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 연구 : Can Hyper-connected Technology facilitate Consumers' Sustainable Behavior? : A Qualitative Approa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서니

Advisor
나종연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속가능소비지속가능소비 실천초연결기술지속가능소비 실천의 동기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어려움Sustainable consumption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hyper-connected technologymotivation for sustainable consumptiondifficulty in sustainable consump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1. 2. 나종연.
Abstract
코로나가 미친 긍정적 영향이 있다면 지속가능소비를 가속하는 기회가 된 점이다(Sustainable Consumption Institute, 2020).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깨끗한 환경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으며,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와 배송 업무 종사자에 대한 처우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은 크게 증폭되었다. 그러나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의식과 실제 행동 사이에는 격차가 존재한다. 높아진 실천 의식을 실천 행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과는 다른 소비습관으로의 장기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지속가능소비의 개념이 추상적이어서 소비자가 자신의 일상적인 소비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실천 행동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것이 다른 사람이나 환경을 위해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고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져 소비자가 행동을 변화하는데 장벽이 되며, 지속적인 실천을 어렵게 한다고 하였다.
2020년 7월 정부는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 저탄소 중심의 그린 뉴딜을 융복합한 한국판 뉴딜 종합 계획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정보통신기술과 지속가능소비의 융합에 대한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오늘날 소비자의 일상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은 초연결의 특징을 띤다는 선행연구에 착안하여, 실천 의식을 실천 행동과 연결 지을 수 있는 방안으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주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초연결기술과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주요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개념적 틀을 도출하였으며, 정성조사를 통해 실제로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학 관점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통해 소비자가 경험한 실천의 변화는 어떠한지, 소비자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을 시작하고, 지속하며, 중단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거 영역에서는 스마트홈에 부착되어 있는 월패드,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조명, 다양한 스마트 가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교통 영역에서는 스마트폰 어플과 연동되는 커넥티드 카, 공유이동수단서비스, 네비게이션과 대중교통정보 어플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일상적 소비 영역에서는 중고거래플랫폼, 모바일 뱅킹, 모바일 결제, 모바일 청구서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자원의 사용이 필요했던 재화를 무형으로 대체한 모바일 팩스와 IPTV, 그리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정보 탐색 및 공유 등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맥락에서 활용되고 있는 초연결기술이었다.
둘째, 초연결기술이 소비자의 실천 동기를 촉진하여 실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자원과 천연 자원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자신과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전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었으며, 사회 구성원끼리 더 많이 연결되어 재화와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졌다고 하였다.
셋째, 초연결기술이 소비자가 실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통해 자신의 에너지 소비량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제품을 관리하여 오래 사용하는 방법은 어떠한지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귀찮고 불편했던 실천 방식이 간단하고 편리해졌으며,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제공되어 지속가능소비 실천 행동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넷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 경험을 통해 소비자들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 실천 수준이 낮았던 소비자들은 원격제어, 자율모드 등을 통해 실천의 불편함이 크게 감소되었고 공유이동서비스와 같이 새로운 대안이 증가하여 실천하기 어렵던 행동을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평소 지속가능소비 실천 수준이 높았던 소비자들도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의식이 크게 강화되어 실천을 지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적인 참여로 확장된 실천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다섯째, 소비자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초연결기술을 활용하게 된 계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심이 많았던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초연결기술을 발견하고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도움이 될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 초연결기술을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반면에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심이 없었지만 새로운 기술에 대한 호기심으로 초연결기술을 이용하기 시작했다가 사용 경험이 축적되면서 지속가능하다는 것을 지각하게 되어 이후에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위한 목적으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게 된 소비자들도 있었다.
여섯째, 초연결기술의 특성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원활한 연결, 조작 편리성과 용이성, 기기의 확장성 등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게 하였다. 반면에 원활하지 않은 접속, 업데이트로 인한 변화와 같은 기술적 한계를 경험하거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상대적 이점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 인터페이스가 친숙하지 않아 오히려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불편함을 경험한 경우에는 초연결기술의 활용이 중단되고, 이를 활용한 실천의 중단으로 연결되기도 하였다.
