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春香敍事의 轉變 硏究 : A Study on the Changes and their Meanings in the Narrative of Chunhya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희병-
dc.contributor.author김지윤-
dc.date.accessioned2021-11-30T04:32:27Z-
dc.date.available2021-11-30T04:32:27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586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578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6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 2. 박희병.-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studies 62 versions of the narrative of Chunhyang,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e premodern 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premodern narrative of non-kisaeng Chunhyang, 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and contemporary narrative of Chunhyang. And it tries a diachronic study on the changes and their meanings in 62 versions of the narrative of Chunhyang.
In the premodern 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Chunhyang is regarded as a kisaeng. But she denies her social status as a kisaeng and tries to redetermine herself as a woman from the noble class. She stands against the customary world, so her characteristics of a problematic individual comes to be prominent. She is willing to bear any hardship for her love and fidelity with her own free will, so her conduct has a symbolic meaning of resistance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ruling power of injustice. In some works belonged to the 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her characteristics of a problematic individual comes to be declined, she regards herself as a normative woman to deny her social status as a kisaeng, so she is not serious conflict with the customary world.
In the premodern narrative of non-kisaeng Chunhyang, Chunhyang is not regarded as a kisaeng on the grounds that her father is an aristocrat. Her mother Wolmae(月梅) takes the initiative in making her into a noblewoman, so Chunhyangs role comes to be reduced. And the element of predetermined destiny makes Chunhyang into a woman of conformity, she just learns social norms of the customary world passively and behaves like a chaste woman. So, she comes to be a morally complete woman.
In the 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the status problem comes to be just a background of work and Chunhyangs resistance is described as a personal conduct with no social meaning. She loses her characteristics of a problematic individual and comes to be a otherized woman who is obedient to Wolmae and Yidoryeng(李道令).
In the contemporary narrative of Chunhyang, the basic setting in the narrative of Chunhyang is disassembled. Talseonchunhyangjeon(탈선춘향전) created by Yi, Joohong in 1951 and Chunhyandeon(춘향뎐) created by Choi, In-hoon in 1967 inherit Chunhyangs characteristics of a problematic individual creatively, however the other works portray Chunhyang as a subordinate figure.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dissertation identifies the five main factors – the meaning of love, womans independence, critical mind of social status, resistance to injustice, and reflection of contemporariness – and explains the change and its meaning of the five main factors.
The pre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extends the meaning of her love into the social issue but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reduces it into the personal issue.
Chunhyang in the premodern 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is a problematic individual who denies her social status as a kisaeng and stands against the customary world for her love and fidelity, whereas Chunhyang in the premodern narrative of non-kisaeng Chunhyang is a virtuous woman who practices Confucian norms and comes to be a general wo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ubversiveness of Chunhyang that Chunhyang from the ruled class fights against unjust power is expressed most clearly in the premodern 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and then it comes to be weakened. However the contemporariness reflected in the narrative of Chunhyang have been expanded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change.
-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근대이행기에서 현대에 걸쳐 형성된 春香敍事 62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텍스트를 近代移行期 妓生系 春香敍事‧近代移行期 非妓生系 春香敍事‧近代 春香敍事‧現代 春香敍事로 범주화하고, 춘향서사의 각 범주에 나타난 춘향 형상의 특징과 춘향 형상에 내재된 의미를 살펴 춘향서사의 轉變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근대이행기 기생계 춘향서사는 주변인물이 춘향의 신분을 기생으로 규정하나, 춘향이 자신의 신분을 부정하고 脫妓生化를 주도하는 춘향서사이다. 기생계 춘향서사는 관습적 세계의 질서와 적대하는 춘향의 問題的 個人으로서의 성격을 전면화한다. 춘향은 독자적으로 자신의 신분을 부정하고 사랑을 이루며 관습적 세계에 대해 이질성을 보인다. 춘향은 사랑과 신의를 지키겠다는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烈관념을 형성한다. 이에 춘향의 열행은 인간의 권리를 실현하는 일로서, 신분제 사회의 차등적 질서 및 불의한 지배권력에 대한 저항이라는 상징성을 갖게 된다. 일부 기생계 춘향서사에서는 춘향의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성격이 축소된다. 춘향은 규범적 여성에 동화되는 방법을 통해 기생이라는 신분을 부정하고, 관습적 세계의 인물들과 갈등을 완화한다.
근대이행기 비기생계 춘향서사는 춘향의 신분이 부계 중심으로 규정되어 기생 아닌 것으로 인식되고, 월매가 춘향의 탈기생화를 주도하는 춘향서사이다. 춘향은 월매에 대해 수동적인 인물이 되어 독자성을 축소한다. 또한 서사에 천상계가 개입되어 춘향은 예정된 운명에 순응하는 인물로 변모한다. 춘향은 관습적 세계의 규범을 학습하여 유교적 여성 규범으로서의 열관념을 형성하고 열행을 실천하여, 도덕적으로 절대적인 여성이 된다. 비기생계 춘향서사의 춘향은 관습적 세계와의 이질성 및 적대감을 축소하며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성격을 약화한다.
근대 춘향서사는 신분제를 後景化하고 춘향의 저항을 애정 성취를 위한 사적인 일로 형상화한다. 이에 근대 춘향서사에서는 근대이행기 춘향서사가 지니고 있던 현실에 대한 저항성이 탈각된다. 춘향은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성격을 상실하고 이도령 및 월매에 순종하는 타자화된 여성이 된다.
현대 춘향서사는 춘향서사의 기본 구도를 해체한다. 󰡔탈선춘향전󰡕과 「춘향뎐」은 춘향의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성격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나, 이외의 텍스트는 춘향을 종속적인 인물로 형상화한다. 현대 춘향서사에서는 이도령이 춘향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월매의 속물성이 고착화되는 전변이 발생한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춘향서사의 전변을 야기한 핵심 因素를 사랑의 의미, 여성의 주체성, 신분에 대한 문제의식, 불의에 대한 저항, 당대성의 문제로 도출하고, 핵심 인소의 전변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근대이행기 춘향서사에서는 춘향 사랑의 의미가 사회적 문제로 확장되었으나, 근대 춘향서사에서는 춘향 개인의 문제로 왜소화된다. 근대이행기 기생계 춘향서사의 춘향은 신분을 부정하고 탈기생화를 추구하는 특수하고 문제적인 피지배층 주체였으나, 근대이행기 비기생계 춘향서사의 춘향은 유교적 여성 규범을 실천하는 주체가 되어 조선후기 사회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여성 주체로 확장된다. 피지배층 춘향이 불의한 지배권력에 전면적으로 저항한다는 춘향서사의 전복적 성격은 근대이행기 기생계 춘향서사에 뚜렷이 나타나며 이후의 춘향서사에서는 약화된다. 춘향서사에 반영된 당대성은 전변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확장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序論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1) 연구 대상 8
2) 연구 방법 24

