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모음-자음 연쇄에서의 F2 전이 연구 : A Study on F2 Transition in Korean Vowel-Consonant Sequen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진호

Advisor
김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2 포먼트(F2)포먼트 전이전이 시작 시점전이 폭조음 위치로커스 주파수second formant(F2)formant transitionstart point of transitionwidth of transitionplace of articulationlocus frequenc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 2. 김현.
Abstract
모음의 포먼트 구조는 모음 고유의 안정 구간과 인접음으로의 전이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자음으로의 전이 구간은 자음을 조음하기 위한 성도 내 발음 기관의 움직임이 음향적으로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자음의 조음 위치 및 발성 유형, 음절 유형에 따라 어떠한 F2 전이 양상을 보이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산출 실험을 주요한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전이 양상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고자 전이 폭과 전이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삼았고, 이를 수치화한 뒤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발성 유형에 따른 전이 양상을 비교하여, 경음에 선행하는 모음의 F2 전이가 평음에 비해 이른 시점에서 시작되어 작은 폭의 하강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경음의 후두 긴잔성으로 인하여 선행 모음의 길이가 짧아져 조음체의 움직임이 평음에 비해 이른 시점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구강 내 접촉 면적이 넓은 경음의 경우, 조음점이 이동하여 이것이 음향적으로 반영되어 전이 폭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폐음절과 개음절은 전이 폭 또는 전이 시작 시점에서 차이를 보임을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밝혀내었다.
동일 전이 방향을 보이는 모음-자음 연쇄에서의 전이 양상을 비교하여, 전이 폭과 전이 시작 시점 혹은 두 기준 모두에서 차이를 보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들에서 밝힌 자음 고유의 로커스 주파수의 존재를 재확인하였다. 더불어 전이 시작 시점 또한 후행하는 자음의 조음 위치를 알 수 있는 음향적인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모음-자음-자음-모음 연쇄에서 후행 자음의 종류에 따라 선행 모음의 F2 전이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동일 자음 연쇄와 그렇지 않은 연쇄는 전반적으로 전이 양상에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고, 후행 자음의 종류에 따라 선행 자음으로의 전이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 자음을 발음하기 위한 조음체의 움직임이 후행 자음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르고, 이것이 음향적으로 선행 모음의 F2 전이 양상에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The formant structure of a vowel is divided into the stability section unique to the vowel and the transition section to adjacent sounds. The transition section to consonants can be said to be an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movement of the sound organs for pronounce adjacent consonants.
This paper developed the discussion focusing on what second formant(F2) transitions appea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s, phonation types, and syllable types and structures. To this end, production experiments are adopted as a major method. In order to closely observe the transition aspect, the width of the transition and the start point of the transition were the reference points. After the formant measurement, I digitize it and then use statistical techniques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y comparing the transition aspect according to the type of phonation, I confirmed that the F2 transition of the vowel preceding tense consonants starts earlier than lax consonants and shows a small width of descent.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was interpreted that the length of the leading vowel was shortened due to the laryngeal tensity of the tense consonants, and that the movement of the articulators began earlier than the lax consona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ense consonants with a large contact area in the oral cavity, it was found that the point of articulation of consonants was shifted and reflected acoustically, showing a difference in the transition width. I also use statistical techniques to reveal that open and closed syllables differ in transition width or at the start point of transition.
I compared the transition aspects in vowel-consonant sequences showing the same transition direction, revealing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ition width and the transition start point or both criteria. This reaffirms the existence of consonant-specific locus frequencie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I find that the start point of transition can also be an acoustic cue to adjacent consonants the place of articulation.
I investigated whether the F2 transition aspect of the preceding vowel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ollowing consonant in the vowel-consonant-vowel-consonant sequences. It find that the same consonant sequences and the other consonant sequence showed a difference in the transition pattern overall, and that the transition to the preceding consonant c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ollowing consonant. This is interpret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movement of the articulators to pronounce the preceding consonant is affected by the type of following consonant, which is acoustically reflected in the F2 transition of the preceding vowe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