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Isolated Greater Trochanter Fractures: MPR CT or MRI : 대전자 단독골절의 진단과 치료 : 다면상 재구성 전산화단층촬영 또는 자기공명영상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강백

Advisor
이영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Isolated fracture of the greater trochanterIntertrochnateric fractureCTSpiral ComputedMagnetic resonance imaging. 대전자 단독골절전자간 골절전산화단층촬영자기공명영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 2. 이영호.
Abstract
Aims
Most isolated greater trochanter (IGT) fracture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However, some require surgical fixation, though the indication for surgery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Many surgeons perform surgical fixation when the intertrochanteric extension crosses the midline on MRI. Nevertheless, for mechanical strength, cortical bone integrity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intramedullary cancellous trabeculae. In addition, there is no clear consensus on when to consider MPR CT or MRI in IGT fractures.
In the current study, we proposed the following questions : [1] Can the intertrochanteric extension on MRI be a reasonable indication in choosing a treatment method for the IGT fractures? [2] does the degree of intertrochanteric extension on MRI reflect the actual cortical bone integrity? [3] compared to MRI, what is the value of MPR CT in IGT fractures? ,and [4] As in our treatment guidelines, is it reasonable to perform MRP CT first and then consider MRI as needed?

Patients and methods
We evaluated 100 cases of suspected IGT fracture between October 2004 and December 2019. They were 67 women and 33 men with a mean age of 77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Most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plain radiographs, followed by additional study via MPR CT in 66 cases, MRI in 5 cases and both in 17 cases. Typically, fractures were fixed surgically when a cortical breakage was detected in the intertrochanteric area on MPR CT, while fractures without evidence of cortical breakage on MPR CT were treated conservatively.

Results
In 13 out of 83 cases evaluated by MPR CT, incomplete cortical breakage in the intertrochanteric area was detected, of which 10 were treated surgically. The remaining 3 case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due to patients refusal, poor medical condition, and failure to detect breakage. In 70 cases without cortical breakage, 62 cases were successfully treated conservatively. Among the 17 cases evaluated by both MPR CT and MRI, cortical breakage was detected in 3, of which the intertrochanteric extension crossed midline on MRI only in 1 case. In the remaining 14 cases without breakage, the intertrochanteric extension crossed the midline in 5. Among these 5 cases, 3 were treated conserva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PR CT is a useful imaging modality for further evaluation of IGT fractures. It was especially valuable in evaluating cortical bone integrity, which may be more critical for fracture stability.
목적
과거 대다수의 대전자 단독골절은 보존적으로 치료했었다. 하지만 아직 명확한 적응증이 없음에도, 그들 중 일부는 수술적 고정을 필요로 한다. 상당수의 정형외과 의사들은 MRI 상에서 골절선의 확장 범위가 전자간 부위의 50% 이상을 넘어갈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한다. 하지만 골절의 안정성은 골수강 내의 해면골 상태가 아닌 피질골의 손상 정도가 더 중요하다. 또한, 대전자 단독골절에서 언제 CT 혹은 MRI를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4가지 의문점을 제시하고 그 해답을 얻고자 한다 :(1) MRI 상에서 골절선의 확장범위가 대전자 단독골절의 수술적 치료여부를 결정하는 합리적인 적응증이 될 수 있는가?, (2) MRI 상에서 골절선의 확장범위 정도가 실제 피질골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가?, (3) MRI 와 비교하여, 대전자 단독골절에서 다면상 재구성 전산화 단층촬영의 역할은 무엇인가? (4) 본 기관의 치료 가이드라인에서처럼, 다면상 재구성 전산화 단층촬영을 우선 시행한 뒤 그 결과에 따라 MRI를 고려하는 것은 합리적인가?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대전자 단독골절로 진단받은 108명중 중도탈락한 8명을 제외한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들은 67명의 여성, 33명의 남성으로 이뤄졌으며, 평균 나이는 77세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4개월이었다. 단순방사선 촬영에 더하여 66명의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 5명의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17명의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을 동시에 시행하였으며 12명의 환자에서는 추가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관계없이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골절선의 유무에 따라 수술적 치료여부를 결정하였다.

결과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83명중 13명에서 전자간 부위 피질골의 불완전 골절선이 관찰되었고 그들 중 10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남은 3명은 각각 환자의 수술치료 거부, 수술이 어려운 내과적 질환, 초기 평가에서 골절선 발견의 실패를 이유로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골절선이 발견되지 않은 70명 중 62명에서 보존적 치료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동시에 시행한 17명중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골절선이 발견된 경우는 3명이었으며 그들 중 1례에서만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절선의 확장 범위가 전자간 50%를 넘어갔다. 단층촬영에서 골절선이 발견되지 않은 14명 중 5명에서 자기공명영상의 골절선 확장 범위가 전자간 50%를 넘었고 그들 중 3명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였고 모두 성공하였다.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은 대전자 단독골절에서 추가평가를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골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피질골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있어 그 가치가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0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8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