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증거 선별 절차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Digital Evidence Screening Procedure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이병영
- Issue Date
- 2021-0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디지털증거,선별,공정거래위원회,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디지털증거 선별,증거조사,포괄조사,참여권 ; Digital evidence ; screening ; Fair Trade Commission ; digital evidence capacity ; digital evidence screening ; evidence investigation ; comprehensive investigation ; right to participate
- Description
-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수리정보과학과, 2021. 2. 이병영.
- Abstract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igital devices have become an important tool in modern civilization. All data and information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digital devices, and added value is created through storage and analysis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duced in the cyber world is exploding beyond imagination as it has recently enter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information age.
The changes are affecting the methods of investigations by law-regulated bodies such as the prosecution, police,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for the Fair Trade Commission, which investigates unfair trade practices by companies, so-called collusion, the change is more acute. All information produced by a company is digitalized electronic information, and existing document documents and work logs have long disappeared. Thus, the Fair Trade Commission's investigation has changed to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digital information. However, the investigation into digital information still has the potential to have side effects that could expose the business secrets of the entity, personal privacy, etc., depending on the method, size, and procedure. In order to minimize such side effects and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investigate digital information,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responding organically by strengthening specialized organizations composed of experts.
Digital evidence can be understood to be valuable evidence among digital information. Screening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described above, among cycles from collecting to disposing of digital evidence. In addition, given the increasing trend in the amount and scope of data surveyed, there is a concern that comprehensive collection is likely to involve side effects, although the need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is greater than for selective collection.
This study began with the Fair Trade Commission's consideration of how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conducted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o check whether there were any violations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the keyword analysis methods used mainly in the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during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process and the need for measures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evidence and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companie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digital evidence according to the relevance of the case.
Based on these limitations and needs, the Fair Trade Commission plans to improve its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nd screening procedures.
First, we proposed a remote screening framework to expand the right of the subjects to participate.
Second, the measure was proposed to grant access to information that could harm the legal interests of the employees of the investee and its employees through comprehensive collection.
Third, phased screening of digital evidence was proposed.
This paper means that by redefining the procedures of collection and screening steps during the process of processing digital evidence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us proposing measures to guarantee the right of participation of the subjects, the Fair Trade Commission can strengthen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management of evidence data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opportunity for the suspec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evidence data is expanded.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현대 문명에서 디기털기기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모든 자료와 정보는 디지털기기에 의해 생산, 유통되고, 디지털정보의 저장, 분석을 통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정보화시대를 거쳐 최근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돌입하면서 사이버 세계에서 생산되는 정보의 양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정위, 검찰, 경찰 및 국세청 등 법률에서 규제하는 행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를 밝혀야하는 기관의 조사 방법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기업을 대상으로 불공정거래행위, 부당한 공동행위 등을 조사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더욱 급격하게 체감할 수 밖에 없다. 기업에서 생산되는 모든 정보는 디지털화된 전자정보이고, 기존의 서류문서나 업무일지 등은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 위주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는 그 방법과 규모, 절차 등에 따라서 기업의 영업기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이 노출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정보에 대한 조사 역량을 강화화기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조직을 강화하는 등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디지털증거는 디지털정보 중 증거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증거를 수집부터 폐기까지의 사이클 중에서 위에서 기술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하는 과정이 디지털증거의 선별절차이다. 또한 조사 대상 자료의 양과 범위가 늘어나는 추세를 볼 때 선별수집보다 포괄수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포괄수집의 경우 부작용을 수반할 가능성이 커지는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소관 법령에 위반한 행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정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포괄수집이 적절하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연구결과 포괄수집 과정에서 대면 선별 절차의 한계점과 피조사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사건과 무관한 기업의 영업비밀이나 피조사인의 소속 임직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자료에 대한 처리 방안을 강화할 필요성, 포괄수집에 의해 확보한 디지털정보들 중에서 사건관련성이 있는 디지털증거만을 수집하기 위한 선별 시 주요 증거들이 사장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 필요성 및 문제점을 기초로 공정거래위원회의 디지털증거 수집 및 선별 절차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원격 선별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피조사인의 참여권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둘째, 포괄수집으로 인해 피조사인과 피조사인의 소속 임직원들의 법익을 해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제한권한을 피조사인에게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셋째, 디지털증거의 단계적 선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디지털증거를 처리하는 과정 중 수집 및 선별 단계의절차를 재정립하고, 그에 따라 피조사인의 참여권 보장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 과정에서 증거자료 관리의 내실을 강화할 수 있고, 피조사인은 증거자료 처리 과정의 참여 기회가 확대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