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럽적 세속주의의 이식과 글로벌 이슬람주의의 정치적 대응 : The Transplantation of European Secularism and the Political Counteraction of Global Islamism: An Etiological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national Religious Social Movements of the Jihad and the Religious Unification
지하드와 종교통합의 초국적 종교사회운동에 관한 원인론적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창재-
dc.contributor.advisor신범식-
dc.contributor.author박재형-
dc.date.accessioned2021-11-30T04:19:30Z-
dc.date.available2021-11-30T04:19:30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373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564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73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2021. 2. 백창재-
dc.description신범식.-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nalyzes which fundamental elements which determined the drastically different trajectories of two representative cases of contemporary Islamist movements, the Muslim Brotherhood and the Gülen movement. Both movements contain counteractive at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uropean secularism in the Middle East. They were both triggered by the same catalyst and were found on strictly Islamic political values. Despite the similarities, their trajectories are in complete contrast as the former evolves into a global Jihad movement, and the latter into a global religious unification movement.
The difference in their trajectories may come from three major points; first, the difference in their organizations internal structure, second, the difference in dominant discourse of Islamic political theories embedded in the two movement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olitical influence of European secularism which the two movements were triggered by. Each point is analyzed through organizational-intrinsic factor, idea-discourse factor, and the cognition-identity factor. Each factor will be analyz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can impact the trajectories of the two movements, the dependent variables. After the factors are proven to have the ability to impact the trajectory of the transnational expansion of the two movements, the one with the most persuasive factor was chosen to be the main factor for the difference in their trajectories.
The organizational-intrinsic factor did not present enough evidence to result in the polarizing trajectories. Microscopic differences in purpose and operational level wer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overall commonalities. In the scope of idea-discourse factor, it can clearly be observed that the Islamic political discourses in Turkey and the Arab World were receptive of European modernism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But the Muslim Brotherhood movement diverted the political discourse in the Arab world into Islamism and led the discourse itself of Islamic political theory and the Gülen movement evolv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ir receptivity. The Muslim Brotherhood movement was not the object, but the subject in the dispute on the Islamic political theory in the Arab World.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slamic political theories embedded in Turkey and in the Arab World could not be the factor to initiate the different trajectories of the two movements. It was actually more logical to focus on the Muslim Brotherhoods dominant function on leading the diversion of discourse.
The cognition-identity factor can be explained by how Islamists perceived the adoption of European secularism in Turkey and the Arab World. The process is labeled as Kemalism in Turkey, and Nasserism in the Arab World, named after specific political leaders. Kemalism is characterized by an outward adoption of European secularism, while Nasserism was recognized as secularism with different inward attribute linked to the Jewish Zionist mov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British Middle East policies. The Muslim Brotherhood conceptualized the Zionist movement and the European imperialism as a Crusaderist imperialism from the beginning and labeled European secularism as its tool all throughout the Middle East. The concept of Crusaderist imperialism became visible through the siege of Jerusalem by Europe and Israel. The action was then accepted as the initiative to obliterate the Islamic world in historical and doctrinal perspectives. The transnational Gülen movement has been located itself as the counteraction against Kemalism, and the transnational Muslim Brotherhood movement as the counteraction against Nasserism integrated to Crusaderist imperialism surrounding Jerusalem. The former evolved into a global religious unification movement which embraces European values, and the latter evolved into a global Jihad movement as an opponent to European values. The core of cognition-identity factor is the Jerusalem agenda and this is the most prominent factor that can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trajectory of the two movements.
The probability of superiority between the factors can be validated more explicitly by the Theory of Cultural Trauma argued by Jeffrey Alexander. The Gülen movement does not have historical or political events which could place the movement into a victim status. But the Muslim Brotherhood have experienced a typical traumatizing process which catalyzed the movement to hold a collectively hostile identity. Compared to the religious unification movement which came from the Gülen movement, the global Jihad movement that came from the Muslim Brotherhood movement connotated a clear characteristic of collective identity movement which is based upon a cultural trauma.
