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 - OECD 37개국을 중심으로 -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 Focusing on 37 OECD Countries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태훈

Advisor
이효원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증거압수․수색OECD사법경찰검사판사영장주의영장신청권Digital EvidenceSearch and SeizureJudicial PoliceProsecutorsJudgesWarrantsAuthority to Apply for Warrant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수리정보과학과, 2021. 2. 이효원.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xclusionary Rule in 2007, the legality of the collection of physical evidence as well as statement evidence, especially the legality in compulsory collection such as search and seizure, came to have a decisive importance. Moreover, among the physical evidence, digital evidence has been crucial to conviction in many cases. Thus, defendants prosecuted in criminal cases have raised various objections to the legality of the evidence against them in order to exclude the evidence, and accordingly, the Exclusionary Rule has been applied mainly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and, violation of warrant requirement has frequently been a issue. In Korea, in the case of coercive investigations such as search and seizure of physical evidence, including digital evidence, the prosecutor's exclusive authority to apply for warrant is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12, Paragraph 3, etc. of the Constitution, but, even the evidence collected by warrants has been often inadmissible due to violations of procedures. Meanwhile, revised laws such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which are related to the so-called 'adjustment of investigative power', are expected to take effect on January, 2021, and the role of the judicial police in investigation is expected to expand significantly. Furthermore, recently, the police are demanding the independent authority to apply for an warrant.
In this situation, I studied whether warrant requirement is fully applied not only to arrest and detention but also to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physical evidence including digital evidence as in Korea, and in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material evidence, how the roles of judicial police, prosecutors, and judges are distributed in 37 OECD countries, so-called 'advanced country clubs', and whether there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distribution of roles between these 3 agenc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different from general physical evidence, such as invisibility and massiveness, etc,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pecial treatment of digital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us, I studied whether there are special rules regarding the collection or handling of digital evidence that do not exist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37 OECD member countries, 7 Common Law Jurisdic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strictly apply the preliminary control of the court in compulsory investigations such as search and seizure to secure physical evidence, including digital evidence. However,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prosecutor is not recognized in these countries. In addition, in these countries, the prosecutor's authority to supervise judicial police in the investigation is not recognized, so the police directly request a warrant for search and seizure to the court. On the other hand, among the 37 OECD member countries, in 30 Civil Law Jurisdictions such as Germany, roles are divided in a wide variety of types between judicial police, prosecutors, and judges in coercive investigations, such as search and seizure for securing physical evidence, including digital evidence. While there are countries in which only investigative judges exercise the authority for search and seizure (3 countries including Belgium, etc.), in some Civil Law Jurisdictions, search and seizure are carried out even by orders of prosecutors without court intervention (5 countries including Italy, etc.), and in some Civil Law Jurisdictions, even judicial police are able to conduct their own search and seizure without the control of a court or prosecutor (2 countries including Sweden, etc.). However, in the vast majority of Civil Law Jurisdictions, the prosecutor makes a request and the judge issues a decision or warrant on the seizure or search. (17 countries including Austria, etc.). In other words, it is the most common form to be under dual control of the prosecutor and the court in order for the judicial police to search and seize digital evidence. Since the prosecutor has the authority to supervise the judicial police in the investigation, this is a natural result of the prosecutor's control of the judicial police and its involvement in the process of search and seizure.
As such, it is true that the court's control is contracted in some Civil Law Jurisdictions, but when looking at all of the 37 OECD member countries, in 30 countries (approximately 81%) except for 7 countries including Italy, etc, physical evidence is searched or seized by a judge's warrant or order of a judge. Thus,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at the preliminary control of the court is recognized for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many countries have detailed and various regulations regarding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etc. Although it is a controversial topic recently, there are some countries with regulations that mandate that a certain person provide an investigator with a cryptographic key and password to access the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he manages. There may be an opinion that it is more appropriate in the rapidly changing IT era to stipulate only the essential parts regarding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o have the rest regulated by court precedents as in Korea. However, because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naturally infringes on fundamental rights, I think a detailed codifi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predictability of the people.
As described above, whether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role of judicial police, prosecutors, or judges in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or a discussion on the reform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n the compulsory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we should bear in mind that, in the legal system of 37 OECD countries. there are many different models that we must pay attention to in the discussion. And since every kind of legal system in 37 OECD countries has a own reason and purpose for creating it, I think we must refer to the reason and purpose in order to reduce trial and error. I hope that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 of 37 OECD countries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legislative discussion of Korea on the above topic.
