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eatro de la frontera: la representación de los marginados, en cinco obras de Víctor Hugo Rascón Banda : 국경의 연극: 빅토르 우고 라스콘 반다의 다섯 작품 속 사회적 약자의 재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혜림

Advisor
María Claudia Macías Rodríguez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eatro mexicanomarginacióntestimonioteatro documentoética y estéticarepresentación y política멕시코 연극사회적 소외증언다큐멘터리 연극윤리와 미학재현과 정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2021. 2. María Claudia Macías Rodríguez.
Abstract
El presente estudio examina la representación de los marginados en el teatro de la frontera, concretamente, en cinco obras de Víctor Hugo Rascón Banda: Los ilegales (1979), Contrabando (1991), Homicidio calificado (1994), La mujer que cayó del cielo (1999) y Sazón de mujer (2003). A lo largo de la tesis, se afirma que el teatro de Rascón Banda revela las diversas facetas de la marginación experimentada por ciertos grupos de la frontera y que sus estrategias teatrales permiten representar la crisis de manera ética y política.
Los ilegales, obra debutante del dramaturgo, escenifica la trayectoria de los migrantes indocumentados por medio de la historia de tres parejas mexicanas en la frontera norte y, luego, en los Estados Unidos. En Contrabando, tres mujeres de un pueblo chihuahuense cuentan a un escritor sobre la muerte o desaparición de su familia por su relación con el narcotráfico. Homicidio calificado recrea un juicio acerca de un caso real del asesinato de un niño mexico-americano por un policía estadounidense. La mujer que cayó del cielo también se basa en el hecho histórico de una mujer indígena del norte de México que termina recluida en un hospital psiquiátrico de Kansas por doce años. Sazón de mujer representa tres monólogos de mujeres, una menonita, una guerrillera y la mujer de un narcotraficante, en una demostración gastronómica donde cuentan sus vidas.
La frontera norte de México adquirió mayor importancia a lo largo del siglo pasado, no solo en términos de sus relaciones sociopolíticas sino hasta en las artes, el teatro inclusive. Una de las figuras más notables de la dramaturgia de la frontera es Víctor Hugo Rascón Banda, abogado oriundo de Chihuahua y autor de más de cincuenta obras escénicas. Su teatro tiene como eje central cuatro temas, los cuales se trabajan en nuestro corpus de estudio: los migrantes indocumentados, el narcotráfico, los indígenas y los guerrilleros. Como miembro de la Nueva Dramaturgia Mexicana, Rascón Banda denuncia la injusticia a través de las historias ocultas de su actualidad, en especial, de la zona fronteriza entre la región serrana de Chihuahua y los estados sureños de los Estados Unidos.
Las cinco obras comprenden la perspectiva crítica de Rascón Banda sobre la sociedad fronteriza. El análisis se basa en los textos dramáticos que reflejan las condiciones de vida y el entorno social de los grupos en peligro. Las causas de los fenómenos marginadores son la crisis económica, la hegemonía discriminatoria y los fallos del sistema institucional. La miseria es una constante en los protagonistas de Los ilegales, Contrabando y Sazón de mujer, que, con fin de escapar de pobreza, deciden emigrar sin documentación a los Estados Unidos, dejar que su familia se convierta en narcotraficante y arriesgar su vida para mantenerse. La discriminación se vuelve fundamental en Homicidio calificado y en La mujer que cayó del cielo. Dos obras que escenifican hechos reales ponen de manifiesto la hegemonía racial, lingüística y cultural de los estadounidenses. El sistema institucional se pone en tela de juicio en las obras; en particular, por la corrupción, la incoherencia legal y la consecuente falta de protección del Estado para sus ciudadanos.
