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iveness and Participant Characteristics of a Guided Computer-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ed Adolescents : 치료자 지원 컴퓨터 기반 청소년 우울증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참여자 특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도례미

Advisor
신민섭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컴퓨터 기반 치료우울청소년도움추구행동인지행동치료무선할당Computer-assisted therapyDepressionAdolescentHelp-seeking behaviorCognitive behavioral therapy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2021. 2. 신민섭.
Abstract
배경 및 목적
청소년기에 우울은 매우 흔하며 청소년의 삶에 오랫동안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컴퓨터 기반 인지행동치료(Computer-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이하 CCBT)와 같은 근거기반 치료가 있음에도 우울한 많은 청소년들은 심리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많은 CCBT 프로그램이 치료되지 못한 우울증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서구사회에서 개발되었다.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적합한 청소년용 CCBT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CCBT의 치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CCBT 보급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한 청소년들을 위한 CCBT 효과성을 검증하고 CCBT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치료집단 내에서 치료 전후로 과제 순응도가 높은 청소년이 과제순응도가 낮은 청소년에 비해 우울감이 더욱 저하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시내에서 총 376명의 일반 청소년(평균연령 15.71세, 53.7% 여자청소년)이 우울, 도움추구 태도 및 의도로 이루어진 선별검사에 참여하였다. 우울 수준은 우울증 평가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와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로 평가하였다. 도움추구태도는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 ATSPPH)로 측정하였고,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는 상담추구 의도 척도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 ISCI)를 번역하고 한국 청소년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PHQ-9와 CES-D, 두 척도 모두에서 경도 이상 수준의 우울 증상을 보고한 청소년은 139명이었다. 대상자들에게 청소년 개인 핸드폰으로 개별적으로 연락을 취하여 CCBT 프로그램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경도이상 우울 증상을 보고한 139명 청소년 중에서 87명이 프로그램 참여 동의하지 않고 참여하지 않았다. 50명은 프로그램에 참여동의하고 프로그램 완수하였고 25명은 치료집단에, 25명은 무처치 대기통제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두 집단 모두 5주 간격으로 사전, 사후로 우울, 삶의 질, 자존감, 주의력, 기억력을 일대일로 평가하였다.

치료집단은 치료자 지원이 수반된 CCBT에 10회기 참여하였다. 치료집단은 5주간 주2회씩, 한번에 30분 내외로 행복누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치료자 지원은 한 회기 당 10분 내외로 청소년들 프로그램 참여를 돕고 과제수행을 촉진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료집단을 대상으로 매 회기 과제 수행의 질에 따라서 과제 순응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우울한 청소년 중에서 프로그램 참여 동의 집단(n=50)은 참여 비동의 집단(n=87)에 비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중에서 필요성 인식은 유의미하게 더욱 높았으며, 관계개방성은 낮았다(t = -2.93, p < .01; t = 3.50, p < .001). 또한 참여 동의집단은 참여 비동의집단에 비해 도움추구의도가 유의미하게 더욱 높았다(t = -2.27, p < .05).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해봤을 때 치료집단은 대기집단에 비해서 우울감, 자존감, 주의력, 삶의 질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다만 치료집단에 경도이상 우울이 배정되었고 대기집단에 중등도 이상 우울이 편중되게 배정된 면이 있었다. 치료집단 내에서는 과제순응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사후검사에서 우울감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울한 청소년, 특히 대인관계 개방성이 낮은 우울한 청소년에게 CCBT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치료집단에 경도 우울이 편중되게 배정된 점으로 인해 본 연구결과에서는 경도 수준 우울 집단에 CCBT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좀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우울 수준을 고려하여 무선 할당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CCBT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치료자 지원이 함께 제공될 필요가 있겠다. 세션 완수나 과제순응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CCBT 프로그램에서 치료자 지원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또한 우울한 청소년들이 치료를 받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료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높여야 하겠다. 그리고 청소년의 치료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선별검사를 활용하여 우울한 청소년들을 찾아내고 치료 프로그램 참여를 개별적으로 권유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특히 대인관계 개방성이 낮아서 치료에서 소외되기 쉬운 우울한 남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CCBT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Depression in adolescence is common, and has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lives over time. However, many depressed adolescents do not receive any treatments despite there being evidence-based treatments for depression, such as computer-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CBT). Many CCBT programs were developed in Western societies as a promising solution for untreated depression. The effectiveness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CCBT is necessary. Moreover, few studies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reatment outcomes and CCBT disse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ed adolesc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CCBT program. It was hypothesiz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homework compliance would experience a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ith low homework compliance.

Methods: A total of 376 students (mean age 15.71 years, 53.7% female) in South Korea completed screening tests for depression, help-seeking attitudes, and intentions.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Help-seeking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 (ATSPPH). Professional help-seeking intentions were translated and culturally attuned based on the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 (ISCI). The number of adolescents that scored above mild depression (PHQ-9, CES-D) was 139. Each adolescent was contacted by their mobile phone to investigate their participation in the CCBT program. Of those, 82 adolescents disagreed to participate in the CCBT program. Fifty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CCBT program with pre- and post-tests, as treatment (n=25) and waitlist control group (n=25). Two groups were randomly divided. Both groups of adolescents were individually assessed for depression, quality of life, self-esteem, attention, and memory at 5-week intervals.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10 sessions of the guided CCBT, which included therapist support. Adolescents i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Haengbok-Nuri program, a CCBT program twice a week for 5 weeks, for about 30 minutes per session. Therapist support was provided to help them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about 10 minutes each session and to promote the performance of the homework.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reatment outcomes, their homework compliance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homework performance in each session.

Results: Adolescents (n=50)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CCBT program exhibited different help-seeking attitudes - greate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help and lower interpersonal openness - compared with those (n=87) who disagreed to participate (t = -2.93, p < .01; t = 3.50, p < .001). Adolesc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CCBT program showed higher help-seeking intentions than those who disagreed to participate (t = -2.27, p < .05).

The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ion, self-esteem, atten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e waitlist group. However, the CCBT group mainly comprised of adolescents with mild depression, and the waiting group comprised of those with moderate depression. Adolescents with high homework complianc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ith low homework compliance at the post period.

Conclusion: CCBT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adolescents with depression, especially those tending to have low interpersonal openness. Because the CCBT group consisted mostly of adolescents with mild depression, the effect of CCBT was verified mainly in mild depression. In future studies with larger samples, it is necessary to generate randomized allocation sequencing considering the level of depression. To improve the effects of CCBT, therapeutic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increase participant engagement, including completing sessions and homework compliance.

For resolving untreated depression in adolescents, universal interventions improving recognition of the need of help are needed. Moreover, direct and continuous efforts to find and ask participation to depressed adolescents, including screening process are important. Finally,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and spread the CCBT program to depressed adolescents, especially male adolescents, who tend to be alienated from treatment due to their low interpersonal opennes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0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0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