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00년대 이후 '파국의 상상력' 한일 비교연구 : 'Catastrophic Imagination' after 2000s : A Comparative Study of Japan and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OMATSUDA YOSHIHIRO

Advisor
서영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파국의 상상력파상력알레고리재난 서사다와다 요코김사과Catastrophic ImaginationPa-sang-ryokAllegoryDisaster narrativeYoko TawadaSagwa Ki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21. 2. 서영채.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등장한 파국의 상상력에 대해서 문학과 영화의 서사적 분석을 통해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대 이후부터 한국과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파국의 상상력이 등장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파국의 상상력의 대두는 세계적인 맥락 위에서 논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2011년 동일본대지진 및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라는 파국적 사건을 경험한 일본과 2000년대에 들어서 현실에 파국적 사건을 한 번도 경험하지 않았던 한국 각국의 파국의 상상력은 내용적인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나라에서 전개되는 파국의 상상력의 전개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상상력으로서의 파국이 제시해주는 문학적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론은 크게 3장으로 구성하였다. 우선 제2장에서는 파국과 파국의 상상력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구축하였다. 파국을 재해나 위험 등의 유사한 개념어와 비교하면서 그들 사이의 명백한 차이점을 제시함으로써 파국의 개념적 정의를 구축하였다. 또한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을 통해서, 파국의 상상력을 꿈에서의 각성을 불러일으키는 힘의 알레고리로 규정하였다. 상상력으로서의 파국이 각성의 알레고리로 규정되고 나면, 사건을 파국으로 인식하는 알레고리커의 존재가 중요한 위상을 지니게 되며, 이 지점에서 알레고리커에 대한 분석, 즉 개별적 텍스트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등장한 파국의 상상력을 분석하였다. 다와다 요코(多和田葉子)의 「헌등사(献灯使)」, 요시무라 만이치(吉村萬壱)의 「볼라드병(ボラード病)」, 후루야 미노루(古谷実)의 원작만화 『두더지(ヒミズ)』와 이를 영화화한 소노 시온(園子温)의 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들 작품에 대한 서사적 분석을 통해서 일본의 파국의 상상력이 실제 3.11의 경험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파국의 상상력이 작중 인물들의 신체와 관련하여 구현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궁극적으로 일본의 파국의 상상력이 파국 후의 세계와 인간을 그려내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이 묵시록적 파국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소설에 등장하는 파국의 상상력에 대해서 김사과의 「매장」과 『테러의 시』, 김애란의 「물속 골리앗」, 조하형의 『조립식 보리수나무」를 분석함으로써 살펴보았다. 개별적 작품 분석을 통해서 일본과 달리 현실에서 파국적 사건을 경험하지 않았던 한국에서는 상상력으로서의 파국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의 파국의 상상력이 종말(리셋) 자체에 대한 욕망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that emerged in Korea and Japan from the 2000s,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literature and film. Considering the full-fledged emergence of 'Catastrophic Imagination' in Korea and Japan from the 2000s, it seems plausible to closely study the rise of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in a global context. However one major difference should be noted. With the catastrophic events such as the 20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the contents of Japanese 'Catastrophic Imagination' are distinct from those of Korea not witnessing any catastrophic events in the 2000s. This study endeavors to compare between the developments of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unfolding in the two countries and consider the literary meaning presented by 'catastrophe' as an imagination.
The body mainly consists of three chapters. First of all, Chapter 2 establishes a conceptual distinction of 'catastrophe' from 'Catastrophic Imagina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atastrophe' was established by comparing 'catastrophe'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disaster' or 'danger' and by presenting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ddition, through Benjamin's On the Concept of History and the concept of Allegory, 'Catastrophic Imagination' is defined as an allegory of a force that evokes awakening from a dream. Once catastrophe as an imagination is defined as an allegory of awakening, the existence of an allegoriker who perceives events as a catastrophe becomes important. At this poin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ker, that is, individual text analysis of it is required essentially.
In Chapter 3,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that emerged in Japan from the 2000s will be presented. The objects to be analyzed are three texts; Yoko Tawada's "The Emissary", Manichi Yoshimura's "Bollard Disease", Minoru Furuya's original manga "Himizu", and Shion Sono's film adaptation of "Himizu".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these works, it will become clarified that Japan's 'Catastrophic Imagination' is linked to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20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hat such 'Catastrophic Imagination' is materialized in relation to the bodi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is study further claims that Japan's 'Catastrophic Imagination' was ultimately focused on portraying the world and mankind post-catastrophe, thus strongly bea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plied catastrophe.
The last chapter explores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in Korean novels by analyzing Sagwa Kim's "Store" and "The Poetry of Terror", Ae-ran Kim's "Goliath in the Water" and Ha-hyung Jo's "Self-assembly Bodhi Tree". By analyzing the individual works, how the catastrophe as an imagination unfolds will be revealed in Korea, which unlike Japan, has not experienced any catastrophic event in reality.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drawn from the three chapters that Korea's 'Catastrophic Imagination' is driven by a desire for the ultimate end (reset) itself.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