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2018년 기대수명 증가 추세 둔화에 대한 사망원인별 분해 분석 : Stagnation of Life Expectancy in Korea in 2018: A Cause-specific Decomposition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재

Advisor
강영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망원인기대수명사망률대한민국Cause of deathlife expectancymortalityRepublic of KoreaSeou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 2. 강영호.
Abstract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2018년 출생아 기대수명(남녀 전체)은 82.7년으로 전년 대비 0.0년 증가에 머물러 1960년 이래 첫 기대수명 정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8년까지 Kannisto-Thatcher method를 이용하여 고령층 사망확률 보정한 뒤 기대수명의 변화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Arriaga decomposition method를 이용하여 사망원인 분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기대수명 변화에 대한 시계열적인 분석 결과 2003년부터 2018년에 이르기까지 기대수명 증가량은 0.0211년씩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 증가에 대해 가장 기여도가 큰 요인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의 기여도는 2003∼2006년 기간 동안 0.506년이었으나, 2015∼2018년 기간 동안 0.218세로 감소하였다.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의 경우 기대수명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기여하고 있었으나 2015∼2018년 기간 동안에는 뚜렷한 기여도를 보여주지 않았다.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015∼2018년 기대수명을 가장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2018년 기대수명이 2017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a) 2018년도 이전부터 기대수명 증가에 대한 뇌혈관질환 사망의 기여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기대수명 감소에 대한 폐렴 사망의 기여도는 지속적으로 커졌으며, (b) 상세불명의 사망과 자살과 같은 사망원인에서 2018년에 갑작스러운 사망률 증가의 효과가 결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annual report released by Korea Statistics, the life expectancy at birth (for both sexes) in 2018 was 82.7 years, an increase of 0.0 years over 2017 recording the first stagnation in life expectancy since 1960. In this study, from 2003 to 2018, the mortality probability of the elderly was corrected using the Kannisto-Thatcher method, a time-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of trends in life expectancy, and causes of death were analyzed using the Arriaga decomposition method. The time trend analysis on yearly life expectancy changes indicated that, in Korea, there has been a tendency of 0.0211 years decrease per calendar year in yearly life expectancy increase between 2003 and 2018. The contribu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life expectancy increase in Korea, has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periods. The contribution by cardiovascular diseases to the life expectancy increase was 0.506 years in 2003∼2006, but decreased to 0.218 years in 2015∼2018. The positive contributions by ill-defined causes and external causes to life expectancy increase detected in previous periods were not evident in 2015∼2018. Diseases of respiratory system made the largest negative contribution both between 2015 and 2018 and between 2017-2018. The life expectancy stagnation in 2018 could be understood as the combined effect of (a) a decreasing momentum in the magnitude of life expectancy increase and (b) a chance event in 2018 in life expectancy chang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6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