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ate recurrence of bladder cancer following radical cystectomy: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 근치적 방광 절제술 후 후기 재발에 대한 성상과 예후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상현

Advisor
구자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방광암종양후기 재발생존율urinary bladdercarcinomalate recurrencesurvival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 2. 구자현.
Abstract
Purpose: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late recurrence of urothelial carcinoma of bladder (UCB) after radical cystectomy (R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haracteristics and oncological outcomes of such late recurrence that developed five years after RC.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70 patients who underwent RC and bilateral regional lymphadenectomy for UCB at our institution. Comparisons of post-recurrence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according to the timing of recurrence and the site of recurrence were performed using Kaplan-Meier survival curves and log-rank test. Cox regression model was fitted to assess factors for post-recurrence DSS.
Results: Disease recurrence occurred in 214 (37.5%) patients, including 20 (9.3%) who had late recurrences. Median time from RC to recurrence was 13.0 (IQR, 6.0-32.0)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opathological factors between early- and late- recurrence groups. Post-recurrence 5-year D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1.6% vs. 14.1%, p = 0.344) between early- and late- recurrence groups. However, it was worse in the non-urothelial recurrence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urothelial recurrence group (14.0% vs. 19.4%, p = 0.056). Older age (HR 1.03, 95% CI 1.01-1.05, p = 0.001), non-organ confined disease at RC (HR 1.73, 95% CI 1.15-2.61, p = 0.008), and lymph node invasion (HR 1.58, 95% CI 1.01-2.45, p = 0.04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post-recurrence 5-year DSS. Conclusions: Late recurrence after radical cystectomy with lymphadenectomy is not common. However, it cannot be overlooked. Late recurrence had similar characteristics to early recurrence. Interestingly, the time to recurrence did not affect post-recurrence survival.
서론: 방광의 요로상피암 진단 후 근치적 방광 절제술을 받은 뒤 장시간 후에 재발한 경우에 대한 연구는 적게 이루어진 편이다. 이 연구는 근치적 방광절제술을 받은 후 5년 이상 후에 뒤늦게 재발한 후기 재발에서의 종양학적 그리고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병원에서 방광의 요로상피암을 진단받아 근치적 방광 절제술 (RC) 및 림프절제술을 받은 57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재발까지 걸린 시간에 따른 질병 특이 생존율 (DSS)을 카플란-마이어 생존 곡선을 통해 비교하였고, 콕스 회귀 모형을 통해 재발 후의 질병 특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보정하였다.

결과: 질병의 재발은 총 214명 (37.5%)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5년 이후 재발한 환자의 수는 20명 (9.3%)이었다. RC 후 재발까지 걸린 시간은 중간값 13.0개월 (사분범위 6.0-32.0) 이었다.
조기 재발 (5년 이하 재발) 군과 후기 재발 (5년 이후 재발) 군 간의 임상병리적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5년 이내 질병 특이 생존율 역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1.6% vs. 14.1%, p = 0.344). 다만 요로 부위 이외에 재발한 경우는 요로 부위의 재발한 경우에 비해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14.0% vs. 19.4%, p = 0.056). 고령의 나이 (위험도 1.03, 95% 신뢰구간 1.01-1.05, p = 0.001), RC 당시 장기 이외에 종양이 존재했을 경우 (위험도 1.73, 95% 신뢰구간 1.15-2.61, p=0.008), 그리고 림프절 침윤 (위험도 1.58, 95% 신뢰구간 1.01-2.45, p=0.043) 등이 재발 후의 5년 질병 특이 생존율에서 예측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결론: 근치적 방광 절제술 후 발생하는 5년 이후의 후기 재발은 흔하지 않았지만, 간과하지 않을 정도로 일어났다. 후기 재발은 조기 재발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성상을 보였다. 재발까지 걸린 시간은 재발 이후의 생존율에 차이를 주지 않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06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4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