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디자인 조형적 요소 표절에 대한 인식 : The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Plagiarism Formative Elem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여란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패션디자인모방표절조형적 요소 표절디자인 카피Fashion designimitationplagiarismformative elementcop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1. 2. 하지수.
Abstract
특정인이 창작한 디자인을 다른 사람이 모방하고 표절하는 문제로 인해 패션디자인을 법적으로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패션디자인계에서 모방은 패션 특수성 때문에 발생하는 불가피한 것으로써 긍정적인 행위로 간주 되지만, 표절은 남의 작품 일부를 몰래 따다 쓴다는 점에서 모방과는 차이가 있다. 모방 된 디자인 중 디자인이 너무 유사하여 모방의 정도가 지나치다고 느껴질 때 표절에 대한 논란이 발생한다.
패션디자인에서 모방 디자인은 원 디자인이 나온 같은 시즌에 시장에서 판매되기도 하고, 원 디자인이 출시되기도 전에 생산되기도 한다.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디자인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패션 분야에서 비슷한 스타일이 한 시기에 집중되어 출시되는 것은 필연적이지만 너무 유사한 디자인은 지식재산권 시비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패션디자인이 가진 특수성 때문에 패션디자인 보호는 쉽지 않다. 최근에는 패션디자인 보호의 어려움과 표절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표절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로 인해 패션디자인 모방과 표절의 이해 부족과 패션디자인 조형적 요소 표절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의 모방과 표절을 이해하고 패션디자인 조형적 요소 표절에 대한 소비자와 패션디자이너의 인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디자인의 모방과 표절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한다.
둘째, 소비자가 생각하는 패션디자인 모방과 표절의 조형적 인식을 파악한다.
셋째, 패션디자이너가 생각하는 패션디자인 모방 및 표절과 패션디자인 표절의 조형적 인식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설문조사, 심층면접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의 연구대상자는 총 100명으로 패션디자인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50명과 패션디자인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50명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구글폼을 사용하여 원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 두 개를 보고 설문 대상자가 이것을 표절이라고 생각하는지 표절이 아니라고 생각하는지를 적고, 유사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10점 척도로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그에 대해 간단한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심층 면접 대상은 패션디자인 모방에 대한 사전 지식과 주관적인 견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5년 이상 경력의 패션디자이너 15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을 고찰한 결과 모방기법을 사용한 모방, 트렌드를 따르는 모방 등으로 나타났으며, 패션디자인의 모방은 패션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장의 성장에 기여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고, 패션디자인 표절에 대해서는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근절되어야 하는 행위로 간주하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모방 및 표절 유형과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실무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둘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살펴보면, 과반수가 표절을 선택하고 유사도 평균이 5점 이상인 유형에서는 그래픽(Graphic), 패턴(Pattern), 아트워크(Art Work),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실루엣(Silhouette), 디테일(Detail), 색(Color), 로고(Logo), 스타일링(Styling), 배색(Color Combination), 소재 질감(Texture) 등 11가지 조형적인 요소 중 2가지 이상의 표절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거나, 그래픽이 표절 요소로 꼽힌 사례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 과반수가 표절이 아니다를 선택하고 유사도 평균 점수가 5점 이상인 유형에서는 기존 디자인에서 눈에 띄게 변형이 이루어진 사례, 모방기법이 사용되었다고 느껴지는 사례, 기존 디자인에서 재해석을 한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베이직한 스타일이나 클래식한 디자인 등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패션디자인 5년 이상 경력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결과를 살펴보면, 패션디자이너의 패션디자인 모방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모방은 불가피하며, 오히려 모방은 디자인 민주화를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 모두가 다양한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고 보았다. 반면, 패션디자인의 표절은 모든 참여자가 짝퉁과 같은 표절은 불법이며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지만, 교육적인 의의를 위한 표절은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패션디자인의 모방이 이루어지는 원인으로는 금전적인 이유, 모방을 통한 디자인 발전, 유행에 민감한 패션디자인의 특성, 소비자의 니즈 충족 등을 꼽았다. 반면, 패션디자인 표절의 원인으로는 디자인 경험 부족, 시간 부족, 기업 문화, 교육 부족 등을 꼽았다.