일곱째,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의 시작과 지속, 중단의 전 과정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주관적, 상대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신만의 기준이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쳤다. 소비자마다 중요하게 생각한 기준으로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통해 개인적으로 얻게 되는 효용이 무엇인지, 다른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효용이 제공될 수 있는지, 공공 자원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효율적으로 분배되는지, 사회 전체의 노력이 절감되는지 등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존 방식으로의 실천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으로의 실천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더욱 지속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는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연결기술은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 동기를 촉진하고,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초연결기술은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소비자의 이기적, 이타적 동기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소비자가 자신의 에너지 사용량이나 실천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했던 것들을 알 수 있게 해주고, 귀찮고 불편했던 실천 방식을 간편하게 만들어주었으며, 새로운 대안을 제공해주었다. 그 결과로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실천하기 어렵던 행동의 실천 빈도가 높아지거나, 동일한 노력 대비 실천의 효과가 증대되거나, 실천 의식이 크게 강화되거나, 다른 영역의 실천으로 확장된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소비자의 어려움과 불편을 줄이면서 실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소비자 친화적인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차별화된 효용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들은 하나의 어플로 여러 기기를 연결하여 한꺼번에 실천할 수 있거나 다른 소비자의 실천 현황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초연결기술을 활용해야만 가능해지는 차별화된 효용이 있는 경우에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였으며, 기존 방식과 차별점이 없다면 초연결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더욱 지속가능한지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환경과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에 도움이 되더라도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으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것이 소비자 개인적 측면에서도 분명한 효용을 제공해야 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것이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 가능해져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소비자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되어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기술적 측면에서의 한계점으로 인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통해 지속가능소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실천의 불편이 감소하였으며, 새로운 대안이 확장되어 실천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원하지 않는 정보가 제공되거나 제공되는 글씨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상황과 같이 기술의 발전이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에는 오히려 소비자의 불쾌감을 유발하여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소비자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증가되어 오히려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며, 업데이트로 인한 연결의 끊김이나 조작의 복잡성과 같이 오히려 실천이 불편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초연결 기기를 활용하는 실천 방식은 초연결 기기 생산에 드는 자원과 구입 비용, 사용과정에서의 전기 등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초연결기술을 통해 공유자원의 실시간 재고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공유자원의 관리상태를 기술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소비자의 의견도 있었다. 이와 같이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소비와 관련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기술을 활용한다는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소비자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는데 영향을 미친 기술적 한계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초연결기술의 활용은 개인화된 실천과 사회적인 실천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마다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동기와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으며,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신만의 기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공유 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처럼 초연결기술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실천 대안이 늘어났고 이 가운데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비자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소비자의 개인화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 개인화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에 초연결기술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 접근이 용이해지고, 지역 내 소비자간 거래와 이동이 활발해져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활발해지기도 하였다. 나아가 초연결기술을 통해 소비자들끼리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실천 운동을 참여하는 등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개인적 참여가 사회적 참여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지금까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던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촉진되고 확산될 수 있다.
