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제화 시대의 허브공항" : "An Airline Hub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 Establishment and Reivision of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1989-1995
인천 국제 공항 건설 계획의 수립과 변화, 1989-1995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록연

Advisor
임종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천국제공항허브공항국제화흐름의 공간결절국제도시Incheon International Airportairline hubglobalizationspace of flowsnodesInternational cit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2021. 2. 임종태.
Abstract
본 논문은 1988년에서 1995년까지 인천국제공항 건설 사업에 대한 정부 문건, 국회 회의록, 언론 보도를 분석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 건설 사업의 발안자, 설계자, 실무자, 국회의원, 그리고 언론이 각자 한국이 마주한 국제화를 어떻게 해석했으며 인천국제공항과 어떻게 연결시켰는가를 파악하려 시도한다. 국제화와 인천국제공항 사이의 관계는 인천국제공항 건설 계획 초기부터 최종적인 목표로 제시되었던 허브공항이라는 개념에 집약되어 있다. 그렇기에 본 논문은 허브공항 개념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당시 인천국제공항 건설 사업 관계자들이 각자 가지고 있던 국제화에 대한 이해를 어떤 모습으로 인천국제공항에 투영시키고 구현시켰는지 알아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인천국제공항 건설 사업은 1988년 본격적으로 시작됐을 때부터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이 된다는 목표를 추구했다. 그러나 1992년 완성된 건설 기본 계획안에서 허브공항은 그것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추상적인 개념이었다. 이때 허브공항보다 중요한 것은 허브공항의 이점을 통해 영종도를 국제도시로 만든다는 발상이었다. 그러나 1992년 이후 시민단체의 저항과 국제화 담론의 확산으로 인해 기본 계획안이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을 건설한다는 목표를 이루기에 부족하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이는 1994년 신공항건설공단 설립, 국회 교통위원회 의원들의 비판 등의 사건으로 이어졌고, 신공항건설공단은 1994년 말부터 기본 계획안을 전면적으로 수정하기에 이른다.
1995년 말에 기본 계획 변경안이 통과되기까지 공단은 여러 주제들을 의제에 올려 토론을 하고, 자문을 받고, 시찰을 가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완성된 기본 계획 변경안에는 허브공항이 지상교통흐름과 항공교통흐름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공간이라는 인식과 외부적인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줄 아는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는 인식이 담겨 있었다. 이는 사회학자 마뉴엘 카스텔(Manuel Castells)이 국제화 시대의 새로운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 제안한 흐름의 공간(space of flows) 개념과 많은 특성을 공유한다. 하지만 공단은 허브공항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일관되게 관철할 수 없었다. 교통부장관, 국회 교통위원회 의원들, 그리고 일부 자문위원들은 허브공항을 통해 국제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믿음을 고수하고 있었고, 공단은 국제도시를 위한 시설들을 축소했으나 완벽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결국 완성된 인천국제공항의 시설 배치도는 국제화와 허브공항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이 아닌 복수의 해석들을 담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를 지리학자 도린 매시(Doreen Massey)가 말한, 여러 개의 시간적 궤적들이 교차하는 장소(place)의 모습으로 파악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government documents, parliamentary minutes, and media reports on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from 1988 to 1995, explaining how the proponents and designers of the airport, government officials, lawmakers, and media outlets respectively interpreted the globalization of South Korea and connected their interpretations to the air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summarized in the concept of an airline hub proposed in the initial phase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plan.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by following the changing concepts of an airline hub we can figure out how those who we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t that time projected their understanding of globalization onto the airport.
From the beginning the aim of the construction project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to make it an airline hub in Northeast Asia. However, an airline hub was an abstract concept with no specific methods to realize it in the basic construction plan completed in 1992. What was more important than am airline hub at that time was to make Yeongjong Island an international city by taking advantage of the strategical benefits of the airline hub. However, the idea that the basic plan wa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goal of building an airline hub of Northeast Asia had emerged since 1992 due to the opposition from civic groups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This led to the foundation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and the criticism from lawmakers in the National Assembly Transportation Committee, which brought about the drastic revision of the basic plan in late 1994.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continued to discuss various topics, consult experts, and inspect foreign airports until the revised basic plan was accepted by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 in late 1995. As a result, the revised basic plan included the perception that an airline hub is a space that connects ground and air traffic flows, and the perception that it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respond sensitively to external changes. It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the concept of space of flows presented by sociologist Manuel Castells to understand the new spac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However,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failed to keep to its basic idea of an ideal airline hub because the Transportation Minister, the lawmakers in the National Assembly Transportation Committee, and some of the advisory committee members believed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an international city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through construction of an airline hub. Eventually,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failed to completely remove the facilities for an international city from the layout plan. In the end, the layout of the facilities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did not contain one interpretation of globalization and an airline hub, but rather multiple interpretations. In this article, I will present the layout of the facilities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a place where multiple time trajectories cross, which was suggested by geographer Doreen Masse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1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