This thesis also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form international theories regarding religious social movements. Daniel Levine asserted that the comparative studies on religious social movements of different regions were limited to comparing cases resulting from specificities of the regions. But this thesis proposes an amendment of this approach by arguing the significance of international structures of religious social movements based on major global religions. The analysis of religious social movements based on major global religions must be dealt with in the dimension of international theories. This thesis propos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se theories.
The limitation of this thesis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organizational-intrinsic, the idea-discourse, and the cognition-identity are independent variable factors of one another. Though the cognition-identity factor was labeled as the most prominent cause, this limitation was, at least partially overcome by stressing that the importance of movement organizations as the carrier groups as the Theory of Cultural Trauma insists. In spite of this aspect, for parsimony of explanation, I intentionally operated variables in the way ignoring possible causality between these factors. And if there are significant causalities between them, I expect that the further studies can explain trajectories of Islamist movement through 20th century in a more comprehensive way by performing additional researches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thesis.
-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현대 이슬람주의 운동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인 무슬림 형제단 운동과 귤렌 운동의 초국적 팽창이 보인 궁극적인 궤적의 차이가 무엇에 의해 유발된 것인지를 비교 분석한다. 두 운동은 모두 유럽의 세속주의가 중동에 전개된 것에 대한 대응적 성격을 가졌고, 그 대응의 방식으로 이슬람을 중심 가치에 둔 정치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전자는 글로벌 지하드운동으로, 후자는 글로벌 종교통합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궤적의 차이는 크게 세 지점에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첫째는, 두 조직의 내부 구조 상의 차이, 둘째는, 두 조직이 위치하고 있는 이슬람 정치이론의 지배적인 담론 자체에서 오는 차이, 셋째는, 두 운동이 대응했던 유럽적 세속주의가 갖는 정치적인 영향력의 차이가 그것이다. 이 각각은 조직-내재적 요인, 사상-담론적 요인, 인지-정체성 요인으로 명명하여 분석한다. 각 요인들을 독립적인 변수로 가정하고, 각 변수가 종속변수인 무슬림 형제단 운동과 귤렌 운동의 초국적 팽창의 차이를 설명하는 원인변수로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수를 궤적의 차이를 낳는 원인 변수로 채택하였다.
조직-내재적 요인은 두 운동의 궤적의 차이를 설명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표와 운영 상의 미시적 차이는 대체적인 공통점에 비하여 미미한 것이었다. 사상-담론적 요인에서는 20세기 초까지 아랍과 터키의 이슬람 정치이론 의 담론이 유럽적 근대주의에 대해 수용적이었던 점이 뚜렷이 관찰된다. 그러나, 무슬림 형제단 운동은 아랍에서의 정치 담론을 이슬람주의로 전환시키며 이슬람 정치이론의 담론 자체를 주도하였고, 귤렌 운동은 그러한 초기의 수용성을 대체로 유지하는 쪽으로 전개되었다. 무슬림 형제단 운동은 아랍 이슬람 정치이론의 논쟁에서 객체가 아닌 주체였으며, 따라서 아랍과 터키 지역에 내재되어 온 이슬람 정치이론에서의 차이는 궤적 차이의 원인변수가 될 수 없었다. 오히려 무슬림 형제단이 주도적인 담론 전환의 주체로서 기능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인지-정체성 요인은 궁극적으로 유럽적 세속주의가 터키와 아랍지역에 이식된 형태를 이슬람주의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인지했는지에 의해 설명된다. 전자는 케말주의, 후자는 나세르주의라는 특정 정치 지도자의 이념으로 표현되었다. 케말주의는 유럽적 세속주의의 표면적 이식의 성격을 가졌지만, 나세르주의는 20세기 초반부터 전개된 유대인의 시온주의 운동, 영국의 중동정책과 연계된 이면적인 세속주의로 인지되었다. 무슬림 형제단 운동은 발족의 초기부터 이러한 시온주의와 연계된 유럽의 제국주의를 십자군적 제국주의로 개념화시키며, 유럽적 세속주의는 이것을 실현하는 도구로서 전개된다는 이론을 중동 전역에 확산시킨 주체가 되었다. 그리고 십자군적 제국주의의 가장 뚜렷한 정치적 결과물은 유럽과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점령으로 가시화되었고, 이것은 이슬람 세계 전반에 대한 말살 계획으로서, 역사적, 신학적 관점에 의해 지지되었다. 케말주의에 대한 반발과 대응은 귤렌 운동의 초국적 팽창으로,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십자군적 제국주의 와 연동되었다고 인지된 나세르주의에 대한 반발과 대응은 무슬림 형제단 운동의 초국적 팽창으로 자리잡게 된다. 전자는 유럽의 가치를 포용하는 글로벌 종교통합운동으로 발전하였으나, 후자는 유럽의 가치의 대척점을 형성하는 글로벌 지하드운동이 되었다. 인지-정체성 요인의 중심축은 예루살렘 아젠다에 있었으며, 이것이 가장 유력한 양 운동의 궤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이다.