Las consecuencias de la marginación se pueden resumir en tres fenómenos: vulnerabilidad al trato deshumanizado, pérdida de las relaciones sociales y el trauma. Los personajes dramáticos de Rascón Banda caben en el estatus de la nuda vida, de Giorgio Agamben, expuestos a la violencia sin protección civil ni religiosa, cuando se les criminaliza o se les estigmatiza por sus rasgos raciales, culturales y lingüísticos. Se encuentran en peligro no solo físicamente sino también en términos de relación social, por la desintegración de la familia y las muertes injustas de sus seres queridos. Las pérdidas conducen al trauma que se evidencia por la caracterización de los protagonistas. Las cicatrices que deja la marginación en la vida de los personajes rasconbandianos no se resuelven dentro de la obra, así como los conflictos y las aflicciones no acaban en la realidad. Tratar los conflictos de dicha realidad en el teatro tiende a provocar problemas éticos y políticos. Las obras de Rascón Banda interpretan la marginación mediante ciertos subgéneros que permiten una puesta en escena que reivindica a los sujetos tematizados y facilita una reflexión del público sobre la crisis de su actualidad.
Contrabando y Sazón de mujer son dos obras donde los eventos trágicos no se representan directamente ante los espectadores, sino que los personajes los cuentan de manera retrospectiva, lo que equivale al género del testimonio. Mientras que la visualización de la violencia puede fomentar el voyerismo del público y reducir a los representados a objetos de mirada, el testimonio centra la atención en el actor que habla, otorgándole la autoridad como testigo y productor de su propio discurso. Los personajes femeninos en las dos obras se hallan excluidos en más de una forma en la sociedad fronteriza pero, en el escenario teatral, sus parlamentos adquieren el valor de la microhistoria y de la verdad alternativa a la versión oficial.
Los rasgos teatrales agregan al testimonio una sensación de comunicación inmediata y real entre los actores y los espectadores. El cuerpo de los actores constituye una presencia más real de los marginados que deriva en la apreciación de su dignidad humana. La complexión y actuación física se convierten en el lenguaje corporal que establece una dimensión informativa y afectiva más allá de las palabras. Otras características, como la escenografía y la presencia de los espectadores, permiten que las historias privadas de los personajes salgan del silencio y del olvido para escucharse en público.
Víctor Hugo Rascón Banda afirmaba que su meta artística era ofrecer un motivo de cambio para los espectadores, la cual coincide con el teatro documento, subgénero que emplea materiales históricos para indagar en una crisis social. Los ilegales y Homicidio calificado son obras que yuxtaponen lo documental con lo ficticio. El uso de cada elemento hace efectiva la denuncia con impactos de tipo intelectual y afectivo.
En Los ilegales, Rascón Banda proporciona documentos periodísticos y académicos que explicitan el problema de la migración a los Estados Unidos, a través del personaje del Informante. Las citas de los medios en contra del gobierno demuestran la desconfianza del dramaturgo frente a los discursos oficiales, a la vez que introducen el efecto del distanciamiento crítico. Por otro lado, las escenas violentas y las canciones originales facilitan el vínculo emocional del público con los personajes.
Homicidio calificado utiliza lo documental y la ficción de modo inverso. Los monólogos inventados por el autor sirven para examinar el modo operativo del racismo en nivel del subconsciente. La fotografía real del niño asesinado se proyecta sobre todo el espacio teatral y los cuerpos de los espectadores, con el fin de que se identifiquen con la víctima. Mediante la combinación de dispositivos de características diferentes, las obras de Rascón Banda producen una sensación de autenticidad política que lleva al público a reflexionar sobre la marginación padecida por ciertos sectores sociales de la frontera.
La denuncia del teatro de Víctor Hugo Rascón Banda permanece más vigente que nunca, ya que la situación en la frontera norte de México solo se ha agravado desde hace treinta años, cuando se estrenó la primera obra, Los ilegales. Sus obras representan el valor del teatro como una vía alternativa de conocimiento y la posibilidad de una representación ética y política que rescata la historia de los marginados del olvido y del silencio.
