동등성의 유지를 중요시하였으나, 국제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들의 동인 또한 변화를 겪었다. 핵무기를 보유한 불량국가의 등장 및 테러 공격의 발생으로 인해 미국의 주요한 협력 동인은 보다 엄격한 핵무기 비확산 레짐의 형성 및 자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구축을 통한 국제적 전략적 안정성의 유지로 바뀌었다. 한편 러시아에게 있어서는 국방예산 감축, 핵 강대국으로서의 지위 유지, 그리고 미국만의 미사일 방어체계 형성을 배제한 전략적 안정성의 확보가 중심적 동인이 되었다.
위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가 내리고자 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START II의 발효가 불발로 끝난 것은 그 비준 시기가 양측이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에 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없었던 국면 전환기에 해당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SORT와 New START의 비준이 성사된 것은 양국 각각의 맥락을 통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우선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협정에 관한 협상이 ABM에 대하여 의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 미사일방어체계의 형성을 제약하는 방해 요소가 없었고 이는 미국의 이해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한편 러시아로서는 이러한 조약들의 체결이 국방예산 감축과 핵 강대국으로서의 지위 유지라는 자국 이해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일정 부분 양보가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각자의 이해가 맞아 협정의 성공적 체결이라는 결과를 빚어낸 것이다.
협정문, 군사 독트린, 그리고 양국 수뇌부 발언의 분석을 통하여 전략적 안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핵감축 영역에 있어서의 협력의 동인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고자 시도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국과 러시아 간의 협력이 그때그때의 특수한 맥락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여러 전략무기감축협정의 상이한 비준 결과들에 대해 보다 높은 타당성을 지닌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명은 핵감축 문제를 둘러싼 양국 정부의 향후 협정 체결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을지에 대해서도 전망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3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