이러한 변수의 우열 관계는 제프리 알렉산더가 주장한 문화적 트라우마 이론에 의해 더욱 명확히 설명이 된다. 귤렌 운동은 희생자적 지위를 주장할 수 있는 역사적, 정치적 정황들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무슬림 형제단 운동은 전형적인 트라우마화 과정을 겪었으며, 이것은 적대적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무슬림 형제단 운동으로부터 파생된 글로벌 지하드운동은, 귤렌 운동으로부터 전개된 글로벌 종교통합운동에 비해, 문화적 트라우마를 기반으로 한 집단 정체성 운동의 성격을 뚜렷하게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이 논문은 종교사회운동에 대한 국제이론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대니얼 르바인은 종교사회운동에 대한 지역 간의 비교 연구는 각 지역이 보이는 특이성으로 인해 개별 사례들을 검증하는 정도의 의의가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이 논문은 세계적인 대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종교사회운동들은 그 국제적 구조가 중요함을 주장함으로 이러한 접근이 수정될 것을 요구한다. 세계적 수준의 대종교로 인지되어 온 종교들을 기반으로 한 종교사회운동에 대한 분석은 국제이론 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그것에 대한 이론적 구성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이 논문의 한계는, 조직-내재적 요인, 사상-담론적 요인, 인지-정체성 요인 각각을 서로 독립적인 변수로 확정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인지-정체성 요인이 주된 원인변수로 부각되었으나, 문화적 트라우마 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캐리어 그룹인 운동 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 이러한 한계는 일부 극복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의 간결성을 위해 이 요인들 사이의 가능한 인과성을 무시하는 방식으로 변수의 조작을 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중대한 인과성이 존재할 경우, 이 논문의 결과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 20세기 전체의 이슬람주의 운동의 궤적을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을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i
목차 iv
표목차 (Table Contents) xiv
그림목차 (Figure Contents) xv
제1장. 서론 1
1. 문제의식 3
(1) 글로벌 지하드운동 (Global Jihad Movement) 3
(2) 글로벌 종교통합운동 (Global Religious Unification Movement) 6
2. 사례 선택 11
3. 논문의 중심질문 13
제2장. 기존의 연구와 연구의 설계 15
1. 기존 접근의 한계와 새로운 이론의 가능성 17
(1) 사회운동이론과 이슬람학 사이의 단절 17
(2) 중동-북아프리카의 대중운동이론 19
(3) 새로운 이슬람 사회운동이론의 필요성 20
(4) 이슬람적 보편주의에 대한 연구 방법론 22
2. 사회운동이론의 접근 방식과 비교 연구를 통한 우열의 판별 27
(1) 일반 사회운동이론에 대한 재정렬과 철학적 가치 비평 28
1) 비합리적 대중이론: "거시적 운명론"과 "지배적 문화"의 힘 28
2) 합리적 조직이론: "엘리트의 주체성"과 "대중의 수동성" 29
