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아스포라의 제스처: 이창래가 고백하는 모국 역사의 재현불가능성 : Diasporic Gesture: Chang-rae Lee's Impossible Representation of the Motherla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효림

Advisor
김정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창래아시아계 미국인 작가디아스포라역사 다시쓰기『제스처 라이프』Chang-rae LeeAsian American writerdiasporarewriting historyA Gesture Lif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21. 2. 김정하.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Chang-rae Lee defines himself as a diaspora writer in A Gesture Life through Franklin Hatas repeated failure in relationships. Hata intends to form familial connections with his foster-child Sunny and Korean comfort woman Kkuteah, but his decent, modest gesture life causes collapsing dissolution of the family. Studies on A Gesture Life have read that the protagonists superficial personal life and his final departure imply the unassimilability of Asian American immigrants. However, this thesis argues that Hatas failed gestures refer to the authors own diasporic gesture. With Hata coming almost home, Lee locates himself somewhere between Korea and America, always approaching his motherland but never assuring certain arrival. As a diaspora writer set free from the burden of representation, Lee humbly and gladly admits his incapacity and ineligibility for faithfully rewriting the traumatic modern Korean history. While the writer is preoccupied with his own failure and freedom, A Gesture Life testifies to an empty space referring to the lost, genuine motherland: Kkuteah. Lees renunciation, however, amounts to his writerly gesture which opens up the possibility to investigate the sociopolitical realm of Korean comfort women issues.
The first chapter explores how Hata attempts and fails to form his identity based on his home and family. A Gesture Life depicts an unstable Asian American immigrant identity that always revolves around family matters. Hatas complicated family history is riddled with his aspiration to involve the two female characters, Sunny and Kkuteah, as his family members. Sunny, a Korean War orphan and Hatas foster daughter, is an ironic figure who plays a crucial role in Hatas successful assimilation into Bedley Run and at the same time consistently destabilizes his polite and normative life. Kkuteah, a Korean comfort woman, persistently rejects to survive and be saved by Hata, and denies the romantic possibility that Hata grasps in the trenches of the Pacific War. She instead chooses to face a violent death, to become obscene, and finally disintegrates Hatas decency.
The second chapter interprets Hatas double failure as an allegory of Chang-rae Lees diasporic declaration. Portraying Hatas failed adoption and romance, Lee acknowledges his inabilities to represent the tragedy of Korean history. While forgoing the blood-related patriarchal family and moving on to an alternative consisting of the ethn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members, the author presents himself as a transethnic diaspora who goes beyond the demand of ethnic authenticity and historic accuracy. This project makes Kkuteah—the unattainable authentic motherland—a blind spot where the novel ceases to describe at some point. Nevertheless, Lees failure opens up the possibility to talk about the ongoing comfort women dilemmas. This chapter examines Kkuteahs brutal death, her immediate execution both of herself and her violators, which indicates the difficulties of the comfort women issues in retributive legal processes.
이 논문은 이창래가 『제스처 라이프』의 주인공 프랭클린 하타의 거듭된 관계에 대한 실패를 매개로 하여 자신을 디아스포라 작가로 정립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하타가 입양아 써니와 조선인 '위안부' 끝애와 맺고자 하는 가족 관계는 하타의 온건하고 점잖은 삶의 방식, 즉 그의 '제스처 인생' 때문에 파국에 이르게 된다. 이 소설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하타가 아무와도 깊이 있는 관계를 맺지 못하고, 끝내는 집을 팔고 떠나는 결말을 맞는 것이 아시아계 미국인 이민자의 동화 문제를 지시한다고 읽었다. 그러나 이 논문은 그러한 하타의 제스처가 작가 이창래의 디아스포라적 제스처와 연결된다고 본다. 이창래는 하타를 통해서 자신을 모국인 한국과 정착지인 미국 사이 어딘가에 위치시키고, 자신이 한국의 고통스러운 역사에 대한 진정성' 있는 재현을 할 수 없다고 겸허하게 인정한다. 스스로의 불능과 한계에 몰두하며, 모국의 역사를 잘못 쓰는 부담을 지려고 하지 않는 이창래의 제스처는 끝애라는 공백을 작품 안에 남긴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이창래가 중도포기한 흔적으로서의 끝애가 작품의 결함이 아니며, 오히려 무시할 수 없는 에너지를 가지고 작품 밖의 '위안부' 문제와 공명한다고 읽는다.
1장에서는 하타의 정체성 만들기가 집과 가족을 중심으로 하여 어떻게 시도되고 있는지를 보려고 한다. 『제스처 라이프』가 그리는 불안정하고 다변적인 아시아계 미국인 이민자 정체성의 중핵에는 가족의 문제가 있다. 소설은 하타가 가족으로 포섭하고자 하는 두 여성 인물, 써니와 끝애를 중심으로 그의 복잡하고 오래된 가족의 역사를 조명한다. 한국전쟁 고아이자 하타의 수양딸인 써니는 하타가 존경받는 일본계 미국인으로 자리잡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의 예의바르고 규범적인 삶의 태도를 지속적으로 흔드는 역할을 하는 모순적인 인물이다. 써니의 원형격이 되는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 끝애는 전쟁에서 살아남아서 하타와의 로맨스를 완성하지 않으려고 하며, 그에게 구원받기를 완강히 거부한다. 그녀는 끝내 잔혹한 죽음을 맞아 서술의 장에서 벗어나는 외설이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하타의 제스처 인생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2장은 하타의 두 차례에 걸친 실패를 통해 이창래가 스스로의 작가적 정체성을 어떻게 선언하고 있는지 해석해 볼 것이다. 이창래는 하타가 써니의 입양과 끝애와의 로맨스에 이중으로 실패하게 만듦으로써 자신이 한국의 외상적 역사를 재현할 수 없음을 인정한다. 작가는 소설의 말미에 가부장적 혈연 중심 가족을 포기하고 여러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안적인 가족을 하타를 통해 제시하면서, 자신이 혈통과 민족성을 넘어서는 디아스포라임을 주장하며 이민자 작가에게 씌워지는 진정성에 대한 굴레를 벗어던진다.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창래의 겸허한 선언 과정에서 끝애가 서술불가능이라는 맹점이 된다는 것이다. 끝애는 하타의 경우 전쟁이라는 환경에서 자기 자신을 위안하기 위해서, 또 이창래의 경우 자신이 감히 한국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대변할 처지가 되지 않음을 인정하기 위해서 그들이 점잖게 포기하고 물러나는 바로 그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창래의 실패가 만들어 낸 끝애의 빈 자리는 현재진행형인 위안부 담론의 딜레마에 대한 모종의 메시지를 남긴다. 마지막 장은 끝애라는 공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해석하기보다는, 그녀가 의미를 담기를 거부함으로써,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 사라짐으로써 어떻게 작품 밖의 위안부 문제와 연결되는지를 볼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4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