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완서 작가 연구 : A Study of Park Wansuh - The Speaking Position of the 'Housewife' in Popular, Minjung, and Women's Literary Spheres -
대중·민중·여성문학장에서 주부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경희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중 민중 여성 주부 매체 위치 중산층Popular CulturePopular LiteratureMinjungPeople’s LiteratureWomenWomen’s LiteratureHousewifeMediaPositionMiddle Clas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 2. 손유경.
Abstract
This thesis maintains a critical distance from research which finds the basis of explanation and value judgements of women writers literary work in their resistance to (patriarchical) authority, and instead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women writers by the literary field and the interactions with the literary field which produce their texts, through a study of the work of Park Wansuh. With the premise that an author can be described as a literary subjectivity constructed between various and competing literary discourses, I seek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Park Wansuh was interpellated as an author by the popular literature, minjung (peoples) literature, and womens literature spheres and granted discursive authority within them to produce corresponding literary texts, while also illuminating points at which Park exercised active agency in constructing her speaking position amidst these contending literary spheres.
In Chapter 2 I find that Park was able to enter into the social role of the author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sphere that accompanied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In the late 1960s, popular media opened a discursive field focused on middle class women in large cities whose quality of life had improved as a direct benefit of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with this foundation urban middle-class women began to engage in literary activity. In Section 1, I describe the emergence of housewife author Park Wansuh by reconstructing the context in which Park, who had spent the past twenty years as the full-time homemaker of her middle class family, unexpectedly dove into fiction writing and debuted in the new womens magazine Yeoseong Donga (Womens Dong-A). In Section 2 I analyze Namok (Bare Tree) [Yeoseong Donga, Nov. 1970] and Hanbalgi (Season of Thirst) [Yeoseong Donga, Nov. 1970 - Feb. 1973] to examine the political conditions that made possible the emergence of urban middle class women like Park as a new subject of literature. In Namok and Hanbalgi acceptance of the modern gender role of housewife appears as a precondition for the literary activity of urban middle class women. Here I focus on the ways in which acceptance of the role of housewife is narrativized as a process of becoming a citizen through tacit or active acquiescence to the unjust domination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 Section 3, I examine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at Park underwent to enter into existing literary institutions as a woman writer. Because a housewife was a woman on the path to the middle class, having only recently escaped poverty, her speaking position was distinct from the bourgeois women writers referred to as yeoryu (lady) writers. Park failed to advance into the yeoryu medium Hyeondae Munhak (Modern Literature), and organized the Yeoseong Donga literary circle with fellow authors who shared the habitus of housewife, publishing the mook Yeosong Munhak (Womens Literature. I view this as a strategic process to increase her agency as a woman writer within the literary establishment.
In Chapter 3, I examine the points of agency Park utilized in constructing a speaking position in the sphere of minjung literature. As the dominant literary sphere of the 1970s and 80s, the discursive field of minjung literature assigned the author the moral authority of an intellectual who leads the people, exercising the greatest influence in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 power to speak within the literary field. In Section 1, I focus on Parks relationship with Changjakgwa Bipyeong (Creation and Criticism) in order to examine what strategies she used to secure discursive power. Park was able to enter the minjung literature sphere by actively acknowledging the legitimacy of minjung literature through confession of the sin and shame that, as part of the middle class, she could never be a sufficient peoples intellectual. Here Park makes an internal critique of the way in which middle class intellectuals, who were the concrete agents of the minjung literature discourse, used the ideology of minjung as symbolic capital to secure discursive power. In Section 2, I explore the literary activity Park undertook from her position as author within the establishment literary sphere of the 1980s. Under the media suppression of the 1980s, minjung literature was published in isolated and unofficial media channels such as mooks or coterie magazines, and the establishment literary sphere took on a character relatively more compliant to the regime. Interpellated by this literary establishment, Park wrote the serialized novels Omangwa Mongsang (Arrogance and Daydream) [Hankuk Munhak (Korean Literature), Dec. 1979 - Mar. 1982], Geu Hae Gyeouleun Ddaddeuthaenne(It Was Warm That Summer) [Hankuk Ilbo(Hankook Ilbo), Jan. 5, 1982 – Jan. 15, 1973], and Mimang (Delusion) [Munhak Sasang (Literary Thought), Mar. 1985 - May 1990], and tried, from within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class that had internalized the patriarchy and the developmentalism of the dictatorship, to escape the concepts of minjung, state, and nation that formed the basis of minjung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Section 3, I shed light on Parks literary activity in the newly constructed literary sphere of the transitional period following the 1987 June Democracy Struggle and the collapse of existing Socialism around 1990 through analysis of her 1993 short stories Titaimui Monyeo (Mother and Daughter at Teatime)[Changjakgwa Bipyeong, Sum. 1993] Naui Gajang Najongjiniin Geot (The Last Thing I Have.[Sangsang (Imagination), Fall 1993] In these stories, Park employs the postmodern critiques of identitys suppression of difference and universalitys suppression of individuality in order to challenge minjung literatures dominant position, participating in the contemporary pursuit of a post-ideological literary sphere.