3) 역사와 권력관계의 다양성: "역사적, 정치적 특이성" 31
(2) 이슬람 사회운동에 대한 적용 32
1) 조직 자체에 대한 접근: 리더십과 조직구조 이론 32
2) 지배적 사상에 대한 접근: 지역 이슬람의 지배적 사상담론 33
3) 정치적 특이성에 대한 접근: 정치적 사건과 정체성 중심의 연구 34
(3) 비교 분석을 통한 우열의 판별 36
(4) "종교사회운동의 국제이론" 구성의 가능성 37
3. 논문의 작업 가설 38
4. 변수의 조작과 한계의 가능성 39
5. 변수들에 대한 분석 41
(1) 조직-내재적 요인에 대한 접근: 조직의 구조와 발전 과정 41
(2) 사상-담론적 요인에 대한 접근: 유럽의 변화에 대한 사상적 대응 42
(3) 인지-정체성 요인에 대한 접근: 문화적 트라우마와 집합 정체성 42
6. 논문의 구조 43
제3장. 무슬림 형제단 운동의 초국적 팽창과 글로벌 지하드운동 45
1. "외국계 전사(foreign fighter)" 이론과 글로벌 지하드운동 47
2. 사우디 아라비아의 히자즈 범이슬람주의 공동체와 MB 50
(1) 히자즈 범이슬람주의 공동체의 형성의 환경 50
1) 국제정치적 환경 50
2) 제도적 경쟁 구조 51
(a) 국제협력기구 51
(b) 대학교 51
(c) NGO 및 사회사업기관 51
3) 인적 구성의 변화 52
(2) 히자즈 범이슬람주의 공동체의 성격 55
1) 교사들과 교육체계를 통한 차세대 운동 56
2) 이슬람 세계의 여러 인종을 통합시키는 코스모폴리탄적 운동 57
3) MB의 비전을 확장시킨 운동 58
4) 적극적인 글로벌 팽창운동 59
(3) 히자즈 운동의 원인론: 나세르주의와 히자즈 운동 60
1) 정부 수준의 원인: 이집트와 사우디 아라비아의 "아랍 냉전" 60
2) 사회운동 수준의 원인: 나세르의 MB탄압 61
3. 나세르의 MB 탄압과정 62
(1) 나세르 탄압정책의 정치적 의미 62
1) 나세르 이전 왕정의 탄압 62
2) MB 내부분열의 가시화와 무장조직의 독자노선 63
(2) 나세르의 제1차 MB탄압과 히자즈로의 1차 유입 (1954년 이후) 66
1) 탄압 직전의 국내정치적 상황과 탄압규모 66
2) 히자즈로 대거 이동한 이유: 비전과 조직문화 71
(3) 나세르의 제2차 MB탄압과 히자즈로의 2차 유입 (1965년 이후) 74
4. 소결 77
제4장. 귤렌 운동의 초국적 팽창과 글로벌 종교통합운동 79
1. 1990년대: 카프카즈, 중앙아시아, 러시아 소수민족, 발칸반도 81
(1) 현황 81
(2) 재정 및 정부관계 83
(3) 교사들의 활동과 동기 84
2. 2000년대 : 글로벌 팽창과 "종교 간의 대화(Interfaith Dialogue)" 86
3. "종교 간의 대화"와 글로벌 종교통합운동 88
(1) 바티칸 제2차 공의회(Concilium Vaticanum Secundum)와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Nostra Aetate)" 88
(2) GM의 IFD 운동과의 연계 91
(3) 글로벌 종교통합운동: 신학적 재구성을 통한 융합의 시도 93
4. 소결 97
제5장. 조직-내재적 요인 : 조직의 구조와 발전 99
1. MB 운동의 구조와 발전 101
(1) MB의 부상과 동원능력에 대한 환경적, 조직적 접근 101
1) 환경요인: 국제적 요인(영국과 이스라엘)의 중요성 101
2) 조직요인: 유연성, 실질성, 이중성 107
(2) 하산 알-반나의 기본 기조 112
1) 이슬람의 목적에 대한 교정 112
2) 정치이론의 기본 원리 114
2. GM의 구조와 발전 115
(1) 교육 프로젝트: 사상 확산의 핵심전략 115
1) 1990년대 이전까지의 교육: 합리적 사회적 행동을 통한 권력 장악 118
(a) "자연의 꾸란": 보편적 계시로서의 과학 118
(b) 신앙으로서의 사회적 행동 119
(c) 교육: "골든 제너레이션(altın nesil)" 이론 119
2) 1990년대 이후의 교육: 도덕성 회복을 통한 종교진영의 확대 120
(a) 물질주의 리더십을 넘어 도덕적 리더십의 회복 120
