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 안전 교육에 따른 중학생 홍수 위험 인식 분석 : Analysis of flood risk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tudent safety education:Centered in Guangyuan City, Sichuan Province, China
중국 쓰촨성 광위안시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ZHAOXIN

Advisor
박수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홍수 위험 인식안전 교육중국 서부 지역Flood risk perceptionsafe educationWestern China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21. 2. 박수진.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ata of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latform in Chin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afet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western China. Based on the platform dat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ctual education status of local students and how each survey variable affects students' perception of flood risk,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safety education process in China. Currently, research on safet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is mainly concentrated in Beijing, Shanghai, and other regions, and the western part of China is a relatively slow-developed region, and the above research is insufficient.
This paper surveyed 171 middle school students in Guanyuan City, Sichuan Province, in western China,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Chinese school safety education platform. A comparativ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reason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as estimated by combining the background status of the surveyed school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Finally, I will present two implications.
Firstl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survey variable, of the level of education about students' floods was conducted by using the test questions stipulated in the safety education platform.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between each school. In the surveyed schools, the education on disaster was mainly divided into class lectures and fire drills, but the subjects recording fire drills did not match, so the evaluation education score of each school calculated on the platform was adequate. It was assumed that these results were not reflected.
Secondl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y investigating the students' perception of flood risk and flood exper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flood experience and the student flood risk perception between schools. I thought that the reason why students' flood experiences differ from each other is due to the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school and the river.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flood risk perception, the result was that students in School B had the lowest risk perception among three schools.
Th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lood experience (β=.045) figured out a result proportional to the perception of flood risk,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many scholars. Flood education level (β=-.104) was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student flood risk perception.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model was not secured because the number of cases was not sufficient; thus, various unpredictable situations showed up during the actual investig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additionally performed. The student's perception of flood risk mainly investigates the subjective concerns of students' personal property or material damage and personal damage; also, among them, two questions related to property or material damage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lood risk perception.
However, it should be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school B, which has the lowest perception of flood risk, ha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but the level of education at school B did not reflect that in the survey results. This contradicted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evel of student education. Therefore, more information about School B was collected and the reason for the contradictory results was estimated.
Through this study, three problems were presented by organizing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in Chinese schools. First of all, it revealed the problem that the flood education level of students in each school surveyed was generally low. Secondly, the unified safety education platform in China is used, the contents of which are formal and the safety education platform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refore, customized school safety education is lacking. Thirdly, safety education in China is mainly conducted by schools, and the claim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three main subjects: family (parents), school, and local community which has not yet been recognized.
Finally, two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hinese safety education platform to local schoolteachers and students.
The first reason of it is that, in local schools the student flood risk education is mainly a teacher-led lecture method and a fire drill method led by local fire departments. There is a point that this situation is not adequately reflected in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latform because the subjects that conduct and record fire drills in schools are different. Therefore, we suggest a plan to separately evaluate the training in connection with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firefighting training.
Meanwhile,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latform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actual status of each school safety edu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ivate school, although it belongs to a safety education platform, there has been a case of using an education method developed by itself. Therefore, here is a problem in not accurately grasping the actual situation of private schools, and management needs to be carried out separately.
본 논문에서는 중국 학교 안전 교육 플랫폼(学校安全教育平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중국 서부 지역 내 중학생들의 학교 안전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플랫폼의 데이터를 기초로 현지 학생들의 실제 교육 현황 및 각 조사 변수는 어떻게 학생 홍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여 중국 안전 교육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도록하는 것은 본 논문의 연구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 중학생 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는 주로 베이징, 상하이 등 지역에서 집중 되고 있으며 중국 서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지역으로 상기와 같은 연구 진행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중국 학교의 안전 교육 플랫폼에서 도출한 데이터를 정리 및 분석한 바탕으로 중국 서부 지역에 위치한 쓰촨성 관위안시 의 중학생 171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 및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조사한 학교의 배경 현황을 결합하여 분석 결과가 나온 이유에 대해 추정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2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우선, 비교 분석 결과 살펴보면 첫 번째, 조사 변수인 학생들의 홍수에 관한 교육 수준이며 이는 안전 교육 플랫폼에 규정된 테스트 질문을 활용하여 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각 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육 수준 차이는 존재하지 않다 결과를 발견하였다. 조사한 학교에서는 재난 재해에 관한 교육은 주로 수업 강의 및 소방 훈련 2가지 형식으로 나눠 진행했지만 소방 훈련 실시 여부를 기록하는 주체와 실시하는 주체가 일치하지 않아 플랫폼에서 통계한 각 학교의 평가 교육 점수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서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는 걸로 추정하였다.
두 번째, 학생의 홍수 위험 인식 및 홍수 경험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 분석을 통해 각 학교 간에 학생 홍수 경험 및 학생 홍수 위험 인식이 차이가 존재한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생의 홍수 경험이 서로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 학교와 하천의 직선 거리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학생 홍수 위험 인식 비교 분석 결과에서는 B학교 학생들은 3개 학교 중에 가장 낮은 위험 인식을 가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다음 상관관계 및 회귀 분석 결과를 따르면 홍수 경험(β=.045)은 많은 학자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게 홍수 위험 인식과 비례하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홍수 교육 수준(β=-.104)은 학생 홍수 위험 인식과 반비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중에 회귀 모형의 유의성이 확보되지 않은 것은 케이스 수가 충분하지 않아 실제 조사한 과정에서 여러 가지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으로 인한 것이며 이러한 큰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홍수 위험 인식에 대한 각 조사 질문은 홍수 교육 수준과 상관관계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의 홍수 위험 인식은 주로 학생들의 개인 재산 또는 물질적인 훼손 그리고 인명 피해에 관한 주관적인 걱정을 조사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 재산 또는 물질적 훼손에 관련한 2개 질문은 홍수 위험 인식과 부적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가장 낮은 홍수 위험 인식을 가진 B학교에서는 가장 많은 교육 수준을 가진 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어야하지만 B학교의 교육 수준은 조사 결과에서 그렇게 반영하지 않았었다. 이는 학생 교육 수준에 대한 비교 분석의 결과와 서로 모순되었다. 따라서 B학교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해서 모순된 결과를 나온 이유를 추정을 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 학교 안전 교육 현황을 정리하여 3가지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번째, 조사한 각 학교 학생들의 홍수 교육 수준은 보편적으로 낮다는 문제를 밝혀냈다. 두번째, 중국에서 통일된 안전 교육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형식적이고 안전 교육 플랫폼은 각 지역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여 맞춤형 학교 안전 교육이 부족하다. 셋 번째, 중국의 안전 교육은 주로 학교 주체로 진행되고 있고 가정(학부모), 학교, 지역사회 3가지 주체로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한다는 주장은 아직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는 중국 안전 교육 플랫폼을 현지 학교 교사 및 학생에게 적용하는 과정에서 2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지 학교에서는 학생 홍수 위험 교육이 주로 교사 주도하는 강의 방식과 각 지역 소방서 주도하는 소방 훈련 방식이다. 학교에서 소방 훈련에 대해 실시하는 주체와 기록하는 주체가 서로 달라 학교 안전 교육 플랫폼에서 이 상황은 적절히 반영되지 않다는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소방 훈련을 실시하는 기관과 연결해서 훈련에 대해 따로 평가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학교 안전 교육 플랫폼에서 실제로 각 학교 안전 교육 현황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사립 학교의 경우, 안전 교육 플랫폼에 속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육 방식을 활용하는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사립학교의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존재하여 이에 대해 관리는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