In Chapter 4, I examine the role Park played in the sphere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70s and 80s. The womens literature sphere at this time was characterized by a counter-discourse which pointed out the contradictions arising in the construction of housewife as a mode of subjectivity, but argued not for outright revolution, but for the economic rights of women to be equal to those granted to men under capitalist society, thus avoiding friction with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 section 1, I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Park entered the position of womens issues author which was constructed amidst the formation of the womens literary sphere as a counter-discursive field. When the womens literary sphere coalesced sometime around International Womens Year in 1975, Park reacted only with doubt and cyn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womens resistance to the patriarchy, but when the skeleton of a counter-discursive field began to form around the womens literary sphe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female university student readership around 1980, Park actively identified herself as a womens issues author. Park produced many texts for a new readership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member of the previous generation of women who had already accepted housewife as a mode of subjectivity, and texts like Ajik Kkeunnaji Aneun Eummo (Still Unfinished Conspiracy) [Ellegangseu (Elegance), Oct. 1979] and Tteodoneun Gyeolhon (Wandering Marriage) [Jubu Saenghwal (Housewife Life), Apr. 1982 - Nov. 1983] illustrate this. In section 2, I consider the reasons that Parks womens issues novels were able to secure popularity. Because of the patriarchical nature of establishment and minjung literature at the time, 1970s and 80s womens literature was forced to accept popular journals like womens magazines and daily newspapers as its primary medium. But these media conditions are the reason that Park was more able to exercise active agency within the 1970s and 80s womens literary sphere than other women writers. Deploying the characteristic pragmatism of a popular author, Park secured popularity by depicting the tension in the situation of women between the benefits that could be gained by going along with patriarchy and the damage that could result from resisting it. On this point, Ianalyze Sara Inneun Narui Sijak (The First Day of Life)[Donga Ilbo (Dong-a Ilbo), Oct. 2, 1979 – May 31, 1973], Keu Kaeurui Saheul Dongan (For Three Days that Autumn),[Hankuk Munhak, Jun. 1980] and Keudae Ajikdo Kkum Kkugo Inneunga (Are You Still Dreaming) [Yeoseong Sinmun (The Womens News), Feb. 17, 1989 – Jul. 28, 1989]. In section 3, I examine what role Park undertook in the formation of woman as a counter subjectivity, amidst the difficulties that development of a middle class womens liberation discourse encountered from the 1970s and 80s minjung liberation discourse. Because the womens movement which developed after 1975 was a social movement excluded from the minjung discourse, it was derided as an interest group movement and consistently hindered in this way. In spite of this the womens literary sphere continued to depict middle class womens sisterhood with working class women. But even this project was restricted after 1984, when the minjung movements class perspective was strengthened and the womens movement could not achieve recognition unless it put forward only the foundational class of minjung women. As a result womens literature was converted into an anti-discourse to the minjung discourse. Decisive change to this dynamic structure came only after 1987, when the dominant position of minjung discourse weakened. Womens literature utilized postmodernisms analysis of binaries―like politics/daily life, public/private, group/individual, ideology/desire, man/woman―and its assertion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first to the second term in each is one of oppression, to portray minjung literature as an oppressor, thereby establishing a position within the counter-discursive field. However, this process also resulted in a construction of women as disempowered victims deprived of autonomy by men, isol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and excluded from the game of power. As a result, it became difficult to depict as women the experience of women in the foundational minjung class, who labored in the realm of production. Here I analyze Keu Namjane Jib (His House) [2005] to show Park offering her own position to provide a voice for working class women, who from the 1990s could no longer tell their own story.