(b) 종교 간의 대화 및 종교통합의 가능성 121
(2) 이슬람 비즈니스 운동: 외연 확대의 동력 122
(3) 근본 전략기조: "점진적 장기혁명(Passive Revolution)" 124
3. 조직 구조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127
(1) 조직의 목표 128
(2) 지도자의 성향 130
(3) 조직의 활동 방식과 구조 130
1) 교육 프로젝트 중심의 운동 130
2) 비즈니스 프로젝트의 지원 131
3) 지부 형태의 유무 132
4. 소결 132
제6장. 사상-담론적 요인 : 아랍 이슬람과 터키 이슬람의 사상적 진화 135
1. 아랍의 이슬람 정치이론: 개혁주의에서 이슬람주의로의 진화 137
(1) 이슬람 정치성의 기원: 근대 이전까지 138
1) 무함마드 초기의 빈약한 정치성 138
2) 이슬람 역사에서의 정치와 종교의 수렴 139
3) "아랍의 정신(Arab Mind, )"과 무슬림 정치 사회의 형성 140
4) 위기에서의 정당성을 위한 이슬람 정치이론 143
5) 정통 이슬람 국가이론: 근대 이전까지 144
(2) 근현대 이슬람 정치이론의 진화: 유럽적 근대화에 대한 사상적 대응 149
1) 제1세대: 개혁주의의 태동 149
2) 제2세대: 전제군주에 대한 논쟁 153
3) 제3세대: 칼리프제에 대한 비판과 이슬람주의의 태동 163
4) 제4세대: 시민적 형태의 이슬람국가 176
5) 제5세대: 이슬람국가와 민주주의 182
(3) 정치사회적 진화와 분화의 과정: 사상의 정치적 전개 188
1) 19-20세기 초반의 이슬람 개혁주의 188
2) 20세기 후반의 이슬람주의의 부상과 운동노선의 분화 190
3) 이슬람주의의 극단노선: 사이드 꾸틉의 이슬람주의의 사상적 중심축 196
(a) 신적주권() 개념의 중심성 197
(b) 자힐리야()에 대한 규정 200
(c) 신적주권을 회복하는 꾸란의 방식 203
(d) 이슬람법의 개념: 자연질서의 일부 206
(e) 문명의 정의( ): 가장 높은 인간의 고귀한 가치 실현 208
(f) 지하드(jihd, )의 정의의 전략:자힐리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역동적 운동 210
2. 터키의 이슬람주의와 누르시 운동 212
(1) AKP와 GM의 국내 이슬람주의 대통합 과정 212
1) 터키 공화국의 기반: 세속정당들의 사상적 노선 213
2) 이슬람주의 정당들의 부상과 그 사상기조 215
3) 이슬람주의 및 세속주의의 대통합과 GM의 역할 222
(2) 아나톨리아 이슬람의 사상적 전통: 이종성(heteroxiness)과 탈전체성(de-totalization) 224
(3) 아나톨리아적 이슬람의 누르시적 이슬람주의로의 진화 227
1) 사이드 누르시 1기: 구(舊) 사이드(Eski Said) 227
2) 사이드 누르시 2기: 신(新) 사이드(Yeni Said) 229
(a) 누르시 운동의 태동 229
(b) 누르시적 이슬람 보편주의 231
(4) GM-누르시 사상의 보편적 호소력: 합리성과 도덕성 237
1) 세속주의와 전통 이슬람 사이에 있는 무슬림들: 합리성과 과학 238
2) 세속주의 하의 비무슬림들: 신앙과 도덕성의 리더십 239
3. 이데올로기적 궤적의 차이 240
(1) 아랍의 이슬람 정치이론과 MB이론 사이의 선후 관계 240
(2) 누르시 사상의 내재적 지속성 242
4. 소결 244
제7장. 인지-정체성 요인 : 정치적 사건의 인지와 정체성의 형성 245
1. 유럽적 세속주의의 세계관 247
(1) 유럽적 보편주의의 정체성 247
(2) 유럽적 보편주의의 기원과 근대화의 의미 253
1) 유럽 중세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기반: 보편주의 이데올로기 254
(a) 로마제국과 로마교회의 두 보편주의 이데올로기의 태동 255
(b) 두 보편주의의 융합의 과정 257
(c) 두 보편주의의 갈등과 변환 260
(d) 보편주의의 해체 263
2) 보편주의에 대한 해체과정으로서의 근대화 264
3) 유럽의 "이데올로기적" 세속주의와 중동으로의 이식 267