II. 近代移行期 妓生系 春香敍事의 확립과 변모 29
1. 初期 春香敍事의 면모 - 晩華本 「春香歌」를 중심으로 29
1) 적극적 결연 30
2) 烈女不更二夫의 실행 33
2. 問題的 個人의 서사 36
1) 身分의 否定 37
2) 사랑의 獨自性 43
3) 慣習的 世界와의 갈등 51
4) 烈行을 통한 지배권력에의 저항 62
3. 近代移行期 妓生系 春香敍事의 변모 71
1) 규범적 여성에의 同化 71
2) 계층 안에서의 갈등 완화 85
3) 신분에 대한 부정의 축소 93

III. 近代移行期 非妓生系 春香敍事의 출현과 그 특징 101
1. 受動性의 증대 107
1) 여성 규범의 학습과 행동의 규율 107
2) 월매의 주도와 춘향 독자성의 축소 118
2. 脫現實的 서사의 添入 128
1) 謫降 모티프의 援用 131
2) 운명의 예정과 수난으로서의 저항 140
3) 天上界 열녀의 춘향 同一視 147
3. 烈의 이념적 절대화 155
1) 여성 규범으로서의 烈 155
2) 烈行의 도덕적 우위 161
3) 춘향 지지 계층의 확대 168

IV. 近代 春香敍事의 脫歷史化 177
1. 애정중심서사로의 변모 177
1) 신분제의 後景化 177
2) 사랑과 저항의 私事化 188
2. 順從하는 여성 춘향 198
1) 결말의 改變과 춘향의 소외 198
2) 춘향의 他者化 201
3) 월매에 의한 춘향의 手段化 212

V. 現代 春香敍事의 解體와 재구성 218
1. 문제적 개인의 지속과 소거 219
1) 문제적 개인의 지속-독자성으로의 집중 219
2) 문제적 개인의 소거-문제성의 상실과 춘향의 종속 229
2. 주변인물 역할의 변모와 춘향의 대응 240
1) 이도령의 格下와 해결자 역할의 소거 240
2) 월매의 俗物性 고착화 250

VI. 春香敍事 轉變에 대한 평가 257
1. 사랑의 의미와 여성의 主體性 257
2. 身分 문제와 不義에 대한 저항 265
3. 當代性의 확장 273

VII. 結論 281

참고문헌 288
Abstract 298
-
dc.format.extentiv, 30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춘향-
dc.subject春香敍事-
dc.subject춘향서사의 轉變-
dc.subject기생계 춘향서사-
dc.subject비기생계 춘향서사-
dc.subject근대 춘향서사-
dc.subject현대 춘향서사-
dc.subject문제적 개인-
dc.subject身分-
dc.subject脫妓生化-
dc.subject當代性-
dc.subjectChunhyang-
dc.subjectnarrative of Chunhyang-
dc.subjectvariation in the narrative of Chunhyang-
dc.subjectnarrative of kisaeng Chunhyang-
dc.subjectnarrative of non-kisaeng Chunhyang-
dc.subjectpre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dc.subjectmodern narrative of Chunhyang-
dc.subjectcontemporary narrative of Chunhyang-
dc.subjectproblematic individual-
dc.subjectsocial status-
dc.subjectdenial of social status as a kisaeng-
dc.subjectcontemporariness-
dc.subject.ddc810-
dc.title春香敍事의 轉變 硏究-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nges and their Meanings in the Narrative of Chunhya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yoo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1-02-
dc.contributor.major국문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586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586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