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자음 말음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rphophonological Change of Consonant-ending Stems in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영

Advisor
정승철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음어간방언 분화방언 접촉방언 분포consonantstemdialectal divergencedialect contactdialectal distribu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 2. 정승철.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자음 말음 어간의 형태음운론적 교체 양상에 대한 방언 분포를 기술하고, 그 방언 분포가 형성된 과정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자음 말음 어간의 통시적인 변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방언 내적인 변화와 방언 접촉에 의한 변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음 말음 어간의 교체 양상과 방언 분포는 각 어간말 자음의 음운론적 성격에 따라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조사된 자료인 《韓國方言資料集》(1987-1995, 韓國精神文化硏究院)의 자료 및 북한 방언에 대한 연구 논저들을 바탕으로 공시적인 방언 분포를 살펴보았다. 필요한 경우 2000년대 이후에 조사된 자료인 《지역어 조사 보고서》(2005-2013, 국립국어원) 및 《지역어 보완 조사》(2017-2019, 국립국어원)와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자음 말음 어간의 방언 내적인 변화는 그 변화 요인에 따라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평준화, 혼효, 감염, 재분석 등을 다루었다. 그 결과 체언의 경우 서부방언을 중심으로 단독형 중심으로의 유추적 평준화가 주로 일어났으며, 동부방언을 중심으로 어간의 재분석이 활발히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용언의 경우 체언보다는 지역적 성격이 뚜렷하지 않지만, 맵->매웁-과 같은 유추적 평준화에 의한 기저형의 변화가 서부방언을 중심으로 일어났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ㅎ 또는 ㆆ 말음 어간으로의 재분석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방언 접촉에 의한 변화로는 존재하던 방언형이 사라지는 변화(방언형의 소멸)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언형이 형성되는 변화(새 방언형의 형성)라는 두 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방언형의 소멸에는 방언 균일화와 단순화가 포함되며, 새 방언형의 형성이란 중간 방언의 형성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과도 교정에 의한 방언형의 형성과 지리적인 인접에 의한 어간의 재분석이 포함된다. 방언 균일화의 예로는 체언 ㄴ, ㅇ 말음 어간의 비모음화 및 용언 어간말 유음 탈락을 포함하여 그 외 자취를 감춘 방언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한편 본고에서의 단순화는 형태음운론적 변화의 관점에서 평준화라 정의하였으므로, 체언 어간말 ㅌ>ㅊ 변화 및 용언 ㄼ 말음 어간의 형성 과정이 그 예가 되었다.
중간 방언은 과도 교정 또는 지리적인 인접에 의한 어간의 재분석으로 정의하였다. 과도 교정의 예로는 부럽-의 방언형인 붋-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지리적인 인접에 의한 어간의 재분석으로는 긋-, 빻-, 끌-, 뚫-의 방언형들을 다루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consonant-ending stems in Korean dialects. Based on the description, it also explains the intra-dialectal changes and dialect contact of consonant-ending stems.
The main data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韓國方言資料集》(Korean Dialect Archives, 1987-1995) and the representative researches of North dialects. This study also uses the data of 《지역어 조사 보고서(A Report on the Dialect Vocabulary of Korean)》(2005-2013) and 《지역어 보완 조사(A Report on the Supplementation Survey of Korean Dialects》(2017-2019) for comparing with the main data.
As I mentioned above, this study covers with the intra-dialectal changes and dialect contact of consonant-ending stems. First of all, the factors of the intra-dialectal changes are leveling, blending, contamination and reanalysis. In the case of nouns, there is an analogical leveling in the West dialect and the reanalysis in the East dial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edicates, there is an analogical leveling such as 맵->매웁-(spicy) in the West dialect and the reanalysis of ㅎ(h)-ending stems is mainly occured in the whole country.
Secondly, the aspects of dialect contact are dialect leveling, simplifcation and interdialect. This study introduces that the nasalization of the nouns and the elimination of ㄹ(l) in the predicates as the examples of dialect leveling. Also, the examples of simplification are the change of ㅌ(t)>ㅊ(ch) in nouns and ㄼ(lb) ending stems in predicates. Interdialectal forms are developed by the reanalysis of stems; not only the formation of 붋-(pulb-) as hypercorrection, but the dialectal forms of 긋-(keus-), 빻-(ppah-), 끌-(kkeul-), 뚫-(ttulh-) are also discussed as examples of interdialect in this researc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0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