2. 세속주의의 표면적 이식: 케말주의와 나세르주의의 태동 271
(1) 터키 공화국의 래디컬 세속주의: 국가-사회-종교 간의 함수 관계 272
1) 정치적 세속주의: 터키 정치의 근본적인 딜레마 272
2) 이슬람주의 부상의 경제구조적 원인: 조합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 274
3) GM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응 276
4) 군부의 국내정치적 정체성 277
(2) 나세르주의 태동의 정치적 지형 278
1) MB 인지과정의 개략 279
2) 세속주의의 전개와 지하디즘의 태동 280
(a) 아랍민족주의의 본질로서의 세속주의 280
(b) MB의 전략 및 전술의 전환: 지하디즘의 태동 284
3. 세속주의의 이면적 속성: 예루살렘 아젠다 286
(1) 유대인 프로젝트에 대한 MB의 이니셔티브 287
1) 이슬람 세계 내부의 광범위한 유대인 디아스포라 287
2) 반이스라엘 집단감정의 기원: MB주도의 정치종교적 이데올로기 290
(a) 유대인 문제에서의 MB의 주도성 291
(b) 이스라엘 아젠다와 무력사용의 기원 293
(c) MB의 국제팽창과 반이스라엘 아젠다의 확산 295
(2) 서구에 대한 MB의 인지작용 : 이론적, 경험적, 정체중심적 인지전환 298
1) 합리적-이론적 인지작용: 서구 내부에 대한 포괄적인 가치평가 299
2) 경험적 인지작용: 제국주의에 대한 공통경험에 의한 국제네트워크 303
3) 정체성 기반의 인지작용: "문화적 제국주의( )"와 역사 정체성 305
(3) 현대 십자군주의(Crusaderism, )의 기원과 무슬림의 역사 정체성 309
1) 십자군에 대한 이슬람적 해석의 기원 309
2) 십자군에 대한 이슬람적 해석의 현대적 부활과 MB 312
(a) 시온주의의 진화: 유대민족주의에서 유대다윗왕국주의로 313
(b) 예루살렘의 중심성 316
(c) 이슬람의 역사정체성에 대한 위기의식 319
(d) MB를 통한 십자군주의 인식의 확산 메커니즘 322
3) 십자군적 제국주의와 미국 제국주의의 인지적 융합 323
4) 일반적 제국주의와 십자군적 제국주의의 차이 326
(4) 이면적 세속주의: 나세르주의와 십자군주의의 인지적 융합 327
1) MB의 결정적인 인식확장: 십자군적 제국주의 범주에 대한 확대해석 328
2) 1954년 10월 19일 수에즈운하기지 조약의 국제적 의미 330
(a) 영국 중동정책의 변화와 연속성 331
(b) 새로운 공화국에 대한 검증 333
(c) MB의 공식견해 334
(5) MB의 초국적 팽창의 속성과 인지-정체성 요인: 시온주의와 유럽적 세속주의의 연계 335
1) MB의 초국적 팽창의 성격: 비전에 의한 보편주의적 팽창 335
2) 세속주의와 종교적 신념 상의 도전 336
4. 아랍-이란식 이슬람주의에 대한 거부와 경쟁적 팽창 339
(1) 누르시식 이슬람주의와 아랍-이란식 이슬람주의 사이의 충돌 340
(2) GM 세계관에서의 국제관계의 3개 층위 343
1) 오스만 제국의 현대적 재구성 344
2) 글로벌 진출의 "제도적 발판"으로서의 서구 346
3) 이슬람 왜곡의 진원지로서의 아랍-이란 347
(3) GM의 초국적 팽창의 속성과 정치적 인식의 동학 349
1) 가능한 해석 351
2) 점진적 장기혁명과 초국적 팽창에 관한 해석 352
5. 소결 354
제8장. 요인들 간의 우열과 이론의 구성 357
1. 요인들 간의 우열 359
(1) 요약: 비교 분석을 위한 핵심 요소들 359
(2) 조직-내재적 요인의 배제 361
(3) 사상-담론적 요인과 인지-정체성 요인 사이의 우선성 363
(4) 이면적 세속주의로서의 예루살렘 아젠다의 역사적 의미 365
1) "Pre-Jerusalem Secularism"과 "Post-Jerusalem Secularism" 365
2) 포스트 모더니즘적 예루살렘 : 근대적-중세적-고대적 코드의 정치적 수렴 366
2. 이론의 구성 369
(1) "문화적 트라우마 이론(Theory of Cultural Trauma)"의 적용 369
