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인문학을 통한 《論語》 연구방법론 : 数字人文视域下的《论语》研究方法新探: 以网络分析为中心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선영

Advisor
이강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論語개념어연구방법론디지털 인문학네트워크 분석동시 출현 관계고대 중국어论语概念词研究方法数字人文学网络分析共现关系古代汉语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1. 2. 이강재.
Abstract
在向数字时代转变的背景下, 本论文旨在从新观点出发研究数千年来作为东亚代表性儒家经典的《论语》。为此,本文通过基于单词共现关系的关键词网络分析, 探讨了综合性地研究《论语》核心词语义关系的方法。
数字人文学(Digital Humanities)是指从综合性、非线性、相互联系的观点来看待研究对象的方法上的创新。《论语》中蕴含着仁、礼等后世成为众多讨论对象的核心概念, 充分反应了人文学研究对象所具有的特殊性。而且研究《论语》的学者们根据各个时代的要求, 以不同方法为基础, 积累了丰富的研究成果。因此, 《论语》是探索通过数字人文学的人文学研究方法的创新可能性的最佳文本。
传统时代的《论语》研究一直是在通过训诂、义理、考证等方法来解释儒家经典的经学框架内, 以诠释的方式进行经文解释。进入现代以后, 通过甲骨文、金文、出土文献等新发掘资料的活用以及词法、句法、语言哲学等现代理论的引进, 《论语》的研究方法变得更加丰富、精细, 由此加深了后人对《论语》语言、内容方面上的理解。本文在此基础上, 采用了基于单词共现关系的网络分析, 观察了《论语》数十个以上概念词形成的综合性的、相互联系的语义脉络。
本文以《论语》中与仁或礼一起出现的概念词在《论语》上十篇和下十篇中表现的分布作为主要分析对象, 尝试运用网络分析, 由此阐明了《论语》中仁与礼的并存性以及《论语》全篇的一贯性。
分析结果显示, 《论语》中仁与孝、亲、道、政等概念词形成了核心语义脉络, 而礼与俭、乐等概念词形成了核心语义脉络, 这可以证实仁与礼展示出并存性分布。另外, 仁和礼在《论语》上十篇中, 其原始性、本质性较为突显, 而在下十篇中则更具有社会性、政治性含义。但是从《论语》全篇上看, 衬托仁与礼实践性、具体性、日常性的各种概念词总是与仁, 礼共现, 从而可以证实《论语》整体的一贯性。
另外, 改进以单词共现关系为基础的《论语》研究方法的关键在于关键词选定过程中对同形异义词、多义词、同义词、异体字的提炼。此外, Word2Vec等机器学习算法也会为《论语》研究方法的发展提供重要借鉴价值。通过后续研究, 希望能将数据规模扩大到与《论语》在时代、内容、语言上具有共通点的广泛资料中, 进行更加全面的单词分布比较研究。
本文的研究意义主要体现在以《论语》这一典型的古代汉语儒家经典为研究对象, 讨论了定量性、链接指向性数字人文学的应用方向。希望本文对《论语》现有主张的实证性探讨以及对此提出的新解释, 能对方法论的探索有所贡献。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을 맞이하여 수천 년간 동아시아의 대표적 유가 경전으로 전승되어온 《論語》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단어들의 동시 출현 관계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論語》 주요 개념어의 의미 관계를 종합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종합적⋅비선형적⋅상호연계적 관점에서 연구 대상을 바라보는 방법상의 혁신을 지향한다. 《論語》는 仁, 禮 등 후대 수많은 논의의 바탕이 된 여러 개념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인문학 분야 연구 대상이 가지는 특수성을 잘 반영한다. 또한, 각 시대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론을 토대로 한 수많은 연구 성과가 누적되어왔다. 이러한 점에서 《論語》는 디지털 인문학을 통한 인문학 연구 방법의 혁신 가능성을 탐구하기에 최적화된 텍스트이다.
전통시대의 《論語》 연구는 유가 경전을 훈고, 의리, 고증 등을 통해 해석하는 경학(經學)의 틀 안에서 주석을 통한 경문 풀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현대로 오면서 갑골문(甲骨文)⋅금문(金文)⋅출토 문헌 등 새롭게 발굴된 자료의 활용과 형태⋅통사론, 언어철학 등 현대적 이론의 도입을 통해 《論語》 연구 방법은 더욱 풍부하고 정교해졌으며, 이에 따라 《論語》의 언어적⋅내용적 측면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었다. 본 연구는 이로부터 한발 더 나아가, 《論語》의 수십 개 이상 개념어가 형성하는 종합적이고 상호연계적인 의미 맥락을 관찰하기 위해 단어의 동시 출현 관계에 기반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고는 《論語》에서 仁 또는 禮와 함께 출현하는 개념어들이 상십편과 하십편에서 나타내는 분포를 구체적 탐구 대상으로 삼아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특히 《論語》 내 仁과 禮의 양립 가능성과 《論語》 전편의 일관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論語》 안에서 仁은 孝, 親, 道, 政 등과 핵심적인 논의 맥락을 형성하는 한편, 禮는 儉, 樂 등과 핵심적인 논의 맥락을 형성하여 仁과 禮가 양립 가능한 개념어 분포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仁과 禮는 상십편에서는 상대적으로 원시적⋅본질적인 의미가 부각되는 한편, 하십편에서는 좀 더 사회적⋅정치적인 의미가 부각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論語》 전편에 걸쳐 仁과 禮의 실천적⋅구체적⋅일상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개념어가 仁, 禮와 주로 함께 출현하며 의미 맥락을 형성하였다는 점은 《論語》 전체의 일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공통점이다.
단어의 동시 출현 관계에 기반한 《論語》 연구방법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주요 과제는 키워드 선정 과정에서의 동형이의어⋅다의어⋅유의어⋅이체자 정제이며, 분석 방법의 정교화를 위해 Word2Vec 등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 또한 반드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방향이다. 후속연구를 통해 《論語》와 시대적⋅내용적⋅언어적 공통점을 가지는 유관 자료로 데이터 규모를 확대하여 전면적인 단어 분포 비교연구를 진행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로 서술된 대표적인 유가 경전인 《論語》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정량적이고 관계 지향적인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도입한 새로운 연구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論語》에 대한 기존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는 데 본고의 방법론적 탐색이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9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