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혼자녀와 부모의 동거: 관계 특성과 생활만족도 : Coresidence between Unmarried Children in Established Adulthood and Older Parents in Korea: Associations between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지

Advisor
이재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세대 간 동거비혼 성인자녀세대관계생활만족도확립된 성인기Intergenerational coresidenceunmarried adult children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life satisfactionestablished adulthood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1. 2. 이재림.
Abstract
Although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with unmarried children aged 35 years and older has increased in Korea due to the delayed marriage and no-marriage trends, the literature on coresidence between unmarried children in established adulthood and their parents has been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aspects of coresident relationships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for both the parents and their adult unmarried children. The aspects of coresident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cluded exchange of support, emotions, interference-conflict, and the perceptions of coreside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two groups: (a) 250 never married adults who were 35+ years and lived in Seoul with at least one parent younger than 75 years of age and (b) 250 older adults who were younger than 75 years old and had at least one unmarried child aged 35 years or older in the same household in Seoul. The adult child sample and the parent sample were not from dyads and were analyzed separately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the adult child model, gender, ag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al health were controlled for, and in the parent model, gender, ag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health, and the coresident adult childs gender and age were controlled for.
Using the coresident adult child sample, th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ose who perceived that upstream financial support was greater than downstream financial support, who lived with their parents because they mentally depended on their parents or because their parents mentally depended on the coresident adult child, and who had better quality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coresident adult children tended to report low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if they perceived that they experienced more frequent daily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their parents interfered with their daily lives, and they would need to provide parental caregiving in the future.
An analysis of the sample of coresident parents showed that pare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ife satisfaction if downstream instrumental support were greater than upstream support and if they had better parent-child relationships, experienced that their coresident child interfered in their daily lives, perceived that their living arrangements had more advantages than disadvantages to them, and expected that the coresident child would provide care for them in the future. However, the pare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low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if downstream financial support were greater than upstream support and they experienced more frequent conflicts over daily matters with their coresident adult child and thought that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with an unmarried adult child was natural.
This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coresidence between unmarried adult children in established adulthood and their older parents by focusing on the multiple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including exchange of support, emotions, and interference-conflicts along with perceptions of coresidence.The present study reveals intergenerational interdependence in the context of coresidence and its associ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coresident parents and unmarried adult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동거하는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관계 특성을 알아보고, 세대관계 특성의 어떤 측면이 자녀와 부모의 생활만족도와 연관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평균 초혼 연령이 상승하면서 30대 중반 이후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동거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청년시기를 지난 성인기 자녀와 부모 모두의 관점에서 동거하는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 관계에 초점을 둔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전이기(emerging adulthood)를 지나 확립된 성인기(established adulthood)의 자녀와 부모의 관계를 지원교환, 심리정서, 간섭갈등, 동거인식 측면으로 분류하고, 각 측면과 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비혼 성인자녀 250명과 비혼 성인자녀를 둔 부모 250명이었다. 성인자녀는 만 35세 이상이며, 결혼경험이 없고, 부모가 모두 만 75세 미만이며,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였다. 부모는 만 75세 미만이며, 자녀 중 한 명 이상이 만 35세 이상이면서 결혼경험이 없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녀였다. 분석자료는 2016년 6월에 훈련된 면접원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면으로 수집한 응답이었다. 동거하는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관계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살펴보았으며, 세대관계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인자녀와 부모는 별도로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는 성인자녀 모형에서는 성별, 연령, 주관적 계층, 부모의 건강이었으며, 부모 모형에서는 성별, 연령, 주관적 계층, 본인의 건강, 동거자녀의 성별, 동거자녀의 연령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관점에서 살펴본 세대관계 특성의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했으나 일부 관계 특성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지원교환 측면에서,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경제적 지원교환에서는 자녀가 더 많이 지원한다고 지각한 경우와 부모가 더 많이 지원한다고 지각한 경우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도구적 지원교환은 부모가 자녀에게 더 많이 지원하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심리정서 측면에서,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서로에게 심적으로 의지하는 것이 어느 정도 동거의 이유라고 하였다. 부모자녀관계의 질은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간섭·갈등 측면에서,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자녀의 간섭을 중간 수준으로 지각하였으며, 부모의 간섭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였다. 일상생활 갈등은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가끔 갈등을 겪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동거인식 측면에서,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성인자녀가 결혼을 하지 않았으니 부모와 함께 사는 것이 당연하다고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의 장점 인식은 성인자녀와 부모 모두 동거가 본인에게 장점이 더 많다고 지각하였다. 부모돌봄 전망은 성인자녀는 본인이, 부모는 동거하는 자녀가 돌봄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둘째, 비혼 성인자녀 관점에서 세대관계 특성 중 경제적 지원교환, 자녀의 심적 의지, 부모의 심적 의지, 부모자녀관계의 질, 부모의 간섭, 일상생활 갈등, 부모돌봄 전망이 성인자녀의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혼자녀가 본인의 경제적 지원의 양이 부모의 지원보다 많다고 지각할수록, 본인이 부모에게 심적 의지를 하기 때문에 동거한다고 생각할수록, 부모가 본인에게 심적 의지를 하기 때문에 동거한다고 지각할수록, 부모자녀관계의 질이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부모와 일상생활 갈등을 자주 겪을수록, 부모가 일상생활에 간섭할수록, 본인이 부모돌봄을 할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관점에서는 세대관계 특성 중 경제적 지원교환, 도구적 지원교환, 부모자녀관계의 질, 자녀의 간섭, 일상생활 갈등, 비혼자녀-부모 동거 당연하게 인식, 동거의 장점 인식, 부모돌봄 전망이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 본인의 도구적 지원의 양이 자녀의 도구적 지원보다 많다고 지각할수록, 부모자녀관계의 질이 좋을수록, 자녀가 일상생활에 간섭할수록, 동거가 부모 본인에게 장점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같이 사는 자녀가 미래에 돌봄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부모 본인의 경제적 지원의 양이 자녀의 경제적 지원보다 많다고 지각할수록, 자녀와 일상생활 갈등을 자주 겪을수록, 자녀가 결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이 사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세대 간 동거 규범을 고려하여 확립된 성인기의 비혼 자녀와 부모가 동거하는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동거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둘째, 동거상황에서 나타나는 다차원적 세대관계 특성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확립된 성인기 비혼 자녀와 부모의 세대관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셋째, 동거하는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관계 특성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동거하는 성인자녀와 부모의 관점을 모두 살펴봄으로써 양방향적 세대관계 특성을 탐색하여 비혼 성인자녀와 부모 간의 상호의존성을 밝혀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7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