이 논문은 국경의 연극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의 재현을 검토하기 위하여 빅토르 우고 라스콘 반다의 희곡 『불법자들 Los ilegales』(1979), 『밀수 Contrabando』(1991), 『1급 살인 Homicidio calificado』(1994),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 La mujer que cayó del cielo』(1999), 『여자의 계절 Sazón de mujer』(2003), 총 다섯 편의 작품을 연구한다. 라스콘 반다의 연극은 멕시코와 미국 국경 지대에 사는 사회적 약자들이 경험하는 소외의 여러 형태를 드러내고 연극적 전략을 통해 이러한 위기에 대한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재현을 가능하게 함을 논문을 통해 밝힌다.
『불법자들』은 라스콘 반다의 데뷔작으로, 세 쌍의 멕시코 남녀가 멕시코 국경과 미국에서 겪는 이야기를 통해 미등록 이민자의 여정을 연극으로 보여준다. 『밀수』는 멕시코 북부 치와와 주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마약 산업에 연루되어 죽거나 실종된 가족들 회상하는 세 명의 여성이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1급 살인』은 미국 텍사스 주에서 백인 경찰이 열두 살의 멕시코계 소년을 살해한 실제 사건과 재판을 재구성한다.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 역시 실화에 바탕을 둔 작품으로, 멕시코 원주민 여성이 미국 캔자스 주의 정신병원에 십이 년간 갇혀있었던 사건을 보여준다. 『여자의 계절』은 각각 메노나이트, 게릴라 병사, 마약 밀수꾼의 아내인 세 명의 여성 인물이 축제의 시연회에서 요리를 선보이며 자신의 인생을 독백으로 들려주는 작품이다.
멕시코의 북쪽 국경은 20세기를 지나며 사회정치적으로 중요해졌을 뿐만 아니라 연극을 비롯한 예술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국경의 연극에 있어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 중 한 명인 빅토르 우고 라스콘 반다는 치와와 주 출생의 변호사이자 50여 편의 연극을 창작한 극작가이다. 위의 다섯 작품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의 연극 세계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축으로 삼는데, 바로 미등록 이주민과 마약 산업, 원주민, 게릴라 군이다. 멕시코 누에바 드라마투르히아(Nueva Dramaturgia Mexicana; 멕시코 신(新) 연극 세대)의 일원으로서 라스콘 반다는 그가 속한 시대의 숨겨진 이야기들을 통해 불의를 고발하며, 특히 치와와의 산지부터 그 맞은편에 위치한 미국의 남부 주에 걸친 국경 지대의 사회 문제를 연극으로 재현한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다섯 편의 작품은 국경 사회에 대한 라스콘 반다의 비판적 시각을 아우른다. 이 작품들은 위기 상황의 집단들이 처한 사회적 환경과 생활 조건을 반영한다. 작품 분석은 희곡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작품들이 지적하는 사회적 소외를 야기하는 원인은 경제적 위기와 차별적 헤게모니, 제도의 구조적 결함이다. 가난은 『불법자들』, 『밀수』, 『여자의 계절』의 주인공들이 지속적으로 마주하는 삶의 조건이다. 이들은 가난에서 탈출하기 위해 미국으로의 미등록 이주를 결심하거나 가족이 마약 조직에 들어가는 것을 방관하고, 생존을 위해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을 감수한다. 차별은 『1급 살인』과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두 작품 모두 실제 사건들의 각색을 통해 미국의 인종적, 언어적, 문화적 헤게모니를 표면화한다. 또한, 작품들은 제도적 구조에 문제를 제기하며, 특히 부정부패와 법의 모순, 그로 인해 국민을 보호하지 않는 국가의 실태를 비판한다.
사회적 소외의 결과는 세 가지 현상, 즉, 약자에 대한 비인간화, 사회적 관계의 상실, 그리고 트라우마로 요약된다. 라스콘 반다의 인물들은 범법자가 되거나 인종, 문화, 언어적 차별로 인해 사회에서 낙인이 찍힌다. 조르조 아감벤의 개념에 따르면, 그들은 법적 보호 및 종교적 보호에서 배제되어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범주에 속한다. 그들을 위협하는 것은 물리적 폭력을 넘어 가족의 해체와 가까운 이들의 억울한 죽음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위기이다. 관계의 상실은 트라우마로 이어져, 그 증상은 인물들의 특징으로 재현된다. 라스콘 반다의 인물들에게 남겨진 사회적 약자로서의 상처들이 작품 안에서 해결되지 않는 것은 갈등과 고난이 여전히 지속되는 국경의 현실을 반영한다.