본고는 그간 (가부장적) 권력에 대한 저항을 여성 작가의 문학 행위를 설명하고 가치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삼았던 연구들과 비판적 거리를 두고, 여성 작가가 문학장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 및 여성 작가의 문학 텍스트가 문학장과 상호작용하며 생산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박완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작가란 경쟁하는 여러 문학 담론들 사이에서 구성되는 문학적 주체성이라는 전제 하에, 박완서가 1970-80년대 대중문학장·민중문학장·여성문학장에서 작가로 호명되어 담론 권력을 부여받고 그에 상응하는 문학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을, 서로 경합하는 문학장들 사이에서 자신의 발화 위치를 구축하기 위해 발휘했던 능동적인 행위성을 조명하는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본고는 2장에서 박완서가 1960년대 자본주의적 산업화와 함께 대중문학장이 형성됨에 따라 작가라는 사회적 역할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음을 구명했다. 1960년대 중후반은 근대화와 경제개발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아 생활수준의 향상을 이루었던 대도시 중산층 여성들을 대상으로 대중매체가 담론장을 개방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도시 중산층 여성들이 문학 행위를 시작했던 시기였다. 2장 1절에서 본고는 서울 중산층 가정의 20년차 전업주부 박완서가 1970년에 느닷없이 소설 쓰기에 뛰어들어 신생 여성지인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했던 맥락을 재구성함으로써, 박완서라는 주부 작가의 출현을 설명했다. 2장 2절에서는 『나목』(『여성동아』, 1970.11)과 「한발기」(『여성동아』, 1971.7-1973.2) 분석을 통해 박완서를 비롯한 대도시 중산층 여성들이 문학 행위의 새로운 주체로 부상할 수 있었던 정치적 조건을 살펴보았다. 『나목』과 「한발기」에는 대도시 중산층 여성들의 문학 행위가 주부라는 자본주의 산업사회의 여성 구성원으로서의 종속적 지위 수용을 전제로 한 것임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본고는 박완서가 주부라는 성역할의 수용을 개발독재정권의 부당한 지배에 암묵적이든 적극적이든 동의하는 국민 되기의 과정으로 서사화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2장 3절에서는 박완서가 기존 문학 제도에 여성 작가로서 편입하기 위해 거쳤던 인정투쟁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부는 이제 막 빈곤에서 벗어나 중산층으로 옮겨가는 도상에 있는 여성이라는 점에서, 여류라고 하는 부르주아적 여성 작가의 발화 위치와 구별되는 것이었다. 본고는 박완서가 『현대문학』이라는 여류 매체 진입에 실패하고, 자신과 같은 주부의 아비투스를 공유하는 작가들과 여성동아 문우회를 조직하여 무크지 『여성문학』을 발간하는 과정을, 여성 작가로서 문단 내 행위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2장 4절에서는 박완서의 1970년대 대중문학장 활동을 구체적으로 탐색해보았다. 박완서는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에 편입되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감과 편입되지 않고자 하는 저항감을 재현하는 20-30대 남성 대중문학가들과 달리,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의 명령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이 체제 내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자리를 잡으려는 도시 서민들의 억척스러운 생활 의지를 재현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를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일시한 결과 발생하는 허위의식이라기보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데 있어서 보다 유용한 것을 택하려는 실용주의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서 묘사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주제의 차이가 장르의 차이로도 이어져, 20-30대 남성 대중문학가들이 소설의 영화화에 주력했다면, 박완서는 소설의 TV드라마화에 주력했음을 보였다.