2007년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전면적인 도입에 따라 진술 증거뿐만 아니라 물적 증거 수집의 적법성, 특히 압수·수색 등 강제적 수집에 있어서의 적법성 여부가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더욱이 물적 증거 중 디지털 증거는 유죄입증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피고인들은 자신들에게 불리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하기 위하여 그 증거수집의 적법성에 다양한 이의를 제기해 왔고, 그에 따라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주로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관련하여 적용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영장주의 위반이 자주 문제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헌법 제12조 제3항 등에 따라 디지털 증거를 포함하여 물적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있어서는 검사의 전속적 영장신청권이 인정되는데, 검사가 청구하여 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영장에 의해 수집한 증거조차도 절차 위반 등을 이유로 증거능력이 부정되는 경우도 많다. 한편, 이른바 수사권 조정 관련 법률인 형사소송법, 검찰청법 등 개정 법률이 2021. 1. 시행될 예정인바, 수사에 있어 사법경찰의 대폭적인 역할 확대가 예상되고, 더 나아가 최근 경찰에서는 독자적 영장신청권 부여까지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위 선진국 클럽이라고 할 수 있는 OECD 37개국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체포·구속뿐만 아니라 디지털 증거를 포함하여 물적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있어서도 영장주의가 전면적으로 적용되는지 여부, 물적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있어 사법경찰, 검사, 판사의 역할이 어떻게 분배되어 있는지, 각 기관간 역할 분담에 있어 국제적 표준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디지털 증거는 비가시성, 대량성 등 일반 물적 증거와는 다른 다양한 특질을 갖고 있는바, 그에 비추어 형사소송법 등에 디지털 증거에 대한 특별한 취급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는 디지털 증거의 수집이나 취급에 관한 특칙이 존재하는지에 관하여 연구해 보았다.
연구 결과, OECD 37개 회원국 중, 미국 등 7개 영미법계 국가에서는 디지털 증거를 포함하여 물적 증거 확보를 위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있어 법원의 사전 통제가 엄격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들 나라에서는 검사의 통제는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나라는 검사의 사법경찰에 대한 수사지휘 권한이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경찰이 직접 법원에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한다. 반면에 OECD 37개 회원국 중, 독일 등 30개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디지털 증거를 포함하여 물적 증거 확보를 위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있어 사법경찰, 검사, 판사 사이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수사판사만 압수·수색에 관한 권한을 행사하는 국가가 있는 반면에(벨기에 등 3개국), 일부 대륙법계 국가의 경우 법원의 개입 없이 검사의 명령만으로 압수·수색이 실시되는 경우도 있으며(이탈리아 등 5개국), 심지어 사법경찰이 법원이나 검사의 통제 없이 독자적으로 압수·수색을 실시할 수 있는 나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스웨덴 등 2개국) 그러나 대부분의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검사가 청구하여 판사가 압수·수색에 관한 결정 또는 영장을 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오스트리아 등 17개국). 즉, 사법경찰이 디지털 증거를 압수·수색하기 위해서는 검사와 법원의 이중 통제를 받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것이다. 이는, 이들 나라에서는 검사가 사법경찰을 지휘할 권한이 있으므로 압수·수색에 있어서도 검사가 사법경찰을 통제하고 그 과정에 개입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일부 대륙법계 국가에서 법원의 통제가 수축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나, 37개의 OECD 회원국 전체를 볼 때, 이탈리아 등 7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30개 국가(약 81%)에서는 판사의 영장 또는 판사의 명령에 의해 물적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에 있어서도 법원의 사전 통제를 인정하는 것이 국제적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국가에서 형사소송법 등에 디지털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관하여 다양하고도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이기는 하나, 일정한 자에게 그가 관리하고 있는 전자정보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암호키, 패스워드 등을 수사관에게 제공하도록 명령하는 규정을 둔 나라도 꽤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디지털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관한 핵심적인 부분만 형사소송법에 규정하고 나머지는 법원의 판례에 의하도록 하는 것이 급변하는 IT 시대에 더 적절하다는 견해도 있을 수 있으나 디지털 증거에 관한 압수·수색은 그 성질상 당연히 기본권의 침해를 수반하는 것이므로 국민의 예측가능성 등의 측면에서는 상세한 성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위와 같이, 디지털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있어서의 사법경찰, 검사, 판사의 역할과 관련된 논의이든, 디지털 증거의 강제적 수집에 관한 형사소송법 정비에 관한 논의이든 불문하고, OECD 37개국의 법제에는 그 논의에 있어 우리가 반드시 주목해야 할 다양한 모델이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OECD 37개국 중 어떤 나라의 법률제도이든 그것을 만든 이유와 목적이 있으므로 우리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참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기 주제에 관한 우리나라의 입법논의에 OECD 37개국 법제에 대한 분석이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6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