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류츠신(劉慈欣)의 『삼체(三體)』와 배명훈의 『신의 궤도』 비교연구 : 劉慈欣的《三體》和裴明勛的《神的軌道》比較研究-以末日敘事為中心
대재앙 서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XU MIAOYAN

Advisor
이정훈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F대재앙류츠신배명훈불안정체성SF,末日,劉慈欣,裴明勛,焦慮,身份認同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21. 2. 이정훈.
Abstract
本研究以末日敘事為中心,對中國作家劉慈欣的《三體》和韓國作家裴明勛的《神的軌道》進行了比較研究。本研究的目的在於探索東亞的科幻文學是否具有自己獨特的問題意識。
21世紀以來,中韓兩國的科幻文學在數量和質量上都取得了令人矚目的成就。但是在此之前,科幻文學長期停留在文學研究的邊緣地帶,十分缺乏學術界真摯的討論。本研究選定了兩本講述災難末日的科幻小說作為研究對象。因為災難末日故事作為科幻的下屬類型可以敏銳地反映社會的焦慮感, 所以說研究災難末日小說在把握時代脈絡和各國社會焦慮的原因方面具有現實意義。
本研究從末日的危機、進行和結局三個方面分析了《三體》和《神的軌道》,探討了兩部作品的共同點和差異點。《三體》中雖然末日是由外星人入侵引起的,但根本原因在於人類自身。 地球文明和三體文明之間不是單純的正義的主人公和邪惡的反派的關系,而是都處於失去地理意義的家園的危機中,同為飽受精神仿徨的宇宙公民。在末日的進行階段,小說展示了當人類的生存本能和道德及人性發生沖突時,人類應該如何自處的思想實驗。 最後,整個太陽系被未知的高等文明攻擊,跌落為二維平面,地球文明宣告終結。但是,關於人類命運共同體和生命及生活那些閃耀的思考留了下來。
《神的軌道》中,末日的原因可以歸結為人類內部的鬥爭和人工智能的覺醒。和《三體》一樣,人類內部的原因都是最本質的原因。末日的進行階段中值得註意的一點是,納尼耶星球的人認為自己有罪,他們忐忑不安地等待未知的審判。自覺獲罪的納尼耶百姓們如同被所有的存在所疏遠,在空虛和消極的逃避中消磨了自己的生活。最後,納尼耶行星被救世主金恩京和人工智能體普裏馬所拯救。堅韌的金恩京不斷嘗試擺脫既有的框架,為尋找真正的家園而全力以赴。在她的幫助下,普裏馬發出溫暖的光芒,解開了對立和怨恨的結,拯救了世界。
本研究的結論是,與西方的科幻小說相比《三體》和《神的軌道》反映了東亞特有的問題意識。筆者認為,該問題意識的指向是如何在全球化浪潮中找到自己的位置。隨著國民的視線從本國轉向世界,東亞面臨著重新定位自己的位置和重新確立身份認同感的迫切情況。《三體》中的地球人和三體人都是沒有家園的宇宙公民,而《神的軌道》中金恩京也始終表現出想要逃離並尋找真正家園的欲望和行動。 他們尋找故鄉的樣子也許正反映出了東亞在新的世界秩序中仿徨的景象。
對於這個問題,兩部作品提出了不同的解決方法。雖然《三體》裏始終沒有出現一個能給人帶來安全感的家園,但小說裏提出了比那更重要的東西。 那就是好好生活。具體來說,就是要有尊嚴和有責任感地生活。小說中強調了有尊嚴地生活的重要性。即,即使弱小也要抵抗到底,即使是在死亡面前也要保持平靜泰然的姿態。另外,《三體》刻畫了許多為人類共同體的生存而堅守職責的"中國式英雄"的形象,在讀者中備受歡迎。而在《神的軌道》中,作家通過金恩京這一角色表達了身份認同感其實存在於尋找家園的行動中,給苦惱自身存在價值的人們提供了溫暖的安慰。另外,主要人物普裏馬、金恩京和野菜都通過靈魂的感悟確定了自身存在的意義。他們的感悟不是通過知識或邏輯等知性和理性,而是通過情感或直覺等直觀感性而獲得的。 作者試圖用感性撫慰過去因人類理性導致的精神創傷。
본 연구는 대재앙 서사를 중심으로 중국 작가 류츠신의 『삼체』와 한국 작가 배명훈의 『신의 궤도』에 대해 비교연구를 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의 SF문학이 자신만의 독특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탐구하는 데 있다.