본고는 3장에서 박완서가 민중문학장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발화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발휘했던 행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1970-80년대의 지배적 문학장인 민중문학장은 작가에게 민중들을 선도하는 지식인으로서의 도덕적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문학장에서 말할 수 있는 권력 위치를 조정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본고는 3장 1절에서 민중문학장으로부터 박완서가 담론 권력을 부여받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펼쳤는지 『창작과 비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박완서는 자신이 민중적 지식인에 미흡한 중산층이라는 수치심의 고백을 통해 민중문학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민중문학장에 속할 수 있었다. 여기서 박완서는 민중문학 담론의 구체적 수행자인 중산층 지식인들이 민중주의를 자신의 담론 권력 확보를 위한 상징자본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내부 비판 수행을 자신의 역할로 삼았다. 3장 2절에서는 박완서가 1980년대 제도권 문학장에서 마련한 작가의 자리에서 수행했던 문학 행위를 살펴보았다. 언론탄압에 의해 1980년대 민중문학장이 단발적이고 비공식적인 동인지 혹은 무크지를 매체 기반으로 삼으면서, 제도권 문학장은 상대적으로 체제순응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제도권 문학장의 호명을 받아 박완서는 「오만과 몽상」(『한국문학』, 1979.12-1982.3),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한국일보』, 1982.1.5.-1983.1.15.), 「미망」(『문학사상』, 1985.3-1990.5)이라는 장편연재소설 작업을 했으며, 개발독재정권의 발전주의와 가부장제를 내면화한 중산층의 입장에서 민족문학 및 민중문학의 근간 개념인 민중, 국가, 민족의 사회변혁성을 탈각하고자 했다. 3장 3절에서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출판 자유화 조치가 취해지고 1990년을 전후하여 현실 사회주의가 붕괴하면서 구성된 전환기 문학장에서 박완서가 수행했던 문학 행위를 1993년에 발표한 「티타임의 모녀」(『창작과 비평』, 1993.여름),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상상』, 1993.가을)을 통해 조명해보았다. 이 소설들에서 박완서는 차이를 억압하는 동일성, 개별성을 억압하는 보편성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을 전유함으로써 민중문학장의 지배적 위상에 도전하고 문학장의 탈이념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흐름에 동참했다.
4장에서는 박완서가 1970-80년대 여성문학장에서 수행했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1970-80년대 여성문학장은 주부라고 하는 주체성 양식 구성 과정에서 비롯된 모순을 지적하면서 대항 담론장으로서의 성격을 띠게 되었으나, 자본주의 체제 질서를 인정한 바탕 위에 자본주의가 남성에게 부여했던 경제적 권리를 여성에게도 동등하게 부여할 것을 주장했기에, 개발독재정권과 마찰하지 않았다. 본고는 4장 1절에서 대항 담론장으로서 여성문학장의 형성과 함께 구성된 여성문제소설가의 자리에, 주부라고 하는 주체성 양식을 이미 받아들인 앞 선 세대 여성으로서 박완서가 들어가고 있음을, 「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엘레강스』, 1979.10)와 「떠도는 결혼」(『주부생활』, 1982.4-1983.11)을 통해 설명해보았다. 4장 2절에서는 박완서의 여성문제소설이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1970-80년대 여성문학장은 제도권 문학장 및 민중문학장의 가부장성으로 인해 일간지 및 여성지와 같은 대중저널을 그 매체 기반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매체 조건은 다른 여성 문인보다도 박완서가 1970-80년대 여성문학장의 능동적 행위자가 될 수 있었던 조건으로 작용했다. 박완서는 대중문학가로서의 특유의 실용주의를 발휘하여, 가부장제에 편승하는 데 따른 이익과 가부장제에 저항하는 데 따르는 손해 사이에서 갈등하는 여성의 상황을 재현하는 것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했다. 본고는 이를 「살아있는 날의 시작」(『동아일보』, 1979.10.2.-1980.5.31.), 「그 가을의 사흘 동안」(『한국문학』, 1980.6),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여성신문』, 1989.2.17.-1989.7.28.)를 통해 설명해보았다. 4장 3절에서는 중산층 여성들의 여성해방 담론이 1970-80년대 민중해방 담론에 의해 전개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박완서가 여성이라는 대항 주체성을 형성해나가는 데 있어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지 살펴보았다. 1975년 이후 성장한 중산층 여성운동은 민중 담론에 포섭되지 않는 사회운동이라는 이유로 이익집단운동으로 폄하되면서 줄곧 저지당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완서를 비롯한 중산층 여성 문인들은 중산층 여성의 노동계급 여성에 대한 자매애를 재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마저도 1984년 이후 민중운동의 계급적 관점이 강화되면서 제한되었다. 이에 박완서를 비롯한 중산층 여성들의 여성문학은 민중 담론의 반(反)담론으로 전환되어갔을 뿐이었다. 그러나 1987년 이후 민중 담론의 지배적 위상이 약화되면서 여성문학은 정치/일상, 공/사, 집단/개인, 이념/욕망, 남성/여성이라는 일련의 이분법을 기반으로 대항 담론장 내에서의 입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본고는 박완서가 빈곤, 독재, 남성으로부터 해방된 1990년대를 자신과 같이 누릴 수 없는 지난 시대의 노동계급 여성들을 자매로 회고하면서, 그녀들을 자신의 소설 속으로 불러 긴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음을 『그 남자네 집』(현대문학, 2004)을 통해 분석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