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ive potential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synchronization of coupled oscillators : 결합된 진동자들의 동기화에 대한 유효 포텐셜 및 기계학습 접근법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제웅

Advisor
강병남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omplex networkSynchronizationPhase transitionHybrid transitionNonlinear dynamicsChaotic systemCoupled oscillatorsKuramoto modelSelf-consistency equationLandau theoryEffective potentialData-driven approachMachine learningArtificial neural networkFeedforward neural networkConvolutional neural networkRecurrent neural networkReservoir computing복잡계 네트워크동기화 현상상전이하이브리드 상전이비선형 동역학카오스계결합된 진동자구라모토 모형자기일관성 방정식란다우 이론유효 포텐셜데이터 기반 방법론기계학습인공 신경망순방향 신경망합성곱 신경망순환 신경망축적 컴퓨팅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2021. 2. 강병남.
Abstract
Systems with multiple interacting elements exhibit collective behaviors. As one of examples of collective behaviors, synchronization is a process of coordinating two or more elements to realize the system in unison. It is an omnipresent phenomena in nature, for instance, firefly flashing, cricket chirping, cardiac pacemaker cell, and so on.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mechanism of synchronization phenomena, coupled oscillator system is often adopted as the most conventional and suitable model for interacting system. Each oscillator has own frequency representing each unique characteristics, and its phase is adjust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 oscillators on the system. On the way to phase synchronization, such interactions or connections between oscillators can be expressed as links on the complex network and each element (oscillator) is then denoted by a node. A number of studies for coupled oscillators on complex networks have been progressed over the past two decades.

Among the studies for synchronization of coupled oscillator systems, the Kuramoto model has played a crucial role as a simple and representative model for describing such collective behavior. Owing to its rich properties such as chaotic dynamical behavior and synchronization transition, the Kuramoto model is an appropriate model to explore. First, fundamental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synchronization of the coupled oscillator system, especially the Kuramoto model, are introduced.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two main studies for the coupled oscillator system by adopting two different approaches, respectively. As the first main study of this dissertation, we examine the Kuramoto model using analytical way, the effective potential approach. The Kuramoto model exhibits different types of synchronization transi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natural frequency distribution. To obtain these results, the Kuramoto self-consistency equation (SCE) approach has been used successfully. However, this approach affords only limited understanding of more detailed properties such as the stability. We here extend the SCE approach by introducing an effective potential, that is, an integral version of the SCE. We examine the landscape of this effective potential for second-order, first-order, and hybrid synchronization transitions in the thermodynamic limit. In particular, for the hybrid transition, we find that the minimum of effective potential displays a plateau across the region in which the order parameter jum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ective potential can be used to determine a type of synchronization transition.

In the second study for the coupled oscillator systems, we applied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investigate the system based on data-driven analysis and to figure out whether the methodology can be extended to the real world system. With growing interest in the machine learning, recent works on physical systems has demonstrated successful progresses by adopting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tasks of classification and generation. We here perform various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the Kuramoto system which is basic model for synchronization phenomena and exhibits complicated chaotic behavior. As the system displays rich properties such as synchronization transition and nonlinearity with varying parameters, we applied machine learning for finding the value of the coupling strength and the critical value. Considering the finite size scaling, we confirm that results follow the critical behavior of the Kuramoto system. By focusing on the phase dynamics of all oscillators, we applied the performanc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predicting future behaviors of all oscillators and detecting underlying real brain network topology. As the Kuramoto model offers support for the application on real-world systems exhibiting synchronization phenomena or nonlinear behaviors, our work has potential for utilizing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such systems.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있는 다수의 개체로 구성된 계는 집단적인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 잘 알려져있다. 그러한 집단적인 행동의 대표적인 예로써, 동기화 현상은 두 개 이상의 개체가 상호작용을 통해 모두 동일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뜻한다. 반딧불의 깜빡임, 귀뚜라미의 울음소리, 심장박동원세포 등 자연에는 동기화 현상의 수많은 예들이 있다. 동기화 현상을 이해하고 묘사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이고 적합한 모형으로, 결합된 진동자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시스템에 있는 각각의 진동자들은 각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위상(phase)들은 시스템의 다른 진동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맞추어 나가게 된다. 이 때, 이러한 위상 동기화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진동자들 사이의 연결 또는 상호작용들은 복잡계 네트워크 위의 링크(link)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체 혹은 진동자들은 노드(node)로 표현된다. 이러한 결합된 진동자들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지난 20여년간 이루어져 왔다.

집단현상을 묘사하는 간단하면서도 대표적인 모형인 구라모토 모형을 차용하여 결합된 진동자들의 동기화 현상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구라모토 모형은 카오스 동역학, 동기화 상전이 등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만큼, 흥미로운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먼저, 구라모토 모형에서 나타나는 동기화 현상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중요한 결과 및 배경들을 이 학위 논문의 앞부분에서 소개하였다.

그리고 각각을 주요한 연구주제로써, 결합된 진동자들의 시스템에 대한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하여 논문을 구성을 하였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유효 포텐셜(effective potential)을 이용한 방법론을 도입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라모토 모형을 분석하였다. 구라모토 모형에서는 고유 진동수의 분포형태가 변함에 따라 동기화 상전이의 유형또한 변하게 되는데, 구라모토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한 자기일관성 방정식(self-consistency equation)을 사용하여 이러한 결과를 해석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같은 상세한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일관성 방정식을 적분하여 유도한 유효포텐셜 방법론을 도입하여, 열역학적 극한에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1차 상전이, 2차 상전이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동기화 상전이가 나타날 때의 포텐셜 경관(potential landscape)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상전이에서는 유효 포텐셜의 최솟값이 임계점에서 평평한 형태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동기화 상전이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 포텐셜이 주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방법론인 기계학습을 사용하여 결합된 진동자들의 시스템을 파악하고, 이러한 방법이 실제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확장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과학분야 뿐만아니라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기계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는데, 물리적 계에 대해서도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 및 생성 작업을 통해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계학습의 모형들을 이용해 구라모토 모형에서 보이는 동기화 상전이 및 비선형, 카오스 동역학을 분석하였다. 질서변수의 시간에 따른 동역학으로부터 진동자들 사이에 내재된 상호작용을 찾고, 진동자들의 위상으로 부터 동기화된 상태와 비동기화된 상태를 구분하여 임계점을 찾는 데에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유한 크기 축적 방법(finite-size scaling)을 이용하여 이러한 결과들이 기존의 알려진 구라모토 모형에 대한 눈금 바꿈 행태(scaling behavior)의 결과와 일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진동자들의 위상 동역학을 인공 신경망에 입력으로 넣어줌으로써, 진동자들의 이후의 동역학 행태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기저에 깔려 있는 실제 쥐의 시각 피질 네트워크를 알아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동기화 현상 및 비선형 동역학을 보이는 여러 실제의 시스템들에 대한 구라모토 모형의 응용이 가능함에 따라, 본 연구는 그러한 시스템에 대해서도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9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