패션디자인의 특수성에 따라 조형적 기준을 분석한 결과 첫째, 베이직한 아이템 및 베이직한 디자인은 모방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둘째, 베이직한 디자인 및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경우를 제외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내포된 디자인의 경우 표절로 보았다. 셋째, 기존에 자주 보이지 않던 독특한 디자인이 유사한 경우는 표절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 디자인이 트렌드가 된 경우는 모방이 불가피하다고 보았다. 넷째, 전통적인 의상, 디자인을 모방한 유형은 모방으로 보았다. 다섯째, 그래픽은 다른 조형적인 요소보다 모방의 범주가 좁게 나타났으며, 다른 조형적 요소보다 법의 적극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디자인을 가르칠 때 다수의 패션디자이너가 교육에 사용되는 모방과 표절을 필요하지만, 이후 패션산업에서 일하는 등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게 되는 때 표절로 보일 수 있는 조형적인 요소는 피해야 한다는 것을 같이 교육할 수 있다.
둘째, 실증적으로 고찰된 패션디자인의 모방과 표절의 기준은 패션디자인 표절을 방지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 허용 가능 범위에서 트렌드를 수용하고 원 디자인을 창의적으로 모방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movement to legally protect fashion design due to the problem of copying and plagiarizing design. Imitation is considered a positive act and inevitable because of its fashion design specificity, but plagiarism is different from imitation in that it secretly uses some of the others' work. Controversy over plagiarism arises when the design of the imitated design is too similar. Imitated fashion designs are sold in the market during the same season when the original design has released, and sometimes they are produced even before the original design is release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fashion design, which is sensitive to trends, it is inevitable that similar styles are concentrated and released at the same time, but too similar designs cause dispute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tect fashion design because of its specificity.
Efforts are being made to recognize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plagiarism in protecting fashion design and to eradicate plagiarism. As a resul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fashion design imitation and plagiarism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fashion design formative elements plagiarism are emerging as important issu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itation and plagiarism of fashion design and to present the perception of plagiarism of fashion design formative elements.
First, clarify the concept of imitation and plagiarism of fashion design.
Second, identify the consumers' formative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imitation and plagiarism.
Third, consider the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imitation and plagiarism and the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formative elements plagiarism.
This study combines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interviews.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100 people; 50 people with experience in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50 people with no experience in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survey used Google Form to see whether the participants thought suggested designs were plagiarism or not, then write a 10-point scale of how similar they felt, and write a brief opinion.
The interview consisted of 15 fashion design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ho are expected to have prior knowledge and subjective views on fashion design imitation and plagia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showed imitation using imitation techniques and following trends, and the imitation of fashion design wa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ashion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market. However, as for fashion design plagiarism, there were negative view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act that hinders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should be eradicated.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imitation and plagiarism types was based on practice.
Second, the type that the majority selected that it's plagiarism and an average of similarity points of 5 or more out of 10 includes the cases that two or more plagiarism elements among the 11 formative elements appeared in a combination, or graphics were cited as plagiarism elements. The type that the majority selected it's not plagiarism and the average of similarity points of 5 or more out of 10, included cases of noticeable variations in existing designs, cases of using imitation techniques, the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designs, and basic styles or classical designs.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fashion designers' perception of imitation of fashion design was mostly positive. In fashion design, imitation is inevitable, and imitation enables design democratization so that all consumers can experience various designs. All participants agreed that plagiarism such as fake is illegal and should not be done, and plagiarism should only be allowed for educational significance.
Among the reasons for the imitation of fashion design were monetary reasons, design development through imitation, the nature of fashion-conscious fashion design, and meeting consumer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asons for plagiarism in fashion design were lack of design experience, lack of time, corporate culture and lack of educat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ormativ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fashion design. First, basic items and basic designs were perceived as it's not plagiarism. Second, except for basic designs and items, the design with brand identity was considered plagiar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taught that they should avoid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an be seen as plagiarism when they take financial benefits such as working in the fashion industry when they use imitation and plagiarism for education.
Second, the perception of imitation and plagiarism of fashion design has studied empirically can be basic data to prevent fashion design plagiarism. Also, it can make designers accommodate trends within an acceptable range and refer creatively when imitating original desig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