2000년대에 들어 한중 양국의 SF 문학에는 모두 질적,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취가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전까지 SF가 오랜 기간 동안 문학 연구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고 SF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많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재앙 이야기를 다룬 SF 소설 두 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SF의 하위 장르인 대재앙 소설은 사회의 불안감을 예민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대재앙 소설을 연구하는 것은 시대의 맥락과 각국의 사회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현실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재앙의 위기, 진행, 결말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삼체』와 『신의 궤도』를 분석하고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삼체』에서는 대재앙이 외계인의 침입으로 시작됐지만 근본적 원인은 인간 자신에게 있다. 지구문명과 삼체문명 사이에는 단순한 정의의 주인공과 사악한 악역의 관계가 아니라, 모두 지리적인 고향을 잃을 위기에 처했고 정신적인 방황을 겪고 있는 우주 시민이라는 존재적 공통점이 있다. 대재앙의 진행 단계에서는 인간의 생존본능과 도덕 및 인간성이 충돌할 때 인간이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는지를 일종의 사고실험 통해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태양계 전체가 미지의 고등문명의 공격을 받아 이차원 평면으로 되었고 지구 문명이 종말을 고했다.
『신의 궤도』의 경우 대재앙의 원인은 인류의 내전과 인공지능의 각성 두 가지로 귀결될 수 있다. 『삼체』와 마찬가지로 인류 내부의 원인은 가장 본질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대재앙의 진행 단계에서 주목할 점은 나니예 행성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유죄라고 생각하며 미지의 심판을 조마조마하게 기다린다는 것이었다. 죄를 받은 나니예의 사람들은 모든 존재로부터 소외된 채 허전함과 소극적인 도피 속에서 자신의 삶을 소진해간다. 마지막으로 구세주인 김은경과 인공지능체 프리마 덕분에 나니예 행성은 구원을 받았다. 강인한 김은경은 주어진 틀에서 끊임없이 벗어나 진짜 고향을 찾기 위해 전력투구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도움으로 프리마는 따뜻한 빛을 발해 대립과 원한의 매듭을 풀고 세상을 구원했다.
서양의 SF 소설과 비교할 때『삼체』와 『신의 궤도』는 동아시아 특유의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그것은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위치를 찾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국민의 시선이 자국에서 세계로 향하면서 동아시아는 자신의 위치와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삼체』에서는 지구인과 삼체인을 모두 고향이 없는 우주 시민으로 묘사하고 있으며『신의 궤도』의 김은경 역시 항상 탈출하고 진정한 고향을 찾으려는 욕구와 행동을 대변하는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그들이 고향을 찾는 모습은 새로운 세계 질서에서 정신의 귀속처를 잃고 방황하던 동아시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두 작품은 다른 해법을 제시하였다. 『삼체』에는 안정감을 주는 고향이 끝까지 등장하지 않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그것은 바로 의미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질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존엄성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살아가는 삶이다. 소설에서는 존엄함을 지키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즉 약하더라도 끝까지 저항해야 하고 죽음 앞에서도 평온하고 태연한 모습을 유지해야 했다. 또한 『삼체』는 인류 공동체의 생존을 위해 책임을 다하는 중국식 영웅의 형상을 많이 부각시켰고 이점은 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이유가 되었다. 반면 『신의 궤도』에서는 김은경을 통해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 고향을 찾는 행동의 기저에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존재의 가치를 고민하는 사람에게 따뜻한 위안을 주었다. 또한 주요 인물인 프리마와 김은경 및 나물은 모두 영혼의 깨달음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의를 확인하였다. 그들의 깨달음은 지식이나 논리와 같은 지성과 이성(理性)이 아니라, 감정이나 직감과 같은 직관적인 감성을 바탕으로 얻어졌다. 작가는 감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인간의 이성으로 인해 생겨난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