다섯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과 기존 방식의 실천은 서로 보완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소비 실천 전반에 걸쳐 하나의 방식을 선호하여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천 내용에 따라 자신에게 어느 방식이 지속가능소비에 더 도움이 되는지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존의 방식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하였지만,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전환의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측면에서 이전 방식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다른 방식으로는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실천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은 방식이 다를 뿐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기 위함이며, 실천 방식의 변화에는 이전 방식으로의 실천으로 충족되지 못한 실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실천 방식의 변화과정과 변화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지속가능소비 실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지속가능소비 실천 동기를 촉진하고, 실천의 어려움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또한 초연결기술이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이 지속되기 위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기술의 활용 방향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실증하는 정량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탐색된 변수들을 토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for all members of society to live healthy and safe in a clean environment. Consumers' awaren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has been greatly amplified as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has increased and social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treatment of delivery workers. If there is any positive impact from COVID-19, it is an opportunity to accelerate sustainable consumption(Sustainable Consumption Institute, 2020).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must be done in everyday life and implies a long-term change in consumption habits.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nsumption is abstract, it is difficult to judge what actions consumers should take in their daily consumption life. In addition, the fact that individuals must pay time and money for the sake of others and the environment poses a barrier to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nd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practicing.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ustainable consumption can be easily practiced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consumers. Today's ICT is hyper-connected, and today's consumers are connecte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connect the consciousness of practice with the action of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specify the assumptions of the preceding research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i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o understand how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tribute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is study deriv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nnects the major components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study conducted consumer interviews to see what role hyper-connected technology plays i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real consumers' daily lives,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tinuation or cessa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being used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the daily life of consumers. In the housing area, wall pads attached to smart homes, smart grids, smart lighting, and various smart home appliances were mainly used. In transportation, connected cars linked with smartphone applications, shared mobility services, navig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mainly used. In daily consumption, various mobile services including used trading platforms, mobile faxes, mobile banking, mobile payments, and mobile bills were us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was shared among consumers through social network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helpful in promoting consumers' motivation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can efficiently use personal and natur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satisfy their needs for quality of life and safety of themselves and members of society, and possible to share goods and information by connecting more members of socie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helpful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have become aware of their energy consumption and have learned new action to take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ow to manage and use products for a long time. In addition, consumers said that the uncomfortable practice became simple and convenient, and that a new alternative to choose from was provided, which helped to put the practice into 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ractic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experien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who had a low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aid that through remote control, autonomous mode, and shared services, the inconvenience of practice was greatly reduced and new alternatives increased, enabling them to practice difficult actions. Consumers with high level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re said to be able to expand their practic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whil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to continue to practice it because their awaren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Fifth,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can also be a factor that causes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to be stopped. Ease of operation, seamless connection, convenience of operation due to the application, and the expandability of the device made it possible to continue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when consumers experience technological limitations such as changes due to updates, poor access, or do not experience the relative advantages of using technology, it has become a factor that causes them to stop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Six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made subjective and relative judgments about whether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sustainable. Consumers have had their own standards that are important to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based on this, they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use hyper-connected technology. As a criterion that is important to each consumer, what utility is personally gained, whether the same utility can be provided to others, public resources are efficiently distributed to all members of society, and whether the efforts of the whole society were reduc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continued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by relatively comparing the practice of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switching to a method that is judged to be more sustainab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a practical means of promoting consumers' motivation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viding a wa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By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experienced increased frequency of actions that were difficult to practice,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actions, or greatly reinforced their practice consciousness and expanded to practice in other areas. These results imply that encouraging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by utiliz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a consumer-friendly action plan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 while reducing consumer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Second, in order for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be continuously used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must be able to provide clearly differentiated utility to consumers. Consumers thought that there was no need to use hyper-connected technology if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ethod. In addition, consumers judged that it was not sustainable without personal benefits.
Thir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stopped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so it is required to actively grasp and improve it. If unwanted information is provided or if the demands of consumers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such as the size of the letters provided is small, it may cause displeasure of consumers and result in the suspens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There were also opinions from consumers that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ustainability in that it induces resources and purchase costs to produce super-connected devices, and electricity in the process of use. In order for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addition to providing functions related to sustainable consumption,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using technology is required.
Fourth,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enables both personalized and social practice. Consumers prefer to personally use shared means of transportation rather than using public transport for sustainable consumption. It means that there is a demand for consumer personalization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hat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enables personalized practice. Furthermore, personal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as expanded to social participation, such as sharing informa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ith consumers through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participating in action campaigns through social networks. By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that connects people to people in this way,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n the social aspect, which has been limitedly dealt with in the discuss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can be promoted and spread.
Fifth, the practic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the practice of the existing method are used complementarily. Consumers have switched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o the method using hyper-connective technology but have also switched from the method using hyper-connective technology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important point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was what wer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method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whether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in other ways. This means that the change in the way of practice implies consumer demand for practice that has not been met by the previous way of practic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consumer's demand for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by grasping the change process of the consumer's practice method and the reason for the change.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summarizes the content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as concrete contents that consumers ca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and seeks practical solutions to the difficulties and solutions to sustainable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In addition, there i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contextual factors for continuing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we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the use of technology was suggested based on this.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how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have changed by capturing practices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 new phenomenon.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quantitative study to demonstrate. If various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variables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ways to enable consumers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easily and conveniently will be more activ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