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천예록(天倪錄)』과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의 이류담(異類談)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heterogeneous stories in Cheonyerok(天倪錄) and Luanyang Xiaoxia Lu(灤陽消夏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XU YIYAO

Advisor
정병설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천예록난양소하록열미초당필기이류귀신여우CheonyerokLuanyang Xiaoxia LuYuewei Cottage Notesheterogeneityghostfox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21. 2. 정병설.
Abstract
Korea's Cheonyerok (天倪錄) and Chinese Luanyang Xiaoxia Lu (灤陽消夏錄), created in the 18th century, refer to works that contain short stories about hermits, ghosts, and monsters. The works tell the stories of non-human beings. In this paper, these stories were included in the term 'heterogeneous stories(異類談)', and by comparing the heterogeneous stories of the two works according to types, the paper aimed to reveal the authors perception on heterogeneity and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heterogeneous stories.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when heterogeneous stories were actively distributed in Korea and China. Cheonyerok and Yuewei Cottage Notes (閱微草堂筆記)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time when heterogeneous stories were recorded. In particular, Luanyang Xiaoxia Lu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work as the first book of Yuewei Cottage Notes combination. Cheonyerok and Luanyang Xiaoxia Lu have similar creation periods and are representative works that contain heterogeneous stories and are suitable for comparative research.
In the review, the concept of 'plot core(情節基干)' was introduced by Liu Kuili(劉魁立), a Chinese folklore schola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terogeneity and humans. As a result, heterogeneous stories of Cheonyerok and Luanyang Xiaoxia Lu were classified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a story in which heterogeneity is superior to humans, and includes benefit stories, warnning stories, and punishment stories. The second type is a story in which heterogeneity is equal to humans, such as exchange stores, requesting stories, and peaceful coexistance stories. The third type is a story in which heterogeneity is inferior to humans, such as eradicating stories and harm stories. This paper examined them focusing on thematic orientation and the authors perception on heterogeneity.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stories were derived. In the heterogeneous stories, hermits as saviors, hermits as leaders, ghosts as other people, ghosts as mans of wisdom, alienated monsters, and monsters with humanity appear. Hermits in Cheonyerok are beings as saviors with magical power, and hermits in Luanyang Xiaoxia Lu are beings as authoritative leaders. In Cheonyerok, ghosts are beings that need to be sent out and recognized as others, but ghosts in Luanyang Xiaoxia Lu are usually perceived as mans of wisdom who have better insight than humans and who know the world. Even the rejected evils show the intellectual side. While Cheonyerok thoroughly rejects monsters, Luanyang Xiaoxia Lu regards monsters as beings similar to humans, and also takes an attitude of keeping at a respectful distance from the monst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eanings of heterogeneous st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aspects: realistic meaning, edifying meaning, and exemplary meaning. First, Cheonyerok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reality through the thought of the world beyond one's time and Luanyang Xiaoxia Lu through criticism of the director. To solve the problem, Cheonyerok provided a theoretical solution through the thought of Sung Confucianism, while Luanyang Xiaoxia Lu tried to suggest a concrete and practical method. In addition, both works expanded the enjoyment class and popularized Confucian ideology to edify a wider range of people. Cheonyerok had a lot of influence on future storytelling, and Luanyang Xiaoxia Lu became an example of later works in that it followed the stylistic formality of the Six Dynasties Note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uture notes novels.
18세기 창작된 한국의 『천예록(天倪錄)』과 중국의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은 모두 신선, 귀신, 요괴 등에 관한 짧은 이야기를 수록한 작품이다. 이 작품들은 인간이 아닌 존재를 이야기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에 본고는 이 이야기를 이류담(異類談)이라는 용어로 포괄하였다. 본 연구는 두 작품의 이류담을 유형에 따라 비교하여 작가의 이류 인식을 살피고 나아가 이류담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18세기는 한국·중국에서 이류담이 활발하게 유통되던 시기였고, 『천예록』과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는 이류담을 기록한 당시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특히 『난양소하록』은 『열미초당필기』 합본의 첫 번째 책으로 가장 중요한 작품이라 생각된다. 『천예록』과 『난양소하록』은 창작 시기가 비슷하고 이류담을 수록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비교 연구에 적합하다.
본고는 이류와 인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중국 민속학 학자 유괴립(劉魁立)의 '플롯 코어(情節基干)'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천예록』과 『난양소하록』의 이류담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이류가 인간보다 우월한 이야기로 수혜담, 권계담, 징벌담이 여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 유형은 이류가 인간과 평등한 이야기로 교류담, 요구담, 평화공존담이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 유형은 이류가 인간보다 열등한 이야기로 퇴치담, 해악담이 여기에 해당한다. 본 논문은 이들을 주제적 지향과 작가의 이류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어 이류담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류담에는 구세주로서의 신선과 지도자로서의 신선, 타자로서의 귀신과 지자(智者)로서의 귀신, 소외되는 요괴와 인간성을 가진 요괴가 등장한다. 『천예록』의 신선은 신통력이 있는 구세주로서의 존재이며 『난양소하록』의 신선은 권위 있는 지도자로서의 존재이다. 『천예록』에서 귀신은 내보내야 할 존재이며 타자로 인식되지만, 『난양소하록』의 귀신은 대개 인간보다 통찰력이 좋고 세상 물정을 잘 아는 지자(智者)로 인식된다. 심지어 배척받는 악귀에게서도 지적인 면이 나타나기도 한다. 『천예록』은 요괴를 철저히 배척하는 태도를 취하는 반면 『난양소하록』은 요괴를 인간과 비슷한 존재로 보고 인간과 차이가 나타나는 요괴를 경원(敬遠)하는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류담의 의미를 현실적 의미, 교화적 의미, 모범적 의미 세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먼저 『천예록』은 말세 사상을 통하여, 『난양소하록』은 관장에 대한 비판을 통해 현실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예록』은 성리학 사상을 통한 이론적인 해결방법을 제공한 반면, 『난양소하록』은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두 작품은 향유층을 확대하고 유교 이념을 통속화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사람들을 교화시키고 있었다. 아울러 『천예록』은 후세 야담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난양소하록』은 육조소설의 문체 격식을 따라 후세 필기류 소설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점에서 후대 작품의 모범적이 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5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