1) 일반 트라우마 이론과 문화적 트라우마 이론의 차이 370
2) 문화적 트라우마를 구축해내는 사회적 과정 371
(a) 캐리어 그룹(the Carrier Groups) 371
(b) 회중 (the Public) 372
(c) 상황 및 정치적 사건 (the Situation and the Event) 372
3) GM와 MB의 궤적 차이와 문화적 트라우마 이론 373
4) 문화적 트라우마(Cultural Trauma)와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iy) 375
(2) 종교사회운동의 국제이론(International Theory of Religious Social Movement)의 가능성 377
1) 종교사회운동의 근본 특질 : 절대진리추구, 신학적 보수성, 국제적 네트워크 378
2) 정치와 종교 사이의 역사적 관계 설정 379
3) 종교사회운동의 국제적 구조: 대니얼 르바인의 비교 연구에 대한 비판적 대안 382
(a) 신학적 변화의 중심축: 종교네트워크의 국제적 중심부 384
(b) 국제적 종교 진영의 블록들 387
(c) 이슬람에서의 중심부 해체: 신학적 변혁의 대체 중심부 389
3. 소결: 예루살렘 아젠다와 현대적 무슬림 정체성의 형성 391
(1) 집단 정체성과 궤적의 차이 391
(2) 인식 차이 문제에 관한 고찰 394
제9장. 결론 397
참고문헌 (References) 402
ABSTRACT (영문초록) 431
CONTENTS (영문목차) 436
Table Contents (영문 표목차) 449
Figure Contents (영문 그림목차) 450
Tables (영문 표) 451
Figures (영문 그림) 459
-
dc.format.extentxv, 46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세속주의,이슬람주의,지하드 운동,종교통합 운동,예루살렘,문화적 트라우마 이론,집단 정체성,정치-종교 관계,종교사회운동,무슬림 형제단,귤렌 운동,시온주의-
dc.subjectSecularism-
dc.subjectIslamism-
dc.subjectJihad Movement-
dc.subjectReligious Unification Movement-
dc.subjectJerusalem-
dc.subjectTheory of Cultural Trauma-
dc.subjectCollective Identity-
dc.subjectRelation of Politics-Religion-
dc.subjectReligious Social Movement-
dc.subjectMuslim Brotherhood-
dc.subjectGülen Movement-
dc.subjectZionism-
dc.subject.ddc320-
dc.title유럽적 세속주의의 이식과 글로벌 이슬람주의의 정치적 대응-
dc.title.alternativeThe Transplantation of European Secularism and the Political Counteraction of Global Islamism: An Etiological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national Religious Social Movements of the Jihad and the Religious Unific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ae-Hyoung Park-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1-02-
dc.title.subtitle지하드와 종교통합의 초국적 종교사회운동에 관한 원인론적 비교 연구-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73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373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