이러한 현실의 갈등들을 연극에서 다루는 것은 윤리적, 정치적 문제를 낳곤 한다. 라스콘 반다의 작품들은 국경 사회의 소외라는 문제를 증언과 다큐멘터리 연극이라는 하위 장르로 재현하여, 사회적 약자라는 주체의 존엄을 되찾고 관객으로 하여금 본인이 살아가는 현실의 위기를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밀수』와 『여자의 계절』은 비극적인 사건들을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인물들이 사건을 회상하며 이야기를 들려주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증언 장르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폭력의 시각적 재현은 관객의 관음증을 부추겨 사회적 약자를 시선의 대상으로 전락시킬 윤리적 위험을 내포한다. 이와 달리, 증언은 말하는 사람, 즉 배우에게 시선을 집중시켜 그에게 증인이자 독립된 담론의 생산자로서의 권위를 부여한다. 두 작품 속 여성 인물들은 국경 사회에서 여러 방면으로 배제 당하지만, 연극 무대에서는 이들의 발화에 미시사이자 공식 역사에 대한 대안적 진실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더 나아가, 증언에 연극적 특성들이 더해지면 배우와 관객 사이에 직접적이고 실재와 같은 소통의 감각이 생산된다. 배우의 몸은 인물에게 현존성을 부여하여 사회적 약자인 인물의 인간적 존엄성에 대한 이해와 인정을 낳는다. 또한, 배우의 외형과 연기는 신체 언어가 되어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차원의 정보와 정서를 전달한다. 이외에도 무대 연출과 관객의 존재는 주인공들의 사적인 이야기가 침묵과 망각에서 벗어나 공적 맥락에서 공유되도록 돕는다.
빅토르 우고 라스콘 반다는 자신의 예술적 목표를 관객에게 변화의 계기를 주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사회적 위기를 탐구하기 위해 실제 자료들을 연극에서 사용하는 장르인 다큐멘터리 연극의 목표와 일치한다. 『불법자들』와 『1급 살인』은 다큐멘터리적 요소와 허구적 요소를 병치하여, 관객에게 지적인 영향과 정서적인 충격을 주는 효과적인 고발을 가능하게 한다.
『불법자들』에서 작가는 정보원이라는 인물을 통해 미국으로의 이민 문제를 폭로하는 신문 기사와 학술 자료를 제시한다. 그가 인용하는 매체는 반정부적인 성향을 지니는데, 이것은 공식 담론에 대한 작가의 불신을 보여준다. 이때 다큐멘터리적 요소는 비판적 거리 두기의 효과를 낳는다. 한편 폭력적인 장면들과 작가가 창작한 노래들은 관객이 인물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을 돕는다.
『1급 살인』은 이와는 반대된 방식으로 실제 자료와 허구를 사용한다. 라스콘 반다가 창작한 독백은 인종 차별주의가 무의식의 차원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 쓰인다. 동시에, 피해자와의 동일시를 위하여 죽은 소년의 실제 사진이 극장 전체와 관객의 몸에 투사된다. 이렇듯 라스콘 반다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성질의 장치들을 조합하여 정치적 진정성을 느끼게 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국경 지대의 여러 집단들이 겪는 사회적 소외의 문제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빅토르 우고 라스콘 반다의 연극의 고발은 어느 때보다도 유효하다. 멕시코와 미국 국경의 상황은 작가의 첫 작품인 『불법자들』이 초연을 올린 1970 년대 이래로 계속 악화되고 있다. 우리는 라스콘 반다의 작품들을 통해 앎의 대안적 통로이자 사회적 약자의 이야기를 망각과 침묵에서 건져내는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재현의 가능성을 가진